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초의 사학
2. 사학 사상
3. 통지의 체례
2. 사학 사상
3. 통지의 체례
본문내용
두 번째는 없는 것을 기록한 것으로 지금 없는 것은 찾아 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송대에는 문물이 대단히 많이 출토되었는데 고대의 기물(器物)과 그것에 새겨진 문자를 저록하고 해석하는 서적도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정초는 예민하게 역사연구에서 금석명문과 같은 문물사료가 지니는 가치에 주의를 기울였다. 그리하여 《통지》속에 「금석략」1권을 넣어 "삼황오제 시대의 천폐(泉幣), 삼왕의 정이(鼎彛), 진대의 석고(石鼓), 한위(漢魏)의 풍비(豊碑)"를 기록하고, "위로는 창힐(蒼 ) 석실(石室)의 문장과 아래로는 당대의 책에 이르기까지 각각 사람들을 열거하고 땅을 명명하였다." 그것은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데 금석문물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20략 중의 「곤충초목략」 2권은 각종 동·식물의 명칭 및 그 체형, 생리, 용도등을 기록한 것이다. 정초가 이 략을 편찬한 주 목적은 실학 정신을 발양하기 위한 것이었다. 20략의 두드러진 성과는 '천하의 대학술을 총괄하여 그 강목을 분류한 것'으로서 광범하게 수집한 역대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종합정리하고 20략으로 구분하여 매략마다 또 문류를 구별하여 조리가 정연하게 한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