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탕 설비에 대해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기초지식

2.급탕 온도와 급탕량

3.급탕 방식

4.급탕 배관법

5.급탕 배관 시공상 유의사항

6.배관재와 안전장치

본문내용

신축이 수반되고 전열면에 스케일이 부착하기 쉬우며, 또한 정수두(靜水頭)가 本體에 직접 걸리므로 대규모 건물에서는 대개 사용되지 않는다.
직접가열식 급탕배관
2) 간접가열식
저탕조내에 가열 코일을 설치하고 보일러로부터 증기와 온수를 보내서 간접적으로 탕을 가 열하는 방식
① 정수두가 직접 보일러 본체에 걸리지 않는다.
② 저압 보일러의 사용이 가능
③ 보일러 전열면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일도 적다.
※ 또한, 잉여증기와 고온수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급탕용 보일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
⇒ 대규모 건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간접가열식 급탕배관
3-3 태양열 급탕방식
주택,공동주택,학교 급식용,수영장,대중목욕탕,호텔,병원....
※ 일반가정 :
태양열 온수기의 용도는 주로 욕탕을 위한 것
⇒ 집열부분의 저수량은 200l 정도를 표준
☞ 일사량 취득이 관건
태양열 이용 급탕방식
4. 급탕배관법
급탕배관은
- 배관방식에 따라 단관식과 복관식
- 공급방식에 따라 상향식·하향식·혼용식
- 순환방식에 따라 중력식과 강제식으로 분류
1) 배관방식
① 단관식은
●급탕관의 반탕관(복귀관)이 없기 때문에 탕의 순환이 않됨
⇒ 별로 사용하지 않는 수전에서는 차가운 물이 나오는 결점이 있다.
●배관이 간단하기 때문에 소규모 건물과 주택에서 사용된다.
② 복관식은
●반탕관이 설치되고 항상 탕이 순환
⇒ 급탕전을 열면 동시에 적당한 수온의 탕을 얻을 수 있다.
●복관식은 사무소·호텔·병원 등의 대규모 건물에서 사용된다.
※ 급탕계통이 많은 경우에는 탕의 순환을 均等히 하기 위해 마찰저항을 均一하게 한 역환수(逆還水, Reverse Return)방식이 사용된다.
직접환수방식
역환수방식
2) 공급방식
① 상향식은
⇒ 급탕 수평주관으로부터 급탕 수직관을 거쳐 각 층의 급탕전으로 탕이 공급되는 방식
●탕의 온도강하는 적지만 설비비가 높아진다.
② 하향식은
●반탕관의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설비비는 싸다.
●지관(枝管)은 단관(單管)이며 열손실을 수반하고 최초에는 차가운 물이 나온다.
※ 고층건물에서 많이 사용된다.
상향식 급탕배관
하향식 급탕배관
3) 순환방식
●급탕관과 반탕관과의 밀도차에 의해 생기는 자연 순환력을 이용한 중력식(자연 순환식)
●배관의 마찰손실을 극복 하기 위해 저양정의 와권펌프와 라인 펌프 등의 강제순환 펌프 를 쓰는 강제식
※ 강제순환식은 중력순환식과 비교해서 관경을 적게할 수 있으며, 그 순환 펌프의 양정 H 는 L을 급탕주관의 全길이, l을 반탕관의 全길이 (m)로 하면 다음식으로 구함
L
H = 0.01 ( ---- + l ) [m]
2
5. 급탕배관 시공상 유의사항
5-1 배관물매(구배)
물이 뜨거워지면 水中에 포함된 공기가 분리하기 쉽게 되고, 이 공기는 배관 도중의 曲部에 체류하면서 탕의 순환을 방해한다. 따라서, 배관은 되도록 요철부가 없도록 시공하 고 또 공기를 빼는 방향으로 先上向 물매로 하되 가능한한 큰 물매를 취해야 한다.
⇒ 상향공급방식에서는 급탕 수평주관은 앞올림 구배, 복귀관(반탕관)은 앞내림 구배
⇒ 하향공급방식에서는 급탕관, 복귀관 모두 앞내림 구배
※ 배관물매는 중력순환식에서 1/150이상, 강제순환식에서 1/200이상으로 한다.
※ 부득이하게 요철부가 생겼을 때는 공기빼기밸브(Air Valve)를 설치하여야 한다.
5-2 배관의지지
급탕배관은 급수관에 준하여 지지해야 한다. 또한, 신축이 음쇠의 설치는 신축량이 무리없이 흡수되도록 정확하게 해야 하며, 신축이음마다 이음쇠 혹은 그 부근에서 배관을 지지하도록 한다.
5-3 배관 슬리이브
벽이나 바닥 등을 배관이 관통하는 경우에는 급수설비에서와 마찬가지로 슬리이브를 설치하여, 관의 신축에 따라 배관 계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5-4 수압시험
급탕배관의 공사가 완료되면 보온 피복공사에 앞서 수압시험을 하고, 접합부 등으로 부터의 누수 등이 없는 가를 검사한다. 시험압력은 가열기·저텅조 등을 포함하여 사용압력의 2∼3배로 한다. 이 때 배관계의 압력은 17.5kg/cm2 정도로 하는 데, 온수 보일러의 내압은 2∼3kg/cm2 정도 이므로, 보일러나 저탕조에는 배관계의 시험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6 배관재와 안전장치
6-1 배관재료와 부속품
급탕용 배관재에는
배관용 탄소강, 강관(백관), 동관, 황동관
※ 급탕설비에 있어서는 水(湯)中의 용존산소가 잔존하기 때문에, 금속에 대한 부식작용이 크다.
⇒ 급탕관에는 내식성이 있는 동관·황동관을 사용
※ 강관(백관)도 사용되지만 수명이 짧다.
☞ 동관은 강관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
① 관내면이 매끄러워 마찰저항이 적다.
② 스케일의 沈着이 적다.
③ 산화피막이 생성됨으로서, 부식이 내부에서 진행되기 어렵다.
④ 경량이며 가공성이 용이하다.
6-2 배관 신축이음
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서 신축이음쇠를 쓰며, 다음의 4가지가 있다.
① 스위블(Swivel)형 이음쇠
② 신축곡관(통칭 타코 Bend)
③ 슬리이브(Sleeve)형 이음쇠(단식, 복식)
④ 벨로우즈(Bellows)형 이음쇠(단식, 복식)
●슬리이브형과 벨로우즈형 신축이음쇠는 30㎜ 정도의 신축을 흡수
●직관부일때
⇒ 강관은 30m 마다 1개
⇒ 동관에서는 20m 마다 1개씩 설치
●실내 급탕용으로는 일반적으로 벨로우즈형이 많이 사용
신축이음쇠
6-3 보온
급탕설비에 있어서는 급탕배관과 가열기기의 온도유지(열손실을 방지)를 위해 보온피복이 행해진다.
1) 보온재의 종류
급탕용 배관 및 기기의 보온재로는
석면·규조토·암면·유리면·탄화 코르크·우모 펠트·규산 칼슘·포옴 폴리스틸렌 등
※ 보온재는
① 안전 사용온도
② 열전도율
③ 내구년수
④ 가격
⑤ 불연성, 적응성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여야 한다.
2) 보온시공
피복공사의 시공에 있어서 구체적인 주의사항
① 암면 등의 흡습성 재료는 물에 젖으면 단열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시공시에 양생 을 충분히 한다.
② 배관의 보온시공은 수압시험 후에 한다.
③ 테이프 감기는 배관의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올려 감으며, 접착 테이프로 마감한다.
④ 펌프·신축이음·밸브는 보온을 하지 않는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1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