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하수도의 역사
2.하수도의 기능과 역할
3.하수도의 종류
4.하수도 시스템 : 수처리 시스템 +관거 시스템
5.하수도의 새로운 역할
6.모델 사업에 의한 도시의 수환경 건설
7.하수도의 다목적 이용
8.향후 하수도 설계 구체화에 관한 방법
9.도시우수 대책
10.도시화에 의한 물 순환의 변화와 그 영향
11.양적변화
12.질적 변화
13.종합치수대책
14.종합치수대책에서의 각종 사업
2.하수도의 기능과 역할
3.하수도의 종류
4.하수도 시스템 : 수처리 시스템 +관거 시스템
5.하수도의 새로운 역할
6.모델 사업에 의한 도시의 수환경 건설
7.하수도의 다목적 이용
8.향후 하수도 설계 구체화에 관한 방법
9.도시우수 대책
10.도시화에 의한 물 순환의 변화와 그 영향
11.양적변화
12.질적 변화
13.종합치수대책
14.종합치수대책에서의 각종 사업
본문내용
책
1.홍수방제
ex)1-1치수시설의 정비(하천개수)
①하도의 정비(제방을 튼튼하게 하천바닥을 준설)
②댐(물의 저류능력을 증가)
③방수로 유수지
1-2유출억제
①방재조정지
②우수저류침투시설(침투면적을 증가시키자)-보수지역대책
③수원자연지 보전(시가화 조정구역의 보유 살림육성)
④수원자연지 보전
홍수를 짧은 시간내에 줄이다
비점오염원에 유수지 방재조절지 유역조정지에 의해 침전되어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이 감
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비점오염원을 줄이자).....................p129참고
14.종합치수대책에서의 각종 사업
①우수저류 침투대책으로서의 도시하천사업
②도시의 수환경 보전 정비 관련사업
유역개발과 하수도정비는 불투수지역을 증가시켜 홍수량 증가를 초래하는 한편 하천의 평상시 유량을 감소시키고 있다.더욱이 불투수지역의 증대는 지하수와 유역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유역의 수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③유역의 수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유역내의 침투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유효하며
우수침투대책의 추진이 매우 효과적이다.
④종합치수대책의 추이
(유하능력 , 유역의 저류시설 용량, 유역의 시가화 비율)
p139~157까지 정독...............
1.홍수방제
ex)1-1치수시설의 정비(하천개수)
①하도의 정비(제방을 튼튼하게 하천바닥을 준설)
②댐(물의 저류능력을 증가)
③방수로 유수지
1-2유출억제
①방재조정지
②우수저류침투시설(침투면적을 증가시키자)-보수지역대책
③수원자연지 보전(시가화 조정구역의 보유 살림육성)
④수원자연지 보전
홍수를 짧은 시간내에 줄이다
비점오염원에 유수지 방재조절지 유역조정지에 의해 침전되어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이 감
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비점오염원을 줄이자).....................p129참고
14.종합치수대책에서의 각종 사업
①우수저류 침투대책으로서의 도시하천사업
②도시의 수환경 보전 정비 관련사업
유역개발과 하수도정비는 불투수지역을 증가시켜 홍수량 증가를 초래하는 한편 하천의 평상시 유량을 감소시키고 있다.더욱이 불투수지역의 증대는 지하수와 유역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유역의 수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③유역의 수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유역내의 침투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유효하며
우수침투대책의 추진이 매우 효과적이다.
④종합치수대책의 추이
(유하능력 , 유역의 저류시설 용량, 유역의 시가화 비율)
p139~157까지 정독...............
추천자료
건설자재소요계획의 발전을 통해본 원가절감
국토종합개발계획
한국의 환경정치 - 새만금 갯벌 간척사업을 중심으로
환경관련 용어정리
환경영향평가제도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대하여 설명하라
실버텔 사업계획서
[환경운동]일본의 내셔널트러스트운동 현황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한국 환경법제도의 기본구조
한국의 환경 정책
도시와 도시계획
[국토계획] 4대강 정비 사업. 대한민국 미래의 새 물결이라고 할 수 있는가?
기독교와 환경/자연을 살리기 위한 방편으로 인분, 퇴비 재사용
(생명과환경 공통) 한국에서 원자력발전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반대 논거를 조사하고, 이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