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댄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스포츠댄스의 종류>
1. 라틴댄스
1)룸바
2)차차차
3)자이브
4)삼바
5)파소도블레
2.모던댄스
1)왈츠
2)탱고
3)폭스트로트
4)퀵스텝
5)비엔나 왈츠

<스포츠댄스의 역사>

<나의생각>

본문내용

계층에서 시작한 민속무용을 특권계층(왕족 및 귀족출신)에서 사교적 오락의 일환으로 세련되게 다듬어 실내 오락적 요소를 가미하였다면 「라틴 아메리칸 댄스」은 노동력을 충족하기 위하여 아프리카로부터 수입한 흑인노예들의 특유한 민속무용이 결합되어 농장 또는 마을의 골목 및 술집 등지에서 라틴계의 혈통과 아프리카 흑인계 혈통의 혼혈아들이 추었던 춤들을 1910년에서 1950년대에 미국의 영화작품들에서 많이 소개되면서 미국 및 유럽 사교계에 널리 파급되어 이의 사교 무도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던 미국의 무도계와 영국의 무도계에서 이의 학술적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부터이다.
영국에서는 주로 옥외에서 추어졌던 이 새로운 라틴 아메리칸 댄스을 실내무도화로 개발하기 위하여 라틴 아메리칸 댄스의 연구가이며 이 댄스의 대가인 월트 레아드(Walter Laird)씨가 1961년에 테크닉 오브 라틴 댄싱(Technique of Latin Dancing)이란 저서를 발간하였으며 또한 영국무도계에서 이 계통의 위대한 선각자들을 위촉하여 리바이스드 테크닉 오브 라틴 아메리칸 댄싱(Rivised Technique of Latin Americam Dancing)이란 개정판을 발간하여 이의 댄싱 보급화를 위하여 박차를 가함으로서 오늘날에는 세계무도계에 많은 라틴 댄싱의 애호가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내무도화한 이런한 라틴 댄스을 엄밀하게 분석하여 볼 때 전부가 순수한 「라틴 아메리칸 댄스」은 아니다.
룸바(Rumba), 차차차(Cha Cha Cha), 삼바(Samba)는 그 기원이 라틴 아메리카에서 발생한 춤이나, 자이브(Jive)의 모태는 앵글로(Anglo)계통인 북미대륙의 미국에서 발생한 스윙 댄스(Swing Dance)이므로 당연히 「앵글로 아메리칸 댄스」이어야 하며, 파소도브레의 모태는 라틴민족인 스페인(Spain)의 민속무용인 원스텝이므로 이또한 당연히 「라틴 유럽 댄스」라 하여야 할 것이다.
무용사를 돌이켜 볼 때, 오락적인 군중무용은 고대부터 존재하여 왔으나, 사교적인 성격을 띤 궁중댄싱이 성행한 것은 유럽(Europe) 중세기의 루이(Louis) 14세 때부터이다. 고대 희랍시대의 건전한 무용이 고대 로마(Rome)시대에 와서는 타락한 육체적인 춤으로 전락하였고, 이러한 로마시대의 타락한 육체적인 무용이 중세기 기독교 문화에서는 악마의 소업으로 규정하였다. 기독교 사상에 의한 금욕주의와 육체적 제약을 강요한 신앙생활로 인하여 유럽에서는 한때 무용암흑시대를 맞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독교사상의 금욕주의와 육체적 제압에 대한 반향과 농민들의 민요에 의하여 유럽의 농촌에서 발생한 춤이 바로 민속무용(Folk Dance)이다.
이후 육체적 제압의 해방과 인간의 자연 모습을 찾으려는 문예부흥기(Renaissance)를 통하여 모든 무용의 발달과 함께 프랑스 루이 14세가 왕실의 직속기관인 「발레 아카데미」라는 무용 연구기관을 설치하여 유럽 각국의 민속무용을 궁중무도(Court Dance)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량, 발전시킨 것이 초기의「댄스스포츠」이다.
이 때 활용되었던 궁중무용을 오늘날에는 올드 타임 댄스(Old Time Dance)라 한다.
그러나, 1789년의 프랑스 7월 대혁명으로 인하여 루이왕조의 몰락과 함께 특권계층의 춤인 군무의 궁중무도가 18세기에서 19세기를 거쳐 일반대중화 되면서 술집 또는 상류사회의 넓은 무도장으로 옮기게 되어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남녀 1조(Couple)의 완전한 사교 무도가 되었다.
그러나, 20세기초까지의 댄스스포츠은 궁중무도회에서 사용했던 형식인 발레의 기교를 벗어나지 못하였으나, 1895년에 미국 뉴올리언즈에서 발생한 재즈(Jazz)음악에 맞추어 추는 캣슬 워크가 새로이 탄생됨에 따라 오늘날과 같은 촬스톤(Charlston), 트로트(Trot), 원스텝(One Step), 투스텝(Two Step)등의 춤이 미국에서 성행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새로운 춤이 제1차 세계대전때, 영국에 상륙한 미군들에 의하여 보급된 이후, 이때까지 전통적인 영국의 궁중무도의 형태와 도법(Ballet풍의)보다 재즈음악에 맞추어 자유분방하게 추는 춤이 더욱 성행함에 따라 서로 상반된 두 스타일의 혼합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의 혼란과 부작용을 초래하여 이의 표준화를 절감한 영국무도계에서는 새로운 현대무도의 학술적 이론을 정립하기 시작하였고, 24년의 세월이 걸려 오늘날의 스포츠댄싱을 승화시키는데 노력한 사람은 영국 댄스 연구가인 버논 켓슬(Vernon Castle)부처이다.
<나의생각>
스포츠댄스를 처음 접한 것이 아마도 1학년 O.T였던거 같다. 내 기억으로는 내가 그때에도 잘 따라가지 못한걸로 기억이 되는데, 친구들이 스포츠 댄스를 수강하자고 해서 어쩔수 없이 수업을 듣게 되었다.
난 그래도 평상시에 춤은 조금은 출주 알았기 때문에, 어렸을때랑 다를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여전히 힘들었던거 같다. 더구나 학교 행사 오페라 연습 때문에 몇번 수업을 못 들으니 따라가기엔 너무 힘들었다. 난 이번 수업을 통해서 내가 몸치임을 깨달았다. 이상하게 내 몸으로 느끼지 못하면 리듬감같은 것을 타지 못하면 누가 하는 것을 보아도 이론적으로 가르쳐줘도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스포츠댄스라고 하면 예전의 나도 그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상하고 은밀하고 아줌마 아저씨들이 추는 거라고 생각되었는데, 이 수업을 듣고 나니 그 동안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생각임을 깨달았다. 얼마 전에 케이블 티비를 돌리다가 무순동회인지 사람들이 차차차를 추고있었다. 예전 같으면 이것이 무엇인지도 무심코 지나갈만한 프로그램이었는데 나도 모르게 한참 들여다 보고있었던 생각이 난다. 한가지 꿈을 꾸어 본다면 먼 훗날 남편과 멋진 야외 무대같은데서 이런걸 즐겨보고 싶다.^^ 그러면 정말 멋진 부부가 되지 않을까? ^^
한 학기 동안 좁은 공간에서 선생님과 친구들이 힘들게 땀흘리며 공부했지만 정말 좋았던 수업이 였던거 같다. 힘들긴 했지만 그래도 한학기로 끝내는게 너무나 아쉽다.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가벼운 마음으로 배우고싶다.
선생님, 한 학기동안 비좁고 더운곳(?)에서 저희들을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2.1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9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