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방법론과 그 이해와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공지능 방법론과 그 이해와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방법론의 변천사

2. 컴퓨터와 지능

3. 인공지능의 철학

본문내용

의 질을 따질 정도는 못되고 일에 몰두하며 느리다.
3단계는 유능한 실행자(competence)이다. 경험이 증가됨에 따라 폭발하는 정보에 대응키 위해 단계별로 의사결정하는 절차를 배우게 된다. 상황을 조직화하거나 목표를 하나 선정하여 계획함으로써 자신의 실행을 단순화하고 개선할 수 있다.
4단계는 숙련기술자(proficient)이다. 능숙한 기술자는 대체로 그의 과제에 몰두에 있으며 근래에 사태를 다뤄온 결과로 얻은 특정한 시각을 갖고서 과제를 관찰한다. 능숙한 기술자가 과제를 이해하고 조직화하는 것은 직관적이지 않다. 물론 그가 의식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서도 진행되는 사태를 이해하지만 아직도 자신이 무엇을 할 것인지에 관해서는 분석적으로 사고한다.
5단계는 전문가(expert)의 단계이다. 전문가는 절차에 대해 의식적으로 알려고 하지 않아도 이해하고 행동하며, 결과들로 부터 배운다. 전문가는 규칙들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드레퓌스는 이러한 기술습득의 5단계를 통해 "전문가의 전문성이 반드시 추론을 포함한다"는 전통적인 생각을 부정한다. 전문가는 자신의 전문영역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항상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전문가와 같은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는 불가능 하다고 할 수 있다.
V. 인공지능과 철학
철학적 성찰은 긍정적 귀결에서만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드레퓌스의 비판에서 처럼 부정적인 결론에서도 중요성이 나타난다. 그 비판은 우리들에게 기호처리가 가능한 영역을 보다 확실히 자각하도록 했으며, 인공지능에서 의사결정을 할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을 제공한다.
한편 컴퓨터에게 인간의 지능을 부여하려는 작업은 지능의 기능을 탐구해갈 뿐 아니라 그를 통해 이성적 자아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즉, 인공지능을 만들면서 미처 깨닫지 못한 지능의 측면을 알아내기도 한다. 예를들어 상식적인 일들은 너무나 비근하기 때문에 쉬운 것으로 여겨져 왔고 주먹구구식의 생각을 하찮은 것으로 무시하여 왔으나, 인공지능의 연구를 통해 상식이 기계에게는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알게 되었다.
또한 인공지능의 의미를 달리 생각한다면 드레퓌스의 비판은 결정적인 것이 될 수 없다. 우리도 새들처럼 하늘을 날고 싶다는 소망은 인간이 새들처럼 똑같이 하늘을 날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비행기 출현으로 모두 실현되었다. 인간의 지능과 꼭 같은 지능을 기계에게 주려고 했던 시도는 아마도 실패했는지는 몰라도 그 바람의 내용이 기능면에서 바뀌어 질 수 있다면 드레퓌스의 비판의 화살은 빗나가게 될 것이다.
정보화 사회는 다량의 정보가 홍수처럼 밀려들고 그 형태도 다양하다. 따라서 인간의 자연적 지능에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처리, 특히 인공지능에 의한 정보처리가 요망되며 이를 성찰해야 하는 것이 철학의 과제이다.
가능한 상황들이 발생할 확률율 검토하고 그 결과들에 대한 가치판단을 다차원으로 고려하여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인공지능의 개발이 요구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2.1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