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목차
<1> 실습일지 1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2> 실습일지 2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3> 실습일지 3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4> 실습일지 4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5> 실습일지 5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6> 실습일지 6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7> 실습일지 7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8> 실습일지 8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9> 실습일지 9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0> 실습일지 10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1> 실습일지 11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2> 실습일지 12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3> 실습일지 13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4> 실습일지 14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5> 실습일지 15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6> 실습일지 16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7> 실습일지 17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8> 실습일지 18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9> 실습일지 19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20> 실습일지 20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2> 실습일지 2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3> 실습일지 3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4> 실습일지 4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5> 실습일지 5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6> 실습일지 6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7> 실습일지 7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8> 실습일지 8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9> 실습일지 9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0> 실습일지 10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1> 실습일지 11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2> 실습일지 12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3> 실습일지 13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4> 실습일지 14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5> 실습일지 15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6> 실습일지 16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7> 실습일지 17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8> 실습일지 18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19> 실습일지 19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20> 실습일지 20일차
(1) 일정 및 진행 내용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3) 실습지도자 소견란
본문내용
생애 마지막 점검의 시간으로, 실습생들이 자신의 상담 기록을 다시 점검하고 발전할 점을 스스로 반성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 마지막 상담 기법 실습 (10:00~12:00)
- 오늘 오전에는 상담 기법을 종합적으로 복습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실습생들은 이전에 배운 인지행동치료(CBT), 수용 및 전념 치료(ACT), 해결 중심 상담(SFBT)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각 실습생은 자신의 가상의 클라이언트를 설정하고, 그 클라이언트를 위한 맞춤형 상담 전략을 세운 뒤, 이를 바탕으로 상담 롤플레잉을 진행했습니다. 롤플레잉을 진행하는 동안 각 기법이 어떻게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습생들끼리 토론하고,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지도자는 실습생들의 상담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며, 각 기법이 실제 상황에 어떻게 유효한지를 실습생들에게 더욱 명확하게 전달해 주었습니다.
3. 상담 계획서 작성 및 리뷰 (13:00~15:00)
- 점심 후에는 상담 계획서 작성 시간입니다. 실습생들은 가상의 클라이언트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상담 계획서를 작성했습니다. 이 계획서에는 상담 목표, 상담 기법, 진행 단계, 예상되는 어려움 등을 상세히 기록해야 했습니다. 실습생들은 계획서를 작성한 뒤, 각자의 상담 계획서를 동료 실습생들과 공유하며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았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습생들은 상담 계획서를 어떻게 체계적으로 작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동시에 실제 상담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 예측하고 준비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4. 상담 기록의 중요성과 활용 (15:00~16:00)
- 오늘의 중요한 학습 중 하나는 상담 기록의 활용에 대한 시간이었습니다. 실습생들은 상담 중 발생하는 중요한 사건이나 상담의 주요 포인트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특히, 상담의 중요한 순간(예: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발언, 감정 변화, 주요 행동 등)을 어떻게 기록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상담 기록이 상담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변화를 기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습생들이 재차 인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담 목표와 상담 전략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실습생들은 상담 기록을 통한 자기 반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학습했습니다. 기록을 작성하면서 자신의 상담 진행 방식을 점검하고, 어떤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5. 실습 종료 전 종합 피드백 및 회고 (16:00~18:00)
- 실습의 마지막 시간에는 종합 피드백과 함께 각 실습생이 그동안 진행한 상담 실습을 회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실습생들은 자신의 강점과 개선할 점에 대해 성찰하면서, 상담자로서의 성장 과정을 돌아보았습니다. 지도자는 실습생들에게 각자 잘한 점과 미비한 점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었고, 실습생들은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상담 실습에서 어떤 점을 보완하고 강화할지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습니다. 실습생들 간에는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각자가 배운 점을 상호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마지막 실습을 마무리했습니다.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오늘은 실습의 마지막 날이었기 때문에, 그동안 배운 것들에 대해 많은 성찰을 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상담이라는 분야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막막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실습을 통해 상담의 여러 기법을 배우고, 상담의 과정을 실제로 경험하면서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오늘 진행한 상담 기법 실습에서는 인지행동치료와 수용 및 전념 치료를 종합적으로 적용하는 훈련을 했는데, 여러 기법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법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각 기법은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배우면서, 맞춤형 상담 전략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롤플레잉을 진행하면서 실제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상을 해보았고, 다양한 기법들이 실제 상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더욱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상담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깊이 배운 시간이었습니다. 상담을 진행하면서 기록을 정확하게 남기고, 그 기록을 바탕으로 상담 전략을 재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담 기록의 가치를 실감했습니다. 상담을 진행하면서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추적하고, 상담의 흐름을 관리하는 데 있어 기록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깨달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실습을 마친 후 스스로의 발전을 되돌아보면서 자신감을 얻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두려움과 걱정이 많았지만, 실습을 통해 점차 상담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확신을 갖게 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실습을 통해 자신의 상담 스타일과 강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상담 경력을 쌓아 나가며 더 좋은 상담자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3) 실습지도자 소견란
- 실습생은 이번 실습을 통해 상담자로서의 중요한 기초와 심화 지식을 충분히 습득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상담 기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상담 중에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실습을 통해 터득하였습니다. 상담에 있어 상담 기록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객관적인 기록 작성과 자기 반성을 통해 자신의 상담을 평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길렀습니다.
