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성씨와 이름
1. 성씨(姓氏)의 뜻
2. 성씨(姓氏)의 유래(由來)
3. 이름은?
4. 항렬자(行列字)
5. 항렬법(行列法)
Ⅱ. 친척간의 호칭 (자기집안 시집 외가집 고모집 처가집 이모집 사돈간)
1. 자기집안 호칭
2. 시집의 호칭
3. 외가집 호칭
4. 고모집안의 호칭
5. 처가집 호칭
6. 이모집 호칭
7. 사돈간의 호칭
Ⅲ. 친족간의 호칭(문답형식을 빌어서)
1. 성씨(姓氏)의 뜻
2. 성씨(姓氏)의 유래(由來)
3. 이름은?
4. 항렬자(行列字)
5. 항렬법(行列法)
Ⅱ. 친척간의 호칭 (자기집안 시집 외가집 고모집 처가집 이모집 사돈간)
1. 자기집안 호칭
2. 시집의 호칭
3. 외가집 호칭
4. 고모집안의 호칭
5. 처가집 호칭
6. 이모집 호칭
7. 사돈간의 호칭
Ⅲ. 친족간의 호칭(문답형식을 빌어서)
본문내용
다 계실 때
윗 어른께 자기를 낮추어 말할 때: 저, 제, 소생, 졸자, 저희들
손아래 사람에게 자신을 말할 때: 나, 우리들, 내, 본인
노형(老兄): 자기와 나이 비슷한 사람들을 부를 때
존장(尊長), 노인장(老人丈)어른신네: 왕노를 공손히 부를 때
부부는 일신이니 무촌이다.
부자녀, 모자녀는 일촌간이다.
친형제자매는 서로 삼촌간, 조손간도 같다.
백부, 백모, 중백부, 중백모, 숙부, 숙모와 나는 삼촌간, 숙질간
從傍(종방)간 사촌간(삼촌의 아들 딸): 할아버지의 손자
종형, 종제: 사촌형제간
종백부모: 종숙부모, 당숙부, 오촌아저씨와 아저미
종조부모, 대고모(大姑母): 사촌의 할아버지 즉 할아버지의 형제
재종형제(再從兄弟): 육촌형제 한증조부의 손자
삼종현제: 팔촌간 고조이하 복을 입어줌
사종조부모: 십촌조부모 육대 조부모의 자손
십일촌 부터는 족형(族兄), 족숙(族叔) 족족하라 부름
동성동본은 종(宗)씨 족친 종친이라 함
姑從四寸(고종사촌): 고모의 아들 딸
內外從間(내외종간): 고모의 아들 딸과 나 사이, 외삼촌의 아들 딸과 나 사이
姨母(이모): 어머니의 여형제
姨從四寸(이종사촌): 이모의 아들 딸
외삼촌: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內舅(구))
외사촌: 외삼촌의 아들 딸. 내생(內甥). 생질
가친, 엄친, 가군: 자기부친
선친, 선고: 작고한 부친
형님: 손아래 동시가 손위 동시를 부를 때
새댁: 손위 동시가 손아래 동시를 부를 때
同媤間(동시간): 며느리끼리를 남에게 말할 때
同壻間(동서간): 사위끼리
올케: 오빠의 아내
동생의 댁: 동상의 댁
도련님, 새서방님: 시동생(삼촌이라 부르면 안됨)
사장(査丈)어른: 형제의 장인과 형수.제수의 부친
사형(査兄): 형제의 처남, 처제 또는 사가(査家)의 같은 항렬끼리
사하생(査下生): 사돈의 아들, 딸(서울에서는 사돈총각, 영남에서는 사이 상)
선고장(先考丈): 작고한 남의 부친. 선장(先丈)
선대부인(先大夫人): 작고한 남의 모친
阮丈(완장): 남의 삼촌
咸氏(함씨): 남의 족하
陣外家(진외가): 아버지의 외가
媤外家(시외가): 남편의 외가
夫君(부군): 남의 남편
女史: 사회 출입을 하는 夫人
妹夫(매부): 여동생의 남편
翁壻間(옹서간): 장인과 사위 사이
聘丈(빙장)어른, 聘母(빙모)님: 장인, 장모 편지 쓸 때는 外舅(외구)
華婚(화혼): 남의 결혼을 축하할 때
壽宴, 壽筵(수연): 회갑을 축하할 때
伉儷(항려): 부부, 짝,
偏母膝下(편모슬하): 홀어머니를 뫼신 몸
주. 족하, 손자 항렬이라도 칠년 이상이면 존대말을 써야하고 처족은 손윗 분은 존대하고
나머지 경우 위에 경어법대로 부릅니다.
