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절 소화기계의 구조, 기능, 사정과 구강식도 건강문제 대상자 간호
2절 위장 건강문제 대상자 간호
3절 간, 담도 및 췌장의 외분비 건강문제 대상자 간호
2절 위장 건강문제 대상자 간호
3절 간, 담도 및 췌장의 외분비 건강문제 대상자 간호
본문내용
◈만성 활동성 간염
CAH는 자가 면역 반응이거나 D형 간염과 함께 혹은 단독적으로 B형간염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다.
(2)간호과정
①사정
②간호진단
③간호중재
피로완화 : 간염과 관련된 피로감
적절한 운동
영양관리
소양감완화
환자교육
3)간경변증(간경화증)
(1)질병과정이해
간경변증(cirrhosis)은 넓게 퍼진 섬유증(fibrosis)과 소결절(nodule)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의 질환이다.
①원인
알콜섭취, 영양부족, 약물 및 화학물질, 독성, 급성, 만성감염후, 담관폐쇄, 대사장애질환
◈괴사 후 경변증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을 애은 후에 온다.
◈담즙성 경변증
만성 담낭염 혹은 담관 폐쇄에 의해 발병한다.
◈울혈성 경변증
울혈성 심부전에 의해 발병한다.
◈Laennec's 혹은 솔결절성 경변증
②병태생리
간세포의 광범위한 파괴가 있다. 주기적인 병세악화는 담즙 정체, 돌연한 황달등으로 나타난다. 문맥성 고혈압은 경변증이 심할 EO 발생한다. 문정맥압의 증가는 혈액의 역류와 식도, 제대, 위직장(superior rectus)정맥 확대와 정맥류 출혈, 복수증, 신진대사 노폐물의 불완전한 제거로 이한 간성 뇌질환
③증상 및 징후
초기단계의 사정 결과로는 간의 비대, 맥관의 변화, 검사실 검사의 비정상적인 수치 등이 있다. 촉진해 보면 간이 단단하고(반흔조직으로), 덩어리(소결절)가 만져지며, 비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경변증이 진전되면 증상으로 복수, 정맥류로부터의 위장관 출혈, 뇌질환등과 같은 심한 합병증이 나타난다. 비장 비대는 문맥성 고혈압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④진단
혈청효소(ALT,AST,LDH)가 상승되고 저알부민혈증과 prothrombin time의 지연등을 보인다. 간 생검을 통하여 명확한 진단을 내릴수 있으나 검사후 합졍증이 있을 수 있다.
⑤치료
합병증을 조절한다. 문맥성 고혈압과 식도 정맥류의 출혈, 복수, 간성 뇌질환 등이 간경변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들이다. 간의 기능을 극대화시킨다. 내재한 원인을 치료한다. 가염을 예방한다.
◈약물관리
비타민 B와 지용성 비타민(vitamin A.D.E.K)을 투여한다.
◈식이관리
단백질(혈액내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일 EO 한해서)과 칼로리가 높아야 한다.
(2)간호과정
①사정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문맥성 고혈압, 복수, 간성 뇌질환과 같은 경변증 합병증에 대한 증상들에 사정
②간호진단
③간호중재
적절한 영양유지 : 단백질을 공급해야 하지만, 간성 뇌질환을 촉진시킬 정도로 많이 공급해야 하지만, 간성 뇌질환을 촉진시킬 정도로 많이 공급해서는 안된다. 만일 암모니아치가 상승하면(정상 범위 : 신생아 90~150ug/dl, 어린이 40~80ug/dl, 성인 15~45ug/dl)단백질과 암모니아가 풍부하게 포함된 음식물은 제한한다. 대상자가 복수와 부종이 있다면 수분과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비타민 A.D.E.K를 구강으로 공급한다.
적절한 활동유지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출혈예방 : 출혈의 위험성이 크므로 간호사는 잇몸 출혈, 자반증(purpura), 흑색변(melena), 혈뇨 및 토혈등을 관찰한다.
환자교육 :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알콜과 간독성 약물을 삼가고, 영양가 있는 식사를 하면 오래 살 수 있다고 격려한다.
(3)간경변증의 합병증
①문맥성 고혈압
질병과정이해
◈원인
문맥 폐쇄의 흔한 원인은 혈전(thrombus)이고, 그 다음으로 조양(tumor)에 의한 폐색이다.
◈병태생리
정상문액압은 5~10mmHg이다.
◈증상 및 징후
문맥성 고혈압이 있는 대상자에게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식도정맥류(esophangeal varix)
·배꼽 부위에서 가지 쳐서, 흉골과 늑골로 향하는 약간 꼬불꼬불한 상복부혈관
·촉진이 가능할 정도의 비장 비대
·내치질
·상복부의 자음(bruits)
·간질환과 함께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복수
◈진단
문맥압의 직접적인 측정ㅇ은 간스캔(liver scans), 복부혈관조영술(abdominal angiography), 간 생검
·내과적 관리
급성 정맥류 출혈에 대한 내과적인 치료는 정맥수축제인 vasopressin 혹은 somatostain의 사용, 내시경적 경화법, 정맥류의 내시경적 결찰등으로 이루어진다. Balloon tamponade를 통하여 손상된 정맥류에 압박을 가하면 출혈이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중재를 위하여 Sengstaken-Blakemore나 Minnesota 튜브를 위내로 삽입하고 식도와 위의 풍선을 부풀게 한다.
