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성격(sports personality)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격의 구조 (Hollander. 1967)

2. 성격의 특징

2. 성격의 측정

3. 스포츠 성격연구의 문제점

4. 스포츠 성격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

5. 심리검사의 사용과 관련된 주의사항

6. 스포츠와 성격발달

본문내용

비교하지 말아야 한다.
6. 스포츠와 성격발달
1) 여자선수의 성격특성
Williams(1980) : 여자 선수들도 남자선수와 비선수간의 성격특성의 차이와 동일한 양상의 성격차이가 있음
성취지향적, 독립적, 공격적, 정서적으로 안정되었으며, 단호한 성격
준거집단
비교집단
성격특성
단체종목
개인종목
보다 불안하다, 보다 의존적이다, 덜 민감하고 추상적이다, 보다 외향적이다
비선수
덜 추상적, 보다 외향적, 보다 의존적, 자아개념이 강하다.
직접적 종목
평행적 종목
보다 의존적, 자아개념이 약하다
비선수
덜 추상적, 보다 외향적, 보다 객관적, 보다 독립적
개인종목
비선수
덜 추상적, 덜 불안, 보다 독립적, 보다 객관적
평행적 종목
비선수
덜 추상적, 덜 불안, 덜 독립적, 자아개념이 강하다.
2)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성격비교
스포츠 형태별, 선수와 비선수의 성격비교 (Schurr. 1977)
3) 우수선수와 빙산형 프로파일 (iceberg profile)
성공적인 우수선수가 전체기준보다 활력을 제외한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란에서 낮은 점수를 가지며 이 모양이 빙산형태를 보인다는 프로파일
빙산형 프로파일
4) 우리나라 국가대표선수들의 심리행동적 특성 (장덕선. 1995)
- 자신의 생활을 철저히 관리한다.
- 자신과 상황을 잘 파악한다.
- 일지를 적는다.
- 강한 목표달성의 신념이 있다.
- 기대에 대한 부담을 갖는다.
- 경험으로 정신력을 보완한다.
- 정신적 지주의 도움을 받는다.
- 승리의 꿈을 갖고 있다.
5) 우수 선수의 심리전략 (Weinberg, Gould(1995)
- 경기중 역경에 대처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연습한다.
- 경기중과 경기전에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처하는 일련의 전략을 연습한다.
- 당면한 수행에 완전히 집중을 하고 경기와 관련 없는 사건이나 생각은 배제한다.
- 경기전에 정신연습을 한다.
- 경기전에 상대선수에 대하여 걱정하지 않고 자신이 할 수 잇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
- 자세한 경기계획을 갖고 있다.
- 각성과 불안을 조절하는 방법을 익힌다.
7.심리검사와 오류
1) 잘 보이려는 허위반응(Faking good)
2) 나쁘게 보이려는 허위반응(Faking bad)
3) 보수적 반응유형(Conservative responce style)
8. 스포츠 성격연구 요약 (Vealey. 1992)
1) "선수성격"은 존재하지 않는다.
2) 우수선수는 긍정적인 정신건강, 긍정적인 자아개념, 바람직한 인지전략을 소유하고 있다.
3) 스포츠 참가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성격특성을 발달시켜 주지는 않는다.
4) 규칙적인 운동은 자아개념과 정서상태를 향상시킨다.
<참고문헌>
1. 고흥환, 김기운, 장국진(1998). 운동행동의 심리학. 서울 : 보경문화사.
2. 박정근(1998). Sports 심리학. 서울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3. 이강평, 은희관(1994). 운동생리심리학과 운동학습. 서울 : 도서출판 금광.
4. 정청희, 김병준(1999). Sports 심리학의 이해. 서울 : 도서출판 금광.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2.18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