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목적
4. 관찰및결과 - 실험문제
5. 결론
2. 실험이론
3. 실험목적
4. 관찰및결과 - 실험문제
5. 결론
본문내용
면보다 거칠다. 마찰계수가 큰 표면은 표면이 거칠고, 작은 표면은 표면이 더 매끈하다.
[질문 10] 정지마찰계수와 운동마찰계수의 크기 사이에는 어떤 패턴이 있는가?
실험 2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재질 모두 정지마찰계수크기보다 운동마찰계수크기가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문 11] (1)과 (2)의 운동마찰계수가 다르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론상으로는 (1)과 (2)의 운동마찰계수가 동일하게 나와야 하지만 동일한 재질임에도 불구하고 운동마찰계수가 다르게 나온 이유는 실험상의 오차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실험2를 할 때 일정한 힘을 가해야 하지만 사람이 당기기 때문에 일정한 힘을 가하지 못하고 정밀도가 떨어졌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실험1에서는 추를 이용하여 물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점점 속도가 빨라져 가속도가 크게 나와 운동마찰계수 또한 크게 나왔고 실험2에서는 등속도를 유지하려고 했기 때문에 가속도가 더 작게 나와 운동마찰계수가 작게 나왔다.
5. 결론:
실험 1과2를 통해 서로 접촉하고 있는 물제들의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정지 마찰력은 외력에 대항하여 물체를 계속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마찰력을 뜻하는데 최대정지마찰력이 되기 전까지는 외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정지마찰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실험2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이론에 따르면 운동마찰계수는 접촉면의 단면적과는 무관하다고 한다. 그러나 실험1 결과는 단면적에 따라 계수가 변하는 것으로 나왔다.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지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보았다. 단면적에 변화를 줄 때 플라스틱 통 2개를 길게 이어서 실험을 진행했었다. 통 1개당 무게를 늘려주기 위한 막대가 들어있었는데 실험을 진행할 때 이 막대의 정확한 위치는 신경 쓰지 않았었다. 때문에 막대는 각각의 통에서 조금씩 서로 다른 위치에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통에 힘이 쏠리는 부분이 달랐기 때문에 단면적에 의해서 운동마찰계수가 변한 것으로 나왔을 것이다. 다음에 실험을 진행할 때는 막대의 위치에 신경을 쓰거나 플라스틱 통에 딱 맞는 막대를 사용하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실험2결과를 통해서는 재질에 따른 마찰계수는 상대적으로 더 거친 면일수록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역으로 식에서 값들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정지 마찰계수는 이 모든 것에 관계없이 운동마찰계수보다 큰 값을 갖는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질문 10] 정지마찰계수와 운동마찰계수의 크기 사이에는 어떤 패턴이 있는가?
실험 2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재질 모두 정지마찰계수크기보다 운동마찰계수크기가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문 11] (1)과 (2)의 운동마찰계수가 다르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론상으로는 (1)과 (2)의 운동마찰계수가 동일하게 나와야 하지만 동일한 재질임에도 불구하고 운동마찰계수가 다르게 나온 이유는 실험상의 오차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실험2를 할 때 일정한 힘을 가해야 하지만 사람이 당기기 때문에 일정한 힘을 가하지 못하고 정밀도가 떨어졌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실험1에서는 추를 이용하여 물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점점 속도가 빨라져 가속도가 크게 나와 운동마찰계수 또한 크게 나왔고 실험2에서는 등속도를 유지하려고 했기 때문에 가속도가 더 작게 나와 운동마찰계수가 작게 나왔다.
5. 결론:
실험 1과2를 통해 서로 접촉하고 있는 물제들의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정지 마찰력은 외력에 대항하여 물체를 계속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마찰력을 뜻하는데 최대정지마찰력이 되기 전까지는 외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정지마찰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실험2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이론에 따르면 운동마찰계수는 접촉면의 단면적과는 무관하다고 한다. 그러나 실험1 결과는 단면적에 따라 계수가 변하는 것으로 나왔다.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지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보았다. 단면적에 변화를 줄 때 플라스틱 통 2개를 길게 이어서 실험을 진행했었다. 통 1개당 무게를 늘려주기 위한 막대가 들어있었는데 실험을 진행할 때 이 막대의 정확한 위치는 신경 쓰지 않았었다. 때문에 막대는 각각의 통에서 조금씩 서로 다른 위치에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통에 힘이 쏠리는 부분이 달랐기 때문에 단면적에 의해서 운동마찰계수가 변한 것으로 나왔을 것이다. 다음에 실험을 진행할 때는 막대의 위치에 신경을 쓰거나 플라스틱 통에 딱 맞는 막대를 사용하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실험2결과를 통해서는 재질에 따른 마찰계수는 상대적으로 더 거친 면일수록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역으로 식에서 값들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정지 마찰계수는 이 모든 것에 관계없이 운동마찰계수보다 큰 값을 갖는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