·외과적 치료
문맥 전신 우회(portosystemic shunt)를 만든다.보다 새로운 절
TIPS(transjug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라고 불리우는데 이방법에서 스텐트는 간정맥과 문맥 사이에 놓여진다.
가호과정
◈간호중재
출혈예방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 Sengstaken-Blakemore튜브를 삽입한 대상자에게는 튜브의 삽입과 관련하여 신체 손상의 위험성이 있게 된다. 즉 식도 풍선의 압력은 식도의 출혈을 멈추게 할 뿐만 아니라 식도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주기적으로 식도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어 주어야 한다. 합병증은 기도폐색(sirway obstruction)이다. 이런 응급사태에 대비하여 간호사는 침상 옆에 가위를 준비해 두어야 한다.
합병증 관리 : 대상자가 문맥 고혈압으로 문맥 전신 우회술(portosystemic shunt surgery)을 시행했다면 간호사는 수술 후 간호를 제공한다.
②복수
질병과정이해
◈원인
복수(ascites)는 복강내에 수분이 축적되는 것
◈병태생리
복수가 형성되는 세가지 기전을 요약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혈장과 임파에 정수압 상승으로 임파성 정체가 일어나 복강내로 수분의 유출을 일으킨다.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한 교질 삼투압 저하가 복강내로 수분의 유출을 일으킨다.
·저하된 순환혈량은 고알도스테론증을 야기시킴으로써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정체가 있게 되며 더 나아가 복강내에 수분축적을 증가시킨다.
◈증상 및 징후
복수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복부 팽만, 옆구리패윤(bulgingflank), 아래고 돌출된 배꼽등이 있다.
CAH는 자가 면역 반응이거나 D형 간염과 함께 혹은 단독적으로 B형간염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다.
(2)간호과정
①사정
②간호진단
③간호중재
피로완화 : 간염과 관련된 피로감
적절한 운동
영양관리
소양감완화
환자교육
3)간경변증(간경화증)
(1)질병과정이해
간경변증(cirrhosis)은 넓게 퍼진 섬유증(fibrosis)과 소결절(nodule)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의 질환이다.
①원인
알콜섭취, 영양부족, 약물 및 화학물질, 독성, 급성, 만성감염후, 담관폐쇄, 대사장애질환
◈괴사 후 경변증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을 애은 후에 온다.
◈담즙성 경변증
만성 담낭염 혹은 담관 폐쇄에 의해 발병한다.
◈울혈성 경변증
울혈성 심부전에 의해 발병한다.
◈Laennec's 혹은 솔결절성 경변증
②병태생리
간세포의 광범위한 파괴가 있다. 주기적인 병세악화는 담즙 정체, 돌연한 황달등으로 나타난다. 문맥성 고혈압은 경변증이 심할 EO 발생한다. 문정맥압의 증가는 혈액의 역류와 식도, 제대, 위직장(superior rectus)정맥 확대와 정맥류 출혈, 복수증, 신진대사 노폐물의 불완전한 제거로 이한 간성 뇌질환
③증상 및 징후
초기단계의 사정 결과로는 간의 비대, 맥관의 변화, 검사실 검사의 비정상적인 수치 등이 있다. 촉진해 보면 간이 단단하고(반흔조직으로), 덩어리(소결절)가 만져지며, 비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경변증이 진전되면 증상으로 복수, 정맥류로부터의 위장관 출혈, 뇌질환등과 같은 심한 합병증이 나타난다. 비장 비대는 문맥성 고혈압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④진단
혈청효소(ALT,AST,LDH)가 상승되고 저알부민혈증과 prothrombin time의 지연등을 보인다. 간 생검을 통하여 명확한 진단을 내릴수 있으나 검사후 합졍증이 있을 수 있다.
⑤치료
합병증을 조절한다. 문맥성 고혈압과 식도 정맥류의 출혈, 복수, 간성 뇌질환 등이 간경변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들이다. 간의 기능을 극대화시킨다. 내재한 원인을 치료한다. 가염을 예방한다.
◈약물관리
비타민 B와 지용성 비타민(vitamin A.D.E.K)을 투여한다.
◈식이관리
단백질(혈액내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일 EO 한해서)과 칼로리가 높아야 한다.
