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 배경
● 고속 가공의 필 요 성
● 고속 가공의 현재의 추세
2. 본 론
2.1 실험 장비
2.2 실험 방법
2.3 실험 결과
3. 결론
4. 참고문헌
● 배경
● 고속 가공의 필 요 성
● 고속 가공의 현재의 추세
2. 본 론
2.1 실험 장비
2.2 실험 방법
2.3 실험 결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속도를 측정 및 선정.
③ 전류 계측기를 동력선에 연결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④ 상온에서 각각의 소재를 드릴 가공하여 전류 계측기로 그 값을 구한다.
⑤ 각각의 소재를 가열판에 올려서 적외선 온도 계측기로 온도를 측정하면서 측정 대 상 온도에서의 드릴 가공 부하 전류치를 산출한다.
⑥ 절삭 깊이는 10mm로 정함.
⑦ 하나의 대상 소재가 측정이 끝나면 다른 소재를 바꿔서 측정한다.
⑧ 앞의 실험 단계를 RPM을 바꿔 가며 다시 진행한다.
2.3 실험 결과
2000RPM에서의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3500RPM에서의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5000RPM에서의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각RPM에서의 재질당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4. 결론
실험에 의해서 모터 전류는 드릴링 작업중에 전류 계측기에 의해 측정되었다. 또한 이렇게 측정된 모터 전류는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고 있다.
1. 본 실험의 결과로 거의 150 부근에서 최소의 전류치를 얻게 되었다. 즉, 이 온도 구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이 가장 적게 나타나고 있어 가공특성이 가장 우수한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2. 본 실험에 앞서 저속일 때의 칩의 상태는 유동형이었으나, 고속 가공에는 칩의 상태가 전단형이 됨을 알게 되었다.
3. 고속의 절삭으로 인한 칩의 균일한 형상 유지의 어려움과 가열로 인한 온도 상승에 따른 재질 자체의 연화 작용에 의해서 칩의 상태가 변한 것으로 본다.
4. 난삭재의 고속 드릴링에서 칩의 원활한 배출의 어려움과 온도 가열시 재질의 연화와 더불어 드릴 공구와 재질간의 가공 중의 마찰열로 인한 산화 마모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가공 효율성의 증대를 위한 최적의 적정 조건의 산출을 위해서는 차후로 정량적인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과 병행하여 실질적인 가공특성평가 방법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5. 참고문헌
1. K. Uehara, H. Takeshita, Cutting Ceramics with a Technique of Hot Machining, Annals of the CIRP, Vol. 35, 1, 1986, pp. 55-58
2. Takeaki Kitagawa, Katsuhiro Maekawa, Akihiko Kubo, Plasma Hot Machining for Difficult-to cut Materials, JSPE, 53, 01, 1987, pp. 78-84
③ 전류 계측기를 동력선에 연결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④ 상온에서 각각의 소재를 드릴 가공하여 전류 계측기로 그 값을 구한다.
⑤ 각각의 소재를 가열판에 올려서 적외선 온도 계측기로 온도를 측정하면서 측정 대 상 온도에서의 드릴 가공 부하 전류치를 산출한다.
⑥ 절삭 깊이는 10mm로 정함.
⑦ 하나의 대상 소재가 측정이 끝나면 다른 소재를 바꿔서 측정한다.
⑧ 앞의 실험 단계를 RPM을 바꿔 가며 다시 진행한다.
2.3 실험 결과
2000RPM에서의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3500RPM에서의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5000RPM에서의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각RPM에서의 재질당 절삭력 평가(전류값 측정)
4. 결론
실험에 의해서 모터 전류는 드릴링 작업중에 전류 계측기에 의해 측정되었다. 또한 이렇게 측정된 모터 전류는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고 있다.
1. 본 실험의 결과로 거의 150 부근에서 최소의 전류치를 얻게 되었다. 즉, 이 온도 구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이 가장 적게 나타나고 있어 가공특성이 가장 우수한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2. 본 실험에 앞서 저속일 때의 칩의 상태는 유동형이었으나, 고속 가공에는 칩의 상태가 전단형이 됨을 알게 되었다.
3. 고속의 절삭으로 인한 칩의 균일한 형상 유지의 어려움과 가열로 인한 온도 상승에 따른 재질 자체의 연화 작용에 의해서 칩의 상태가 변한 것으로 본다.
4. 난삭재의 고속 드릴링에서 칩의 원활한 배출의 어려움과 온도 가열시 재질의 연화와 더불어 드릴 공구와 재질간의 가공 중의 마찰열로 인한 산화 마모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가공 효율성의 증대를 위한 최적의 적정 조건의 산출을 위해서는 차후로 정량적인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과 병행하여 실질적인 가공특성평가 방법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5. 참고문헌
1. K. Uehara, H. Takeshita, Cutting Ceramics with a Technique of Hot Machining, Annals of the CIRP, Vol. 35, 1, 1986, pp. 55-58
2. Takeaki Kitagawa, Katsuhiro Maekawa, Akihiko Kubo, Plasma Hot Machining for Difficult-to cut Materials, JSPE, 53, 01, 1987, pp. 78-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