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생활지도의 기본방향
2. 생활지도의 원리
3. 생활지도의 일반 목표
4. 생활지도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5. 생활지도의 역사적 배경
6. 생활지도의 성격
7. 생활지도에 대한 그릇된 개념
Ⅲ. 결론
Ⅱ.본론
1. 생활지도의 기본방향
2. 생활지도의 원리
3. 생활지도의 일반 목표
4. 생활지도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5. 생활지도의 역사적 배경
6. 생활지도의 성격
7. 생활지도에 대한 그릇된 개념
Ⅲ. 결론
본문내용
감정조차 상위(Higher)에 있다.
둘째, 상관은 불신의 관계(Incredible)를 형성한다.
셋째, 상관은 그럴듯한 변명(Gloze)을 붙인다.
넷째, 상관은 자기 자신을 항상 은익(Hidden)한다.
다섯째, 상관은 자기중심주의(Egocenterism)이다.
끝으로, 상관은 규칙(Rule)을 강조한다.
5. 생활지도의 역사적 배경 : 1907년 파슨스가 보스톤의 직업교육국에서 직업지도국을 개실하면서부터.
Q : 생활지도운동이 학교 안으로 들어 오게 된 계기는 언제 어디서부터인가?
A : 1913년 미국 보스던 교육위원회에서 직업정보과를 설치하면서부터
(1) 우리나라의 생활지도
1) 1952년∼1957년 : 생활지도 이론이 소개. 특정 학생의 문제를 특정 규범에 비추어 그른 헹동으로 규정하여 일정한 제재를 기하는 활동
2) 1958년∼1961년 :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가 카운슬링 강습회를 개최하여 상담교사를 양성. 아직까지 都 교육의 보조수단으로 인식되던 시기.
3) 1962년∼1973년 : 각종 심리검사가 도입되어 표준화됨. 비지시적 상담이론이 상담심리학계를 풍미. 1963년에는 한국 카운슬러 협회가 결성. 1973년에는 교도교사제가 법제화되어 생활지도 활동이 보편화되었다.
6. 생활지도의 성격
1) 생활지도는 모든 학생올 대상으로 한다.
2) 생활지도는 처벌보다 지도를 앞세운다.
3) 생활지도는 치료보다 예방에 중점을 둔다.
4) 생활지도는 과학적인 근거를 기초로 한다.
5) 생활지도는 자율성을 기본원리로 한다.
7. 생활지도에 대한 그릇된 개념
1) 문제학생의 지도이다.
2) 훈육적 지도 : 권위적인 처벌에 의존하는 것이 생활지도이다.
3) 학생운동의 지도 : 국내외의 사회문제.경제문제.정치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집단적 행동을 하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
4) 도의교육 : 생활지도는 도의교육의 한 방법이다.
Ⅲ. 결론
생활지도는 각 개인으로 하여금 자기능력과 흥미를 이해시켜 가능한 한 민주사회의 바람직한 시민으로서 성취된 자기의 상태로 발전시키며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인격의 전 양상에 거??쳐 조화적 발달을 원조하는 교육작용이다.
장애자는 지적·신체적·정서적·사히적 제 능력이 열약하고 신변자립, 개인적, 사회적 자립이 힘들며 부적응 상태를 유발하기 쉬우므로 장애아 생활지도는 잔존능력의 개발과 사회에 복귀할 수 있는 능력의 신장을 위한 중요한 교육적 지도영역이다.
둘째, 상관은 불신의 관계(Incredible)를 형성한다.
셋째, 상관은 그럴듯한 변명(Gloze)을 붙인다.
넷째, 상관은 자기 자신을 항상 은익(Hidden)한다.
다섯째, 상관은 자기중심주의(Egocenterism)이다.
끝으로, 상관은 규칙(Rule)을 강조한다.
5. 생활지도의 역사적 배경 : 1907년 파슨스가 보스톤의 직업교육국에서 직업지도국을 개실하면서부터.
Q : 생활지도운동이 학교 안으로 들어 오게 된 계기는 언제 어디서부터인가?
A : 1913년 미국 보스던 교육위원회에서 직업정보과를 설치하면서부터
(1) 우리나라의 생활지도
1) 1952년∼1957년 : 생활지도 이론이 소개. 특정 학생의 문제를 특정 규범에 비추어 그른 헹동으로 규정하여 일정한 제재를 기하는 활동
2) 1958년∼1961년 :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가 카운슬링 강습회를 개최하여 상담교사를 양성. 아직까지 都 교육의 보조수단으로 인식되던 시기.
3) 1962년∼1973년 : 각종 심리검사가 도입되어 표준화됨. 비지시적 상담이론이 상담심리학계를 풍미. 1963년에는 한국 카운슬러 협회가 결성. 1973년에는 교도교사제가 법제화되어 생활지도 활동이 보편화되었다.
6. 생활지도의 성격
1) 생활지도는 모든 학생올 대상으로 한다.
2) 생활지도는 처벌보다 지도를 앞세운다.
3) 생활지도는 치료보다 예방에 중점을 둔다.
4) 생활지도는 과학적인 근거를 기초로 한다.
5) 생활지도는 자율성을 기본원리로 한다.
7. 생활지도에 대한 그릇된 개념
1) 문제학생의 지도이다.
2) 훈육적 지도 : 권위적인 처벌에 의존하는 것이 생활지도이다.
3) 학생운동의 지도 : 국내외의 사회문제.경제문제.정치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집단적 행동을 하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
4) 도의교육 : 생활지도는 도의교육의 한 방법이다.
Ⅲ. 결론
생활지도는 각 개인으로 하여금 자기능력과 흥미를 이해시켜 가능한 한 민주사회의 바람직한 시민으로서 성취된 자기의 상태로 발전시키며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인격의 전 양상에 거??쳐 조화적 발달을 원조하는 교육작용이다.
장애자는 지적·신체적·정서적·사히적 제 능력이 열약하고 신변자립, 개인적, 사회적 자립이 힘들며 부적응 상태를 유발하기 쉬우므로 장애아 생활지도는 잔존능력의 개발과 사회에 복귀할 수 있는 능력의 신장을 위한 중요한 교육적 지도영역이다.
추천자료
생활지도와 상담
[가정생활지도][생활지도]가정생활지도의 개념과 목표, 가정생활지도의 핵심, 가정생활지도의...
생활지도의 주요영역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과 임무에 대해 서술. 아울러 ...
유아(유아교육) 예절습관지도, 유아(유아교육) 식습관지도, 유아(유아교육) 안전생활습관지도...
생활지도
학교생활지도와 생활습관교육, 학교생활교육, 학교생활지도와 상담교육, 학교생활지도와 인사...
학교생활지도의 학생이해, 학교생활지도의 지도요소와 유의점, 학교생활지도와 가정생활예절...
[바른생활교과]바른생활교과지도의 특성, 바른생활교과지도의 목표, 바른생활교과지도의 원리...
학교생활지도의 인식과 원리, 학교생활지도의 과정과 주안점, 학교생활지도의 절약생활지도, ...
아동생활지도 및 상담의 행동주의적 접근
[아동생활지도] 생활지도 및 상담의 심리 역동적 접근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한다...
아동생활지도의 이론 중 성숙이론과 정신분석이론에 근거하여 유아생활지도 시 적용방안에 대...
사회가정개인생활에서 영유아기 생활지도의 중요성과 자신의 습관 중 영유아기에 잘못 형성된...
[유아발달] 유아의 생활지도와 생활동화(현실동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생활지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