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렬자(行列字)
5. 항렬법(行列法)
Ⅱ. 친척간의 호칭 (자기집안 시집 외가집 고모집 처가집 이모집 사돈간)
1. 자기집안 호칭
2. 시집의 호칭
3. 외가집 호칭
4. 고모집안의 호칭
5. 처가집 호칭
6. 이모집 호칭
7. 사돈간의 호칭
Ⅲ. 친족간의 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가에서 지냄)-시집, 외손봉사-양자제, 항렬자 잘 안씀-대동 항렬자
*사람 많이 뽑는 부정기 시험은 지방사람들이 보기 힘듬--서울 사람들이 관직 독점
*사회 신분제가 변화해 가는 증거--서민문화 대두: 판소리, 민화, 한글소설, 광대놀이
*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렬자를 넣어 이름을 짓는다.
-자(字) : 관례를 할 때에 관자라 해서 지어주는 별명으로, 공식적인 관명을 존중하기 위해서 어른이나 친구들이 부르게 된다. 아랫사람들은 웃\'어른의 자를 부를 수 없었다.
-호(號,아호): 아랫사람도 부를 수 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