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증까봐라
■민증까라카이
■파출소로 가자
■민증까라카이
■파출소로 가자
본문내용
적 반응에 특수한 역할을 담당한다. 편도체의 중심핵이 손상되면 다양한 정서행동과 생리적 반응이 감소되거나 소멸된다. 이 영역이 손상된 동물들은 혐오스런 사건과 짝지워졌던 자극이 제시되어도 더 이상 공포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다. 안와전두피질도 인간정서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영역이 손상되면 억제력과 자기-관심이 감소되어 자신이 행한 행동의 결과에 대해 무관심해진다. 그리고 유해한 자극에 대해 감각을 느끼지만은 고통으로 괴로워하지 않으며 고통에 대한 정서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또한, 우반구 손상 환자들에서 정서표현의 결손을 관찰할 수 있다. 우반구가 손상된 환자들은 정서를 나타내는 안면표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부신이 제거되면 실제로 무난히 해결할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이겨내지 못하고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뇌의 한 부위, 중격을 손상시키면 암컷 설치류의 모성행동이 완전히 사라진다. 중격은 해마의 활동을 통제하는데, 이것이 손상되면 공간 속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모성행동이 와해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예는 아주 단편적이며, 적은 예이지만 두뇌는 인간의 정신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며, 두뇌에서 인간의 고귀한 정신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만약, 두뇌가 정신작용의 원인이 될 수 없다면, 뇌가 단순히 운동 기능만을 담당하지 않고 위와 같이 정신작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파출소로 가자
인간은 이제 두뇌를 정복하려 한다. 아직 밝혀내지 않은 부분들이 많지만 두뇌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인간의 정신작용이 두뇌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으며, 마음이라는 것은 곧 두뇌의 작용이라는 것을 믿게 될 것이다.
기독교인이 많은 우리 조에서도 선뜻 일원론을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았다. 일원론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큰 장애물이 된 것은 두뇌가 물질이라는 생각이었다.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인간의 본질이 단순히 두뇌의 작용이라 하면, 웬지 모를 찝찝함과 거리낌 때문에, 그리고 인간의 존귀함이 물질로 하락해버린다는 생각 때문에 사람들은 이렇게 신비스런 두뇌의 작용을 무시하는 것 같다. 이제는 어쩔 수 없이 이해되어버린 이원론적인 입장에서 한 발짝 떨어져서 두뇌를 바라봐야 되지 않을까?
오히려 두뇌를 가졌기 때문에 인간은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하며, 이렇게 신비스런 두뇌로 인해 신의 존재를 더 인정할 수밖에 없지 않나 생각해본다. 신은 인간에게 고귀한 두뇌를 선물로 준 것이다.
뇌의 한 부위, 중격을 손상시키면 암컷 설치류의 모성행동이 완전히 사라진다. 중격은 해마의 활동을 통제하는데, 이것이 손상되면 공간 속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모성행동이 와해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예는 아주 단편적이며, 적은 예이지만 두뇌는 인간의 정신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며, 두뇌에서 인간의 고귀한 정신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만약, 두뇌가 정신작용의 원인이 될 수 없다면, 뇌가 단순히 운동 기능만을 담당하지 않고 위와 같이 정신작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파출소로 가자
인간은 이제 두뇌를 정복하려 한다. 아직 밝혀내지 않은 부분들이 많지만 두뇌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인간의 정신작용이 두뇌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으며, 마음이라는 것은 곧 두뇌의 작용이라는 것을 믿게 될 것이다.
기독교인이 많은 우리 조에서도 선뜻 일원론을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았다. 일원론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큰 장애물이 된 것은 두뇌가 물질이라는 생각이었다.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인간의 본질이 단순히 두뇌의 작용이라 하면, 웬지 모를 찝찝함과 거리낌 때문에, 그리고 인간의 존귀함이 물질로 하락해버린다는 생각 때문에 사람들은 이렇게 신비스런 두뇌의 작용을 무시하는 것 같다. 이제는 어쩔 수 없이 이해되어버린 이원론적인 입장에서 한 발짝 떨어져서 두뇌를 바라봐야 되지 않을까?
오히려 두뇌를 가졌기 때문에 인간은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하며, 이렇게 신비스런 두뇌로 인해 신의 존재를 더 인정할 수밖에 없지 않나 생각해본다. 신은 인간에게 고귀한 두뇌를 선물로 준 것이다.
추천자료
[인간관계와 심리학]-소개팅에서 호감도를 유발하는 요인-
검도와 인간을 읽고
[인간심리의 이해] 대인동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들어 이야기해봅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아들러 이론과 프로이드 이론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인간과교육공통]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의 비교설명, 시사점 2) 에릭슨의 성격발...
방통대 인간과심리 교양공통 심리학적 접근 학습이론
(방통대인간행동과사회환경) 방통대 인행사 매슬로우의 인본주의 성격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과 사회 B형]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
[인간의 욕구] 욕구의 의미와 분류 욕구의 성질 욕구만족의 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