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많은 사람들이 비판하기도 했었다. 이책에 대한 토론의 결론은 결국 한국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건가이다. 홍세화씨는 어느 글에서\"끝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나는 글로서 말하는 운동가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론가도 아니고 학자도 아니고 연구자도 아닙니다. 내 글을 읽는 분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나는 논문을 쓰고 있는 게 아닙니다. 이 점을 강조한 것은 내 글에 대한 비판이 한국 사회의 개선을 위한 운동가적인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길 기대한다는 뜻입니다. 이만 줄입니다.\"라고 말했다. 우리가 한국사회를 보고 책을 읽는 것은 변화시키기 위해서 이다. 이 책 토론의 결론 역시 한국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건가. 그러기 위해 우린 무엇을 할 것인가 이다. 홍세화씨는 이것을 위해 글을 쓴다고 날하고 있다.
추천자료
[설국을 읽고][설국 독후감][설국 독서감상문][설국 서평][설국][설국의 인물묘사와 모성적 ...
[채만식][태평천하][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채만식의 태평천하를 읽고, 채만식의 태평천하...
[도서감상문]'한계를 넘어서'를 읽고
(독서감상문)통찰의기술을읽고 (A+자료)
(독서감상문) 공병호 미래인재의조건을읽고(A+자료)
(독서감상문) 여자성공법칙101을읽고
(독서감상문) 더티잡을 읽고
(독서감상문) 결단의 기술을 읽고
(독서감상문) 서른이후50년을읽고(A+자료)
(독서감상문)생각이차이를만든다를읽고 (A+자료)
(독서감상문) 부의미래를읽고나서(A+자료)
(독서감상문) 삼성과소니를읽고(A+자료)
(독서감상문) 세월이 젊음에게를 읽고나서(A+자료)
[A+ 독후감] 아몬드 독서감상문(손원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