(2)간호과정
①사정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문맥성 고혈압, 복수, 간성 뇌질환과 같은 경변증 합병증에 대한 증상들에 사정
②간호진단
③간호중재
적절한 영양유지 : 단백질을 공급해야 하지만, 간성 뇌질환을 촉진시킬 정도로 많이 공급해야 하지만, 간성 뇌질환을 촉진시킬 정도로 많이 공급해서는 안된다. 만일 암모니아치가 상승하면(정상 범위 : 신생아 90~150ug/dl, 어린이 40~80ug/dl, 성인 15~45ug/dl)단백질과 암모니아가 풍부하게 포함된 음식물은 제한한다. 대상자가 복수와 부종이 있다면 수분과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비타민 A.D.E.K를 구강으로 공급한다.
적절한 활동유지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출혈예방 : 출혈의 위험성이 크므로 간호사는 잇몸 출혈, 자반증(purpura), 흑색변(melena), 혈뇨 및 토혈등을 관찰한다.
환자교육 :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알콜과 간독성 약물을 삼가고, 영양가 있는 식사를 하면 오래 살 수 있다고 격려한다.
(3)간경변증의 합병증
①문맥성 고혈압
질병과정이해
◈원인
문맥 폐쇄의 흔한 원인은 혈전(thrombus)이고, 그 다음으로 조양(tumor)에 의한 폐색이다.
◈병태생리
정상문액압은 5~10mmHg이다.
◈증상 및 징후
문맥성 고혈압이 있는 대상자에게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식도정맥류(esophangeal varix)
·배꼽 부위에서 가지 쳐서, 흉골과 늑골로 향하는 약간 꼬불꼬불한 상복부혈관
·촉진이 가능할 정도의 비장 비대
·내치질
·상복부의 자음(bruits)
·간질환과 함께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복수
◈진단
문맥압의 직접적인 측정ㅇ은 간스캔(liver scans), 복부혈관조영술(abdominal angiography), 간 생검
·내과적 관리
급성 정맥류 출혈에 대한 내과적인 치료는 정맥수축제인 vasopressin 혹은 somatostain의 사용, 내시경적 경화법, 정맥류의 내시경적 결찰등으로 이루어진다. Balloon tamponade를 통하여 손상된 정맥류에 압박을 가하면 출혈이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중재를 위하여 Sengstaken-Blakemore나 Minnesota 튜브를 위내로 삽입하고 식도와 위의 풍선을 부풀게 한다.
·외과적 치료
문맥 전신 우회(portosystemic shunt)를 만든다.보다 새로운 절
TIPS(transjug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라고 불리우는데 이방법에서 스텐트는 간정맥과 문맥 사이에 놓여진다.
가호과정
◈간호중재
출혈예방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 Sengstaken-Blakemore튜브를 삽입한 대상자에게는 튜브의 삽입과 관련하여 신체 손상의 위험성이 있게 된다. 즉 식도 풍선의 압력은 식도의 출혈을 멈추게 할 뿐만 아니라 식도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주기적으로 식도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어 주어야 한다. 합병증은 기도폐색(sirway obstruction)이다. 이런 응급사태에 대비하여 간호사는 침상 옆에 가위를 준비해 두어야 한다.
합병증 관리 : 대상자가 문맥 고혈압으로 문맥 전신 우회술(portosystemic shunt surgery)을 시행했다면 간호사는 수술 후 간호를 제공한다.
②복수
질병과정이해
◈원인
복수(ascites)는 복강내에 수분이 축적되는 것
◈병태생리
복수가 형성되는 세가지 기전을 요약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혈장과 임파에 정수압 상승으로 임파성 정체가 일어나 복강내로 수분의 유출을 일으킨다.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한 교질 삼투압 저하가 복강내로 수분의 유출을 일으킨다.
·저하된 순환혈량은 고알도스테론증을 야기시킴으로써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정체가 있게 되며 더 나아가 복강내에 수분축적을 증가시킨다.
◈증상 및 징후
복수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복부 팽만, 옆구리패윤(bulgingflank), 아래고 돌출된 배꼽등이 있다.
추천자료
건강가정기본법-문제점,좋은점
인간발달주기에 따른 정신건강과업,개인발달주기와 가족생활주기,대가족생활주기,가족생활주...
노인생활건강_중간고사_예상문제
[흡연][담배][금연][폐암][일산화탄소][담배연기][심혈관계질환][건강]흡연(담배)의 일산화탄...
[간호학] 귀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건강사정
정신건강론 -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정신건강문제를 찾아[보도자료, 신문 등] 이에 대한 ...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증진방안과 흔한 정신건강문제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증진방안과 흔한 정신건강문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생각
[정신건강론] 자신의 생애사(영유아기 - 성인기)를 에릭슨의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
인간의 발달과정 중 아동기 발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발달과제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련성...
[정신건강론] 정신건강문제 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특징, 증상, 치료와 관리방안을 제...
알코올(알콜) 섭취와 건강문제 {술, 음주, 알코올 급원식품, 알코올 흡수와 대사, 알코올 섭...
간,담도 및 췌장의 건강문제과 간호, 간의구조, 간의기능, 담도의구조, 담도의기능, 췌장의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