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여는말
2.1막 1장
3.1막 3장
4.1막 2장과 2막 1장
5.2막 2장
6.맺음말
2.1막 1장
3.1막 3장
4.1막 2장과 2막 1장
5.2막 2장
6.맺음말
본문내용
기하고 무시해버린 모든 것들을 집합적으로 나타내주는 말이다. 이 대사는Angie를 포함한 그녀의 부모, 동생, 유산시켜 버린 아기들의 겁에 질린 모습을 연상하게 만든다. Angie의 대사는 Marlene의 위협적인 권력과 그 위협을 당하는 무력한 것들(working class)의 모습을 관객들이 생생하게 인지하게 하며, 여성 문제의 심각성을 환기시준다. 그리고 Angie의 암울한 외침으로 끝을 맺는 결말은 관객들에게 열린 결말을 제시하여,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적극적인 참여자의 위치로 끌어들인다.
맺음말
Caryl Churchill의 『Top girls』는 사회주의적 페미니즘 연극으로 working-class출신의 Marlene이라는 여성의 출세 과정을 통해서 우리 사회를 이루고 있는 지배와 억압의 구조를 관객들에게 보여주고자 한 연극이다. 작가는 능력있는 여성은 성공할 수 있다는 부르주아적인 페미니즘의 한계를 지적하고 여성들조차도 서로 단결하여 연대적인 power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한다. 출세한 여성들의 성공은 사회 체제에 복종하고 적응한 결과이며 이렇게 성공한 여성들 또한 가부장적 사회질서에 편승하여 다시 여성 내부에서도 권력 구조를 형성하여 다수의 여성들을 억압하고 있다는 것이다. Churchill은 결국 사회 체제의 전체적인 개혁만이 이러한 억압과 피억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열린 결말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을 문제 해결의 주체로 직접 끌어올리고 있다.
현대 사회는 여성들이 슈퍼 우먼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집안 일도 잘 하면서 자신의일을 가지는 독립적인 여성을 원한다. 우리 여성들조차도 이러한 사회가치 체계에 따라 자신의 목표를 거기에 맞추고 둘 다를 이루기를 원한다. 그러나 두 가치의 실현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수많은 여성들이 세우는 이러한 가치 기준은 결국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인 사회가 만들어낸 것으로 여성 자신을 이 가치의 틀 속에 끼워넣는 것이다. 남성들이 만든 사회에서 남성들의 가치로 성공을 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여권 신장과 여성 해방이 될 수 없다. 이는 곧 Churchill이 말하는 체제 자체의 개혁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될 것들이 있다. 바로 우리 주변의 자신보다 못한 우리 이웃들의 고려이다. Churchill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은 소외받는 대다수의 여성들을 의미하며 나아가 노동자 계층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지 급진적인 사회주의적인 관점이 아니라하더라도 소외 받는 자에 대한 고려는 언제나 인류 보편적인 문제의 핵심이었으며, 이런 맥락에서 Churchill의 연극이 시사하는 문제를 페미니즘의 시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순환되는 인류 보편의 문제로 파악함이 옳을 것이다.
참고서적:
「The Play of Caryl Churchill」
「The woman writer」
「Caryl Churchill의 'Clude Nine'과 'Top Girls'를 통해서 본 가능성의 전략」
The Feminist Perspective
맺음말
Caryl Churchill의 『Top girls』는 사회주의적 페미니즘 연극으로 working-class출신의 Marlene이라는 여성의 출세 과정을 통해서 우리 사회를 이루고 있는 지배와 억압의 구조를 관객들에게 보여주고자 한 연극이다. 작가는 능력있는 여성은 성공할 수 있다는 부르주아적인 페미니즘의 한계를 지적하고 여성들조차도 서로 단결하여 연대적인 power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한다. 출세한 여성들의 성공은 사회 체제에 복종하고 적응한 결과이며 이렇게 성공한 여성들 또한 가부장적 사회질서에 편승하여 다시 여성 내부에서도 권력 구조를 형성하여 다수의 여성들을 억압하고 있다는 것이다. Churchill은 결국 사회 체제의 전체적인 개혁만이 이러한 억압과 피억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열린 결말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을 문제 해결의 주체로 직접 끌어올리고 있다.
현대 사회는 여성들이 슈퍼 우먼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집안 일도 잘 하면서 자신의일을 가지는 독립적인 여성을 원한다. 우리 여성들조차도 이러한 사회가치 체계에 따라 자신의 목표를 거기에 맞추고 둘 다를 이루기를 원한다. 그러나 두 가치의 실현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수많은 여성들이 세우는 이러한 가치 기준은 결국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인 사회가 만들어낸 것으로 여성 자신을 이 가치의 틀 속에 끼워넣는 것이다. 남성들이 만든 사회에서 남성들의 가치로 성공을 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여권 신장과 여성 해방이 될 수 없다. 이는 곧 Churchill이 말하는 체제 자체의 개혁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될 것들이 있다. 바로 우리 주변의 자신보다 못한 우리 이웃들의 고려이다. Churchill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은 소외받는 대다수의 여성들을 의미하며 나아가 노동자 계층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지 급진적인 사회주의적인 관점이 아니라하더라도 소외 받는 자에 대한 고려는 언제나 인류 보편적인 문제의 핵심이었으며, 이런 맥락에서 Churchill의 연극이 시사하는 문제를 페미니즘의 시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순환되는 인류 보편의 문제로 파악함이 옳을 것이다.
참고서적:
「The Play of Caryl Churchill」
「The woman writer」
「Caryl Churchill의 'Clude Nine'과 'Top Girls'를 통해서 본 가능성의 전략」
The Feminist Perspective
추천자료
[페미니즘][남성 지배문화 이데올로기][페미니즘 이론]페미니즘과 남성 지배문화 이데올로기 ...
[페미니즘][대중매체][여성운동]페미니즘과 대중매체 및 여성운동의 관계와 변화 분석(여성운...
[페미니즘][페미니즘 이론]페미니즘의 정의와 페미니즘 이론 분석 고찰(마르크스주의 페미니...
[페미니즘][페미니즘 이론]페미니즘 어원과 의의 및 페미니즘 이론 고찰(마르크스주의 페미니...
[페미니즘][한국 페미니즘 이론][페미니스트]페미니즘의 성립과 이론 및 한국 페미니즘 이론...
[페미니즘][페미니즘 이론][여성운동] 페미니즘의 대두와 발전 및 이론 분석 - 페미니즘의 대...
[페미니즘]페미니즘 심층 고찰(페미니즘 역사적 흐름, 노동조합과 페미니즘, 민주주의와 페미...
[페미니즘][페미니즘 이론][여성운동]페미니즘 이론 심층 분석(자유주의 페미니즘, 마르크스...
[페미니즘][인터넷][사이버공간][대중문화]페미니즘과 인터넷 사이버공간 및 대중문화(페미니...
[페미니즘][페미니스트][여성주의][여성운동][여성]페미니즘 분석(페미니즘이론, 페미니즘이 ...
[페미니즘][여성운동][페미니스트][여성해방운동][남성 지배문화 이데올로기][성매매]페미니...
[페미니즘][페미니즘 이론][그 밖의 페미니즘 이론][한국 페미니즘 이론][페미니스트][여성해...
페미니즘(Feminism) 예술 - 페미니즘 영화와 그것을 향유하는 여성 (남성 중심의 영화, 여성...
페미니즘(Feminism)의 이해와 양성평등교육 (페미니즘의 연원과 전개과정, 페미니즘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