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이란
2.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
3. 조작적 조건형성의 인간관
4. 조작적 조건형성의 응용방법
1) 교육
2) 직장
3) 습관 형성
4) 임상 치료
5. 조작적 조건형성의 교육적 응용방법
1)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2)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3) 처벌(Punishment)
4) 소거(Extinction)
5) 차별적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6) 행동 계약(Behavior Contract)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이란
2.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
3. 조작적 조건형성의 인간관
4. 조작적 조건형성의 응용방법
1) 교육
2) 직장
3) 습관 형성
4) 임상 치료
5. 조작적 조건형성의 교육적 응용방법
1)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2)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3) 처벌(Punishment)
4) 소거(Extinction)
5) 차별적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6) 행동 계약(Behavior Contract)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법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수업 중에 부적절한 행동을 할 때 교사가 그 행동을 무시하여 관심을 받지 못하게 함으로써 그 행동이 줄어들도록 한다.
5) 차별적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바람직한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구분하여 각각 다른 강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수업 중 집중하는 모습을 보일 때마다 칭찬을 하고, 집중하지 않을 때는 무시함으로써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6) 행동 계약(Behavior Contract)
학생과 교사 간에 구체적인 행동 목표와 보상을 포함한 계약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한 달 동안 규칙을 잘 지키면 원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계약을 체결하여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과 인간관, 그리고 응용방법을 서술해 보았다. 스키너는 자극반응행동을 강화와 처벌로 구분지어 설명하였다. 처벌은 행동에 부정적 결과를 제공하며, 강화는 특정 행동에 대해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강화는 긍정적 강화(positive feinforcement)와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로 분류되어 진다. 긍정적 강화는 보상, 즉 강화물이 주어짐으로써 반응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자극을 의미한다. 강화물이란 비둘기 상자의 모이와 같은 보상을 주는 것으로 비둘기는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통해 모이(강화물)을 습득하는 경우 긍정적 자극을 지속적으로 얻기 위해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강화할 것이다. 반대로, 부정적 강화는 혐오자극을 제거해주는 강화 자극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전기자극(부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상자 안에서 비둘기가 단추를 누르면 전기자극을 제거할 수 있는 방식이다. 즉, 전기자극을 피하기 위해 비둘기는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통해 전기자극을 제거되는데 비둘기가 나타낸 일정한 반응인 단추를 누르는 행동은 전기자극의 제거로 재강화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반응행동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점에서는 긍정적 강화와 동일하나, 부정적 강화는 추후에 주어질 자극을 제거한다는 의미에서 부정적 강화로 정의되어진다.
참고문헌
김영채 역 (2007). 학습 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진원 (200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대왕사.
임의영(1993).『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인간관』. 서울:문학과 지성사.
문선모(2007). 학습이론:교육적 적용. 파주:양서원.
5) 차별적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바람직한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구분하여 각각 다른 강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수업 중 집중하는 모습을 보일 때마다 칭찬을 하고, 집중하지 않을 때는 무시함으로써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6) 행동 계약(Behavior Contract)
학생과 교사 간에 구체적인 행동 목표와 보상을 포함한 계약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한 달 동안 규칙을 잘 지키면 원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계약을 체결하여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과 인간관, 그리고 응용방법을 서술해 보았다. 스키너는 자극반응행동을 강화와 처벌로 구분지어 설명하였다. 처벌은 행동에 부정적 결과를 제공하며, 강화는 특정 행동에 대해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강화는 긍정적 강화(positive feinforcement)와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로 분류되어 진다. 긍정적 강화는 보상, 즉 강화물이 주어짐으로써 반응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자극을 의미한다. 강화물이란 비둘기 상자의 모이와 같은 보상을 주는 것으로 비둘기는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통해 모이(강화물)을 습득하는 경우 긍정적 자극을 지속적으로 얻기 위해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강화할 것이다. 반대로, 부정적 강화는 혐오자극을 제거해주는 강화 자극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전기자극(부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상자 안에서 비둘기가 단추를 누르면 전기자극을 제거할 수 있는 방식이다. 즉, 전기자극을 피하기 위해 비둘기는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통해 전기자극을 제거되는데 비둘기가 나타낸 일정한 반응인 단추를 누르는 행동은 전기자극의 제거로 재강화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반응행동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점에서는 긍정적 강화와 동일하나, 부정적 강화는 추후에 주어질 자극을 제거한다는 의미에서 부정적 강화로 정의되어진다.
참고문헌
김영채 역 (2007). 학습 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진원 (200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대왕사.
임의영(1993).『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인간관』. 서울:문학과 지성사.
문선모(2007). 학습이론:교육적 적용. 파주:양서원.
추천자료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그 차이점에 대하여
[교수학습이론과매체] 파블로프와 스키너의 학습이론 비교 및 교수이론 특징 설명(고전적조건...
파블로브와 스키너의 학습이론의 설명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이론의 특징
파블로브, 스키너, 손다이크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에 관한 논의(교수학습...
[교육심리학] 파블로브, 스키너, 손다이크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에 관한 ...
학습 이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
고전적 조건형성의 특징과 인간관, 그리고 응용방법을 서술 :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과 인간관, 그리고 응용방법을 서술하시오
교육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의 특징과 인간관, 그리고 응용방법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