Ⅰ.성씨와 이름
1. 성씨(姓氏)의 뜻
2. 성씨(姓氏)의 유래(由來)
3. 이름은?
4. 항렬자(行列字)
5. 항렬법(行列法)
Ⅱ. 친척간의 호칭 (자기집안 시집 외가집 고모집 처가집 이모집 사돈간)
1. 자기집안 호칭
2. 시집의 호칭
3. 외가집 호칭
4. 고모집안의 호칭
5. 처가집 호칭
6. 이모집 호칭
7. 사돈간의 호칭
Ⅲ. 친족간의 호칭(문답형식을 빌어서)
윗 어른께 자기를 낮추어 말할 때: 저, 제, 소생, 졸자, 저희들
손아래 사람에게 자신을 말할 때: 나, 우리들, 내, 본인
노형(老兄): 자기와 나이 비슷한 사람들을 부를 때
존장(尊長), 노인장(老人丈)어른신네: 왕노를 공손히 부를 때
부부는 일신이니 무촌이다.
부자녀, 모자녀는 일촌간이다.
친형제자매는 서로 삼촌간, 조손간도 같다.
백부, 백모, 중백부, 중백모, 숙부, 숙모와 나는 삼촌간, 숙질간
從傍(종방)간 사촌간(삼촌의 아들 딸): 할아버지의 손자
종형, 종제: 사촌형제간
종백부모: 종숙부모, 당숙부, 오촌아저씨와 아저미
종조부모, 대고모(大姑母): 사촌의 할아버지 즉 할아버지의 형제
재종형제(再從兄弟): 육촌형제 한증조부의 손자
삼종현제: 팔촌간 고조이하 복을 입어줌
사종조부모: 십촌조부모 육대 조부모의 자손
십일촌 부터는 족형(族兄), 족숙(族叔) 족족하라 부름
동성동본은 종(宗)씨 족친 종친이라 함
姑從四寸(고종사촌): 고모의 아들 딸
內外從間(내외종간): 고모의 아들 딸과 나 사이, 외삼촌의 아들 딸과 나 사이
姨母(이모): 어머니의 여형제
姨從四寸(이종사촌): 이모의 아들 딸
외삼촌: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內舅(구))
외사촌: 외삼촌의 아들 딸. 내생(內甥). 생질
가친, 엄친, 가군: 자기부친
선친, 선고: 작고한 부친
형님: 손아래 동시가 손위 동시를 부를 때
새댁: 손위 동시가 손아래 동시를 부를 때
同媤間(동시간): 며느리끼리를 남에게 말할 때
同壻間(동서간): 사위끼리
올케: 오빠의 아내
동생의 댁: 동상의 댁
도련님, 새서방님: 시동생(삼촌이라 부르면 안됨)
사장(査丈)어른: 형제의 장인과 형수.제수의 부친
사형(査兄): 형제의 처남, 처제 또는 사가(査家)의 같은 항렬끼리
사하생(査下生): 사돈의 아들, 딸(서울에서는 사돈총각, 영남에서는 사이 상)
선고장(先考丈): 작고한 남의 부친. 선장(先丈)
선대부인(先大夫人): 작고한 남의 모친
阮丈(완장): 남의 삼촌
咸氏(함씨): 남의 족하
陣外家(진외가): 아버지의 외가
媤外家(시외가): 남편의 외가
夫君(부군): 남의 남편
女史: 사회 출입을 하는 夫人
妹夫(매부): 여동생의 남편
翁壻間(옹서간): 장인과 사위 사이
聘丈(빙장)어른, 聘母(빙모)님: 장인, 장모 편지 쓸 때는 外舅(외구)
華婚(화혼): 남의 결혼을 축하할 때
壽宴, 壽筵(수연): 회갑을 축하할 때
伉儷(항려): 부부, 짝,
偏母膝下(편모슬하): 홀어머니를 뫼신 몸
주. 족하, 손자 항렬이라도 칠년 이상이면 존대말을 써야하고 처족은 손윗 분은 존대하고
나머지 경우 위에 경어법대로 부릅니다.
Ⅰ.성씨와 이름
1. 성씨(姓氏)의 뜻
2. 성씨(姓氏)의 유래(由來)
3. 이름은?
4. 항렬자(行列字)
5. 항렬법(行列法)
Ⅱ. 친척간의 호칭 (자기집안 시집 외가집 고모집 처가집 이모집 사돈간)
1. 자기집안 호칭
2. 시집의 호칭
3. 외가집 호칭
4. 고모집안의 호칭
5. 처가집 호칭
6. 이모집 호칭
7. 사돈간의 호칭
Ⅲ. 친족간의 호칭(문답형식을 빌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