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비에 르볼의 수사학을 읽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제 1장 수사학의 역사와 체계
제 2장 문채
제 3장 논증과 설득의 원리
제 4장 수사학의 철학

결론

본문내용

달과 다른 어떤 것, 즉 하늘과 대지의 신비스러우면서도 현실적인 만남을 나타내는 기호임을 이해하게 된다. 은유는 이제 일탈이 아니라 그대로의 것을 말하는 가장 진실된 방식으로 나타난다.
사실 수사학은 일탈이 아니라 항상 약호
) 알기 쉽고 간단하게 만든 부호.
로 존재해왔다. 만일 문채가 일탈로 지각된다면 그것은 바로 일탈이라는 사실 그 자체 때문에 설득력을 잃게 된다. 이 경우 문채는 낡아빠졌거나 충격적인 것이기 때문에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그것은 상투어이거나 실수에 불과하다. 이와 달리 설득력 있는 문채는 현 상황에서 가장 훌륭한 설명방식으로 지각되는 문채이다. 레닌이 1917년 '대지와 평화'라는 슬로건을 외쳤을 때 러시아 농부들은 이 슬로건을 일탈로 지각하지 않았다. 요컨대 수사학은 그 문체론적인 면에서 선례를 통해 문채의 쓰임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전언의 명확함과 효율성을 보존하기 위해 문채의 자유를 제한하는 약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문채는 일탈이 아니라 선택이라고 정의할 수있다. 이 경우 선택이란 단어의 선택, 문채의 선택, 리듬의 선택, 그리고 구문의 선택을 말한다.
③ 수사학과 성실성 : 힘
수사학은 효용적인 기술이다. 그런데 수사학을 의심스럽게 만드는 것은 바로 기능적인 성격 탓이다. 타인을 설득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수사적 담화는 언어 일반의 규칙에서 벗어나지는 않지만 성실성을 나타내는 자연스럽고 가식 없는 언어에서는 벗어난다. 따라서 수사학의 가장 중요한 규칙은 자신은 수사를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성실하게 보이는 것이다. 수사학이 불성실하다고 비난하는 이유가 있다면 성실하든 그렇지 않든 담화는 그것이 수사일 경우 담화 주체에게 힘을 부여하고 담화 주체는 그의 기술에 의해 조종자가 된다. 설사 변론가가 자기가 말한 것에 대해 확신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가 그것을 말하는 방식은 타인들에 대한 부당한 우월감을 부여해준다. 타인들이 결국 납득하더라도 이들에게는 자신들이 납득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수사학적인 방법이 없다. 요컨대 수사학이 제기하는 윤리적인 문제는 기만의 문제가 아니라 힘의 문제이다.
④ 수사학과 철학
철학의 본분은 진리를 찾는데 있다. 그런데 수사학의 가치는 정당함, 효용성, 아름다움이다. 수사학에서 진리는 조금도 찾아 볼 수 없다. 철학은 보편적인 청중을 설득시키는 수사학과 다르다. 프렐망은 수사학은 그 영역이 넓고 풍부하지만 철학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는데 이 문제는 치열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수사학과 철학의 관계를 알아보자.
첫째 프렐망이 지적한 것처럼 철학은 형식논리 아니면 비논리적인 것이라는 식으로 경직된 양자택일에서 벗어나는 일이 필요하다. 인간관계도 하나의 세계이며 여기서 형식논리는 무력하다. 하지만 이 세계도 논리적인 것을 필요로 한다.
둘째, 철학은 자기 고유의 수사학을 자각해야한다. 수사학에 대한 깊은 지식이 있어야한다.
셋째, 철학은 교육의 대상이기 때문에 수사학을 필요로 한다. 모든 위대한 철학자들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수사학을 사용했다.
⑤ 맺음말
수사학에 대한 윤리적 비난은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수사학은 진실임직한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수사학자로부터 단순히 설득적인 담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이치에 어긋나는 일인 것처럼, 수사학자에게 확실한 증명을 요구하는 것도 이치에 어긋나는 일이다. 둘째 수사학은 근본적으로 논쟁적이다. 수사학이 논쟁적이고 찬성과 반대의 추론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다원주의와 민주주의의 원리 그 자체이다. 셋째 수사학은 사람을 조종한다. 수사학은 비판의 도구일 뿐 만 아니라 자기 비판의 도구이기도 하다. 요컨대 기술로서의 수사학이 우리에게 통제력을 준다면 이론으로서의 수사학은 우리를 해방시키다. 넷째 수사학은 감정적인 것과 합리적인 것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뒤섞는다. 하지만 인간 자신이 그러한 혼합체가 아닌가?
수사학은 진리 탐구를 위한 도구가 반드시 아닐지라도 수사학은 평화를 위한 도구, 명석함을 위한 도구, 문화의 도구이다. 수사학이 아니면 야만이 있을 뿐이다.
결론
올리비에 르볼이 지은 수사학을 읽고 수사학의 기원과 수사학의 발전 및 쇠퇴 그리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해석되어온 수사학에 관련된 여러 가지 자료들을 살펴보았다. 시대마다 각기 다르게 해석되어지는 수사학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입장이 서로 다른 철학자들의 견해를, 수사학의 비난에 대한 입장과 수사학의 광범위한 유용성까지 이 책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2.1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