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과 졸업논문] 종조사 `ね`と `よ` に関する 考察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의목적
2.연구방법

Ⅱ.모달리티의 개념과 그 형식
1.모달리티의 개념
2.종조사
1)종조사의 개념
2)종조사의 모달리티

Ⅲ.「ね」와「よ」의 의미 분석
1.모달리티논에서 본 「ね」와「よ」
1)「ね」와「よ」의 본질적의미
2) 모달리티논과 「ね」와「よ」
2.「ね」,「よ」와 정중함의 모달리티

Ⅳ. 문전달상의 의미
1.「よ」의 의미
2.「ね」의 의미

Ⅴ.결론

본문내용

좋아하냐는 질문에 말하는 이인 綠는 특별히 좋다할 것도 없다고 대답하고 있다. <係長을 좋아한다>거나 아버지를 <특별히 좋아한달 것도 없다>는 것 등은 말하는 이 자신의 감정으로 상대방에게 동의를 구한다거나 확인의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는 현재의 자신의 감정 ㆍ 의사를 표명하고 있는 것이다.
(24)에서 桃子와 薰는 친구 사이이다. 桃子는 薰이 옛날부터 남의 기분을 알아차리는 것이 둔하다는 것을 얘기하고 있다. 이 경우도 말하는 이인 桃子는 자기가 상대방에 대해 느껴왔던 감정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즉 思惟적인 정보는 말하는 이의 고유 영역으로 당연히 듣는
주12), 益岡隆志, 前揭書. p.48
-17-
이는 알 수 없는 것이다.
이처럼 「ね」는 말하는 이의 자신이나 그 영역에 있는 것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명하는 경우에도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ね」가 갖는 또 하나의 文전달상의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25) 「へえ 同じ年かアㆍㆍㆍ」正明は二人を見比べ
「驚いたね 絶對にそうはみえないね」
(26) 二人, 川風に吹かれて步きながら
貢 「こんなに 唐揚げにするとうまいぞ」
遙 「ㆍㆍㆍ變わってますね」
貢 「じゃ鹽燒きするか?」
遙 「先生のこと」
貢 「そうかな(と笑って)ㆍㆍㆍ (後略)
(27)「僕の時間を少しあげてその中で君を眠らせてあげたいくらいのものだよ」
綠はを 杖をついてにっこり笑い僕の顔を見た
「あなたって親切のね」
예문(25)-(27)에서 「ね」는 동의 요구나 확인을 구하는 「ね」의 기본적인 기능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25)는 正明이 伊江의 나이를 처음 알고 나이에 비해 젊어 보이는 것에 놀라하는 정면이다. 즉 말하는 이는 그 순간 알게된 사실에 대한 인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26)(27)에서도 지금 알게된 상황에 대한 인지를 표현하는 경우에「ね」가 붙어 있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말하는 이가 어떤 새로운 사실에 접했을 경우에「ね」가 附加되어 말하는 이의 인지의 표출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ね」는 確認이나 同意를 구하는 경우 외에도 말하는 이의 자기만의 사고를 표명할 때나 새로운 장면을 접했을 경우에도 附加되고 있다.
Ⅴ.結論
본고에서는 전달 태도의 모달리티에 관계하는 표현형식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
겨지는 終助詞「ね」와「よ」에 관해서 그 의미와 기능을 명확히 하는 동시에 「よ」「ね」의 文전달상의 의미에 대해 그들이 文에서 갖는 역할을 말하는 이의 전달 태도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文전달상의 의미와 그 차이에 대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8-
첫째,「よ」는 기본적으로 말하는 이가 듣는 이보다 어떠한 事態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높아서 그것을 일방적으로 듣는 이에게 전달하는 경우에 쓰이고 있고, 이 경우 「よ」는 말하는 이가 갖고 있는 정보를 더욱 확실하게 듣는 이에게 전달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 외에도 「よ」는 의문문에 附加되고 이때 말하는 이의 판단이 포함된 의문을 나타낸다. 또한 命令.依賴의 文에 붙어서 애원이나 부탁의 기분을 전달하는 의미를 갖는다.
