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무영(李無影)
2. 신채호
3. 참고사항
1). 가정잡지 家庭雜誌
2). 낭가사상
3). 시
4). 조선상고사 朝鮮上古史
2. 신채호
3. 참고사항
1). 가정잡지 家庭雜誌
2). 낭가사상
3). 시
4). 조선상고사 朝鮮上古史
본문내용
으로 서술하기 위하여서는 사료의 선택·수집·비판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역사학연구의 방법론으로서의 실증주의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이념과 방법을 제시하면서 신채호는 과거의 사대주의적 이념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서술한 유학자들과 당시 근대적인 역사학을 한다던 식민주의 사가들을 비판하고, 그 비판 위에서 이 저술의 목적과 성격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종래의 한국사의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새로운 인식체계를 수립하였다. 종래의 단군·기자·위만·삼국으로 계승되는 인식체계와 단군·기자·삼한·삼국의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신채호는 실학시대의 이종휘(李種徽)의 《동사(東史)》에서 영향을 받은 듯, 대단군조선·고조선·부여·고구려 중심의 역사인식체계를 수립하였다.
이 책은 종래의 우리나라의 고대사 인식과는 다른 특이한 면을 제시하면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교설적(敎說的)인 성격이 다분히 나타나면서 민족주의 의식이 지나치게 짙게 역사학에 투영되어 역사서술과 그 가치평가의 공정성(公正性)을 감소시킨 면도 있다. 어떤 부분에서는 그가 애써 강조한 실증성이 결여된 부분도 있다. 그 때문에 이 책의 내용과 서술은 비판적으로, 신중한 이해 밑에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는 이 책에서 종래의 한국사의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새로운 인식체계를 수립하였다. 종래의 단군·기자·위만·삼국으로 계승되는 인식체계와 단군·기자·삼한·삼국의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신채호는 실학시대의 이종휘(李種徽)의 《동사(東史)》에서 영향을 받은 듯, 대단군조선·고조선·부여·고구려 중심의 역사인식체계를 수립하였다.
이 책은 종래의 우리나라의 고대사 인식과는 다른 특이한 면을 제시하면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교설적(敎說的)인 성격이 다분히 나타나면서 민족주의 의식이 지나치게 짙게 역사학에 투영되어 역사서술과 그 가치평가의 공정성(公正性)을 감소시킨 면도 있다. 어떤 부분에서는 그가 애써 강조한 실증성이 결여된 부분도 있다. 그 때문에 이 책의 내용과 서술은 비판적으로, 신중한 이해 밑에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