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심리의 이해] 대인동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대인동기의 정의
1) 대인동기의 개념
2) 동기의 개념
3) 동기의 기능
4) 동기의 구분
5) 동기의 위계와 발달

Ⅱ. 다양한 대인동기

Ⅲ. 대인동기의 개인차

Ⅳ. 부적응적 대인동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따라서 상대방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게 되어 그로부터 거부당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렇듯, 의존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자신도 인간관계에서 고통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인간관계를 지속하기는 어렵다. 이와는 반대로, 대인동기가 지나치게 결여되어 있는 사람도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내게 된다. 예컨대 친애동기가 현저하게 부족한 사람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는 욕구나 의지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 어렵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고립되고 소외된 대인관계 양상을 나타내게 된다.
2) 부적절한 대인동기
부적절한 대인동기란 특정한 대인관계 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어긋나는 동기를 의미한다.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지닌 사람은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거나 당혹스럽게 만든다. 때로는 주도적이고 지배적인 위치에서 인간관계를 맺어야 할 상황에 처하기도 하고 때로는 지시와 명령을 받으며 일을 해야 할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나이어린 후배와 일을 할 때는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는 반면 부모나 선배와 일을 할 때는 좀 더 순종적이며 추종적인 역할을 하도록 기대된다. 그러나 함께 일하는 상대나 상황에 상관 없이 항상 자신이 주도적이고 지배적인 위치에 서고자 하는 사람은 필연적으로 인간관계에서 갈등을 겪게 된다.
3) 비현실적 대인동기
대인관계에서 현실적인 대인동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현실적인 대인동기란 주어진 대인관계 상황에서 실현가능한 욕구를 의미한다 비현실적인 대인동기를 지니게 되면 결과적으로 좌절과 불만을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다른사람이 항상 자신에게 호감을 갖고 친밀한 행동만을 하리라고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일시적인 모임에서 타인들과 깊이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들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이해를 받고자 하는 사람은 좌절감을 느끼기 쉽다. 이렇듯 비현실적인 대인동기를 지닌 사람은 인간관계에서 스스로 좌절감과 불만족감을 많이 느끼게 된다.
4) 불균형적인 대인동기
대인동기의 적절성과 아울러 대인동기들간의 균형이 중요하다, 인간은 의존동기, 친애동기,지배동기, 공격동기, 자기존중감의동기 등 다양한 대인동기를 지닌다. 이러한 대인동기들 중 어느 하나에만 지나친 중요성을 부여할 경우 대인관계는 원활하게 지속되지 어렵다. 예를들어 타인에게 의존하기만 하거나 타인을 지배하려고만 하는 사람은 타인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5)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
부정응적 대인동기는 개인에게 좌절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불편감을 유발하여 원만한 인간관계를 저해하게 된다. 과도하고 부적절한 대인동기로 인해 생겨나는 인간관계의 문제는 대인동기의 변화를 통해서 극복될 수 있다.
첫째 방법은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대인동기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린시절에 부모로부터 충분한 해정을 받은 사람은 성장하여 애정을 얻기 위해 다른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려 들지 않는다. 어린시절에 애정욕구가 좌절되어 과도한 의존동기를 지니는 사람의 경우, 성인이 되어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속에서 의존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키게 되면 타인에 대한 의존동기가 감소될 수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부적절한 의존동기를 가진사람이 현실적인 인간관계에서 그러한 체험을 하는 일을 결코 쉽지 않다.
두 번째 방법은 의식적인 조절을 하는 방법이다. 흔히 부적잘한 대인동기를 지니는 사람은 흔히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탓하는 경우가 많다. 부적절한 대인동기가 스스로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도 모르게 그런 욕구가 자꾸 솟아오르게 된다. 부적절한 대인동기의 변화를 위해서는 자신의 인간관계 방식을 스스로 잘 관찰하여 이러한 동기가 자신에게 내재해 있음을 자각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자각과 이해의 바탕 위에서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조절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면 대인관계의 개선이 가능하다.
Ⅴ. 참고문헌
① 인간의 동기심리 / 한덕웅 / 박영사
②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 권석만 / 학지사 / pp109~pp134
③ 심리학의 이해 / 윤가현 외15명 / 학지사 / pp233~pp245
④ 인간행동과 심리학 / 오세진 외14명 / 학지사 / pp197~pp222
⑥ 현대 심리학 이해 / 현성용 외17명 / 학지사 / pp284~304
⑦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4449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06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