목차
1. 서론:페미니즘과 순결 - 소주제를 정하기까지의 과정..
2. 본론:순결과 페미니즘 그 원리에 대한 고찰
Ⅰ.순결 - 순결의 의미에 대한 고찰
Ⅰ-1.순결의 정의
Ⅰ-2.순결의 역사
Ⅱ.페미니즘
Ⅱ-1.페미니즘의 유래
(1)어휘상의 유래
(2)페미니즘의 역사
(3)여러 가지 관점에서의 페미니즘
①자유주의 페미니즘
②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③사회주의 페미니즘
④급진적 페미니즘
⑤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Ⅱ-2.페미니즘에서 바라보는 순결
3. 결론:조사와 토론 후기 그리고 간단한 소감
2. 본론:순결과 페미니즘 그 원리에 대한 고찰
Ⅰ.순결 - 순결의 의미에 대한 고찰
Ⅰ-1.순결의 정의
Ⅰ-2.순결의 역사
Ⅱ.페미니즘
Ⅱ-1.페미니즘의 유래
(1)어휘상의 유래
(2)페미니즘의 역사
(3)여러 가지 관점에서의 페미니즘
①자유주의 페미니즘
②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③사회주의 페미니즘
④급진적 페미니즘
⑤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Ⅱ-2.페미니즘에서 바라보는 순결
3. 결론:조사와 토론 후기 그리고 간단한 소감
본문내용
케이트 밀레트는 양성을 주장하였다. 메리 데일리, 매키넌 등은 동성애를 주장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후기 급진주의 여성해방론에서는 이와 정반대의 주장을 하였다. 즉, 여성적 가치에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여 여성문화를 남성문화의 대안적 형태로 제시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아드리안 리치, 메리 오브리엔은 출산, 양육경험, 모성역할이 여성을 타인에 대해 배려하고 보호하는 감각을 갖게 하며 창조성과 직관력, 감각을 지니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단지 남성 대 여성이라는 대립구도로 풀어냈으나 실제로 여성억압의 양상은 성 이외의 계급, 민족차별 등이 혼합되어 보다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규정하는데 생물학적 결정론에 의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하지만 강간, 가정 내 폭력, 포르노 등의 성문제를 본격적으로 폭로하고 가시화하였고, 성차별 문제를 여성운동 내로 끌어들여 실천 활동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한 공로를 인정받는다.
⑤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이 페미니즘에 도입되면서 여성해방에 관한 논의는 더욱 차원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들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구조적 접근보다는 개인의 심리상태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출발해서 찾으려 하였다. 즉, 여성성이 어떠한 심리 기제에 의해서 형성되어 왔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내면화 되었는지를 설명하는데 치중한 것이다. 대표적인 연구자로 초드로우와 디너슈타인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여성과 남성이 다른 심성을 갖는 근원은 여성의 체험(삶의 경험)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양육의 부모 공동부담을 주장하면서 남성과 여성이 다를 수밖에 없으므로 다름에서 시작해서 여성문제에 접근하였다.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개인의 심리구조에서 찾으려 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을 남성과 여성간의 인성차이에 돌려 버렸다는데 비판을 받는다. 그러한 차이를 가져오는 성별 분업에 기초한 가족구조, 사회제도 등에서의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여성문제를 보는 영역과 실천적 전략의 범위를 넓혀 보려는 발상의 전환을 가져왔고, 남녀 간의 성차이를 단지 사회화 과정에서 찾기보다는 여성과 남성의 개인 심리 속에서 각인되어진 보다 뿌리 깊은 곳에서 문체를 탐색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⑥포스트모던 페미니즘
가장 최근에 등장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단일한 요소로 설명하려고 하거나 구조화된 것으로 설명하는 접근을 비판하고 여성이라는 범주가 남성과 대비되는 이원화된 구조를 상정하고 있다고 하면서 '해체'를 강조한다. 여성의 보편적 특성은 없으며, 지위 경제조건, 정치상황, 문화 이데올로기 등의 맥락에서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이론 자체가 지나치게 추상적이어서 대중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여성성, 여성범주의 해체 전략이 종국에 가서는 여성 집단을 부정하게 될 때 여성문제 해결의 힘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하는 딜레마에 봉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Ⅱ-2. 페미니즘에서 바라보는 순결
이러한 페미니즘에서 바라보는 순결은 어떨까.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페미니즘에 대한 관점에 따라 이 순결을 바라보는 관점이 조금씩은 다른데 이러한 순결에 대한 관점에 대해 순결과 정절에 대하여 이데올로기라는 측면으로 파악하여 여성에게 정절을 생명처럼 지키도록 강요한다. 정절의 부덕을 파기하는 여성은 인생의 모든 것을 잃게 될 정도로 최대의 대가를 치루는 것이 마땅하다는 생활을 주입시킨다. 또 출산을 빌미로 여성의 성을 억압하려 하며, 정절 이데올로기는 우리 사회에 뿌리 깊은 것은 가부장제 일부일처제가 이중적 성윤리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즉 남성에게는 결혼 외의 성생활의 자유는 인정하면서, 여성에게는 오직 혼인에 의한 성만을 요구하는 이중윤리에 의해, 일부일처제가 실제로는 여성에게만 엄격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여성의 절은 남성본위의 일부일처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라고 파악하며, 순결 이데올로기 역시 가부장제 결혼제도에서의 여성의 성적 억압과 통제를 합리화한다. 혼전 순결을 여자에게만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이중적 성윤리를 정당화한다. 그러나 처녀성의 신화는 의학적으로도 논란의 여지가 많은 처녀막을 순결의 징표로 믿게 하는 허구적이며 정절, 순결 이데올로기가 남성을 대신해서 여성 스스로가 성을 통제하도록 만든다고 판단하는 면이 있습니다.