둘째,「ね」는 대부분의 경우 말하는 이가 전달하려는 事態에 대해 듣는 이도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 전제가 되어 말하는 이는 「ね」를 통해서 同意나 確認을 구하는 경우가 많다. 즉 「ね」는 말하는 이가 어떠한 사태에 대해 듣는 이도 자신과 인식의 정도가 같거나 비슷하다고 믿는 경우는 同意를 구하고, 의문의 기분을 내포한 경우의 發話에서는 確認을 구한다는 기본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同意. 確認요구'의 기능을 기존의 연구에서도 이미 다루어져 왔던 것으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으로 설명이 불충분한 「ね」의 文전달상의 의미로도 고찰해 보았다.
먼저 말하는 이가 자신 혹은 그 영역에 있는 것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명한 때에 「ね」가 附加되는 경우 이러한 「ね」는 자기 고유의 의사를 더욱 명확히 전달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 말하는 이가 어떠한 새로운 사실에 접한 경우 「ね」의 附加는 認知의 表出을 강하게 나타내는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ね」는 '同意, 確認 요구'외에 '자기 고유의 의사 표명'과 '認知의 表出'이라는 文 전달상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본고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ね」와「よ」의 기능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형식의 비교. 대조는 물론, 「ね」와「よ」이외의 終助詞에 관해서도 폭넓게 대조연구를 보안한다면 좀 더 충실한 논문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19-
< 參考文獻>
ㆍ益岡隆志 , モダリテイの文法 , くろしお出版 (1991)
ㆍ梅原恭則 , 講座日本語と日本語敎育4 , 明治書院 (1989)
ㆍ白川博之 , 終助詞「よ」の機能 「日本語敎育77號」(1992)
ㆍ南不二男 , 現代日本語の構造 , 大修館 (1982)
ㆍ平木孝典 , 終助詞「ね」と「よ」の機能と用法に關する考察
, 韓國外國語大學校敎育大學院 (1995)
ㆍ李知映 , 終助詞의 의미기능에 관한 비교연구 , 啓明大學校(1997)
ㆍ張恩珠 ,日本語의 終助詞「ね」와「よ」에 관한 硏究
東亞大學校大學院(1996)
ㆍ金星體 ,종조사 「よ」「ね」「よね」의 의미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大學院 (1998)
ㆍ森田良行 , 基礎日本語1 ㆍ 2 , 角川書店 (1971)
ㆍ森田良行 , 日本語と日本語敎育 , 凡人社 (1990)
ㆍ國語學會編 , 國語學大辭典 , 東京堂出版 (1993)
ㆍ日本大辭典刊行會編 , 日本國語大辭典 , 小學館 (1974)
ㆍ日本語敎育學會編 , 日本語敎育辭典 , 大修館 (1982)
ㆍ松村明編 , 日本語文法大辭典 , 明治書院 (1984)
ㆍ金田日春彦他 , 日本語百科大辭典 , 大修館 (1988)
ㆍ森田良行 , 基礎日本語辭典 , 角川書院 (1989)
ㆍ平木孝典 , 終助詞「ね」と「よ」の機能と用法に關する考察
, 韓國外國語大學校敎育大學院 (1995)
ㆍ李知映 , 終助詞의 의미기능에 관한 비교연구 , 啓明大學校(1997)
ㆍ張恩珠 ,日本語의 終助詞「ね」와「よ」에 관한 硏究
東亞大學校大學院(1996)
ㆍ金星體 ,종조사 「よ」「ね」「よね」의 의미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大學院 (1998)
ㆍ森田良行 , 基礎日本語1 ㆍ 2 , 角川書店 (1971)
-20-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3.12.10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