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한 자본주의의 몰락으로 규결되지는 않았다. 공황과 몰락에 대한 공포는 자본주의를 왜곡시키면서 수정.혼합 자본주의로 변모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앞서 서술한바 자본주의적 본질이 변화된 것은 아니다. 경제학자들사이에서 가격과 가치논쟁은 경제학의 본질과 관련된 핵심사안이었다. 물론 현재의 주류경제학은 수학적 세계로 침잠해들어가고 거시경제현상에 목을 매달고 있지만, 만약 마르크스의 주장이 진리라면, 시장의 존재로 인한 교환가치(가격)만을 인정하는 그들은 착취기제에 눈감고 인류에게 더 많은 착취를 강요하고 있는것이다.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서술한 궁극적인 목적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극소수의 자본가들에 의한 착취로 발생한 인간 소외의 극복을 위해 그는 천재성과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면서 자본론으로 집약시킨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주의 몰락 이후의 탈자본주의 사회
짐멜과뒤르갱
자본주의
자본주의의 특징 및 장단점 연구
자본주의 이행논쟁
자본주의에 관한 고찰
2009년 동계계절시험 동서양고전 시험범위 핵심체크
[근대 경제학설사 Ⅱ] 경제학 마스터 요약 및 견해
부유한 불평등 자본주의 체계와 가난한 평등 사회주의 체계 중심으로 [독후감]
이데올로기와 모순의 중층결정 [알튀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기업가이득][경영자이득]기업가이득(경영자이득)의 의미, 자본주의 생산, 기업가이득(경영자...
경제사 - 국부론에 대해
[자본스톡추계][자본][스톡][자본스톡추계 의의][자본스톡추계 국부][자본스톡추계 현황][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