조사 후기 그리고 느낀 점..
이번 조사 과정에서 토론 주제를 원리적으로 접근하다보니 다소 난해한 점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토론을 하면서 순결과 페미니즘에 대한 정의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 순결과 페미니즘에 대해 알게 되면서 오늘날 나타나고 있는 성 범죄나 급격히 증가하는 이혼율, 동거에 대한 문제에 대해 이 순결과 페미니즘이라는 것이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일종의 열쇄이며, 더 나아가 양성 평등이라는 관점에서 이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다시금 되새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자료출처
[공통]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지식 IN (http://kin.naver.com/)
[순결]
[인터넷]
http://myhome.hanafos.com/~suprim/sx27.htm
[페미니즘]
[인터넷] http://members.tripod.co.kr/stopk/
[인터넷] http://www.homedoumi.net/m03/s02_12.html
[인터넷] http://www.dungdan.com/creat-data/content.asp?id=9&read=49&pagec=2
[인터넷] http://www.nadir.pe.kr.webdata/Ethics/data-bank/concept/thought/t091.htm
[인터넷] http://members.tripod.lycos.co.kr/stopk/article4/arti4_3.htm
[인터넷]http://my.netian.com/%7Equeen/%BB%E7%C8%B8/%C6%E4%B9%CC%B4%CF%C1%F2.html
이와는 다르게 후기 급진주의 여성해방론에서는 이와 정반대의 주장을 하였다. 즉, 여성적 가치에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여 여성문화를 남성문화의 대안적 형태로 제시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아드리안 리치, 메리 오브리엔은 출산, 양육경험, 모성역할이 여성을 타인에 대해 배려하고 보호하는 감각을 갖게 하며 창조성과 직관력, 감각을 지니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단지 남성 대 여성이라는 대립구도로 풀어냈으나 실제로 여성억압의 양상은 성 이외의 계급, 민족차별 등이 혼합되어 보다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규정하는데 생물학적 결정론에 의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하지만 강간, 가정 내 폭력, 포르노 등의 성문제를 본격적으로 폭로하고 가시화하였고, 성차별 문제를 여성운동 내로 끌어들여 실천 활동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한 공로를 인정받는다.
⑤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이 페미니즘에 도입되면서 여성해방에 관한 논의는 더욱 차원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들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구조적 접근보다는 개인의 심리상태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출발해서 찾으려 하였다. 즉, 여성성이 어떠한 심리 기제에 의해서 형성되어 왔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내면화 되었는지를 설명하는데 치중한 것이다. 대표적인 연구자로 초드로우와 디너슈타인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여성과 남성이 다른 심성을 갖는 근원은 여성의 체험(삶의 경험)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양육의 부모 공동부담을 주장하면서 남성과 여성이 다를 수밖에 없으므로 다름에서 시작해서 여성문제에 접근하였다.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개인의 심리구조에서 찾으려 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을 남성과 여성간의 인성차이에 돌려 버렸다는데 비판을 받는다. 그러한 차이를 가져오는 성별 분업에 기초한 가족구조, 사회제도 등에서의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여성문제를 보는 영역과 실천적 전략의 범위를 넓혀 보려는 발상의 전환을 가져왔고, 남녀 간의 성차이를 단지 사회화 과정에서 찾기보다는 여성과 남성의 개인 심리 속에서 각인되어진 보다 뿌리 깊은 곳에서 문체를 탐색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⑥포스트모던 페미니즘
가장 최근에 등장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의 요인을 단일한 요소로 설명하려고 하거나 구조화된 것으로 설명하는 접근을 비판하고 여성이라는 범주가 남성과 대비되는 이원화된 구조를 상정하고 있다고 하면서 '해체'를 강조한다. 여성의 보편적 특성은 없으며, 지위 경제조건, 정치상황, 문화 이데올로기 등의 맥락에서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이론 자체가 지나치게 추상적이어서 대중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여성성, 여성범주의 해체 전략이 종국에 가서는 여성 집단을 부정하게 될 때 여성문제 해결의 힘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하는 딜레마에 봉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Ⅱ-2. 페미니즘에서 바라보는 순결
이러한 페미니즘에서 바라보는 순결은 어떨까.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페미니즘에 대한 관점에 따라 이 순결을 바라보는 관점이 조금씩은 다른데 이러한 순결에 대한 관점에 대해 순결과 정절에 대하여 이데올로기라는 측면으로 파악하여 여성에게 정절을 생명처럼 지키도록 강요한다. 정절의 부덕을 파기하는 여성은 인생의 모든 것을 잃게 될 정도로 최대의 대가를 치루는 것이 마땅하다는 생활을 주입시킨다. 또 출산을 빌미로 여성의 성을 억압하려 하며, 정절 이데올로기는 우리 사회에 뿌리 깊은 것은 가부장제 일부일처제가 이중적 성윤리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즉 남성에게는 결혼 외의 성생활의 자유는 인정하면서, 여성에게는 오직 혼인에 의한 성만을 요구하는 이중윤리에 의해, 일부일처제가 실제로는 여성에게만 엄격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여성의 절은 남성본위의 일부일처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라고 파악하며, 순결 이데올로기 역시 가부장제 결혼제도에서의 여성의 성적 억압과 통제를 합리화한다. 혼전 순결을 여자에게만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이중적 성윤리를 정당화한다. 그러나 처녀성의 신화는 의학적으로도 논란의 여지가 많은 처녀막을 순결의 징표로 믿게 하는 허구적이며 정절, 순결 이데올로기가 남성을 대신해서 여성 스스로가 성을 통제하도록 만든다고 판단하는 면이 있습니다.
조사 후기 그리고 느낀 점..
이번 조사 과정에서 토론 주제를 원리적으로 접근하다보니 다소 난해한 점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토론을 하면서 순결과 페미니즘에 대한 정의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 순결과 페미니즘에 대해 알게 되면서 오늘날 나타나고 있는 성 범죄나 급격히 증가하는 이혼율, 동거에 대한 문제에 대해 이 순결과 페미니즘이라는 것이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일종의 열쇄이며, 더 나아가 양성 평등이라는 관점에서 이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다시금 되새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자료출처
[공통]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지식 IN (http://kin.naver.com/)
[순결]
[인터넷]
http://myhome.hanafos.com/~suprim/sx27.htm
[페미니즘]
[인터넷] http://members.tripod.co.kr/stopk/
[인터넷] http://www.homedoumi.net/m03/s02_12.html
[인터넷] http://www.dungdan.com/creat-data/content.asp?id=9&read=49&pagec=2
[인터넷] http://www.nadir.pe.kr.webdata/Ethics/data-bank/concept/thought/t091.htm
[인터넷] http://members.tripod.lycos.co.kr/stopk/article4/arti4_3.htm
[인터넷]http://my.netian.com/%7Equeen/%BB%E7%C8%B8/%C6%E4%B9%CC%B4%CF%C1%F2.html
추천자료
일본인의 결혼과 성, 그리고 이혼
낙태에 대한 우리의 생각
[성교육]성 정체감 보고서
성의식에 관한 통계
청소년매매춘과 성문제
결혼관을 통하여 알아보는 현대 남성의 성역할 의식 ppt
중국 시를 통해본 성문화
성행동과 원치않는임신
중학생(중학교, 청소년) 성교육의 필요성, 중학생(중학교, 청소년) 성교육의 목표, 중학생(중...
드라마 애정의 조건에 나타난 여성상
[미국사회문제 (A+)] 미국 대학의 성(性)문제 - 미국 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인식 변화와 성문...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발달을 통한 현대 청소년의 성문제의 원인 대책을 청소년지도자의 입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