- 실습생은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논의와 자기 점검을 통해 상담자의 윤리적 책임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실습 전반에 걸쳐 적극적이고 성실한 태도로 임하였습니다. 앞으로 실제 현장에서 이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와의 신뢰를 구축하며,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실습생은 전반적으로 상담에 대한 이해와 기술이 많이 향상되었으며, 상담자로서의 자신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실습을 마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학습과 자기 개발을 이어나가며, 더 나은 상담자로 성장할 것을 기대합니다.
2. 마지막 상담 기법 실습 (10:00~12:00)
- 오늘 오전에는 상담 기법을 종합적으로 복습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실습생들은 이전에 배운 인지행동치료(CBT), 수용 및 전념 치료(ACT), 해결 중심 상담(SFBT)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각 실습생은 자신의 가상의 클라이언트를 설정하고, 그 클라이언트를 위한 맞춤형 상담 전략을 세운 뒤, 이를 바탕으로 상담 롤플레잉을 진행했습니다. 롤플레잉을 진행하는 동안 각 기법이 어떻게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습생들끼리 토론하고,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지도자는 실습생들의 상담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며, 각 기법이 실제 상황에 어떻게 유효한지를 실습생들에게 더욱 명확하게 전달해 주었습니다.
3. 상담 계획서 작성 및 리뷰 (13:00~15:00)
- 점심 후에는 상담 계획서 작성 시간입니다. 실습생들은 가상의 클라이언트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상담 계획서를 작성했습니다. 이 계획서에는 상담 목표, 상담 기법, 진행 단계, 예상되는 어려움 등을 상세히 기록해야 했습니다. 실습생들은 계획서를 작성한 뒤, 각자의 상담 계획서를 동료 실습생들과 공유하며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았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습생들은 상담 계획서를 어떻게 체계적으로 작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동시에 실제 상담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 예측하고 준비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4. 상담 기록의 중요성과 활용 (15:00~16:00)
- 오늘의 중요한 학습 중 하나는 상담 기록의 활용에 대한 시간이었습니다. 실습생들은 상담 중 발생하는 중요한 사건이나 상담의 주요 포인트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특히, 상담의 중요한 순간(예: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발언, 감정 변화, 주요 행동 등)을 어떻게 기록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상담 기록이 상담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변화를 기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습생들이 재차 인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담 목표와 상담 전략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실습생들은 상담 기록을 통한 자기 반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학습했습니다. 기록을 작성하면서 자신의 상담 진행 방식을 점검하고, 어떤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5. 실습 종료 전 종합 피드백 및 회고 (16:00~18:00)
- 실습의 마지막 시간에는 종합 피드백과 함께 각 실습생이 그동안 진행한 상담 실습을 회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실습생들은 자신의 강점과 개선할 점에 대해 성찰하면서, 상담자로서의 성장 과정을 돌아보았습니다. 지도자는 실습생들에게 각자 잘한 점과 미비한 점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었고, 실습생들은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상담 실습에서 어떤 점을 보완하고 강화할지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습니다. 실습생들 간에는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각자가 배운 점을 상호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마지막 실습을 마무리했습니다.
(2) 실습생 의견 및 배운점/느낀점
오늘은 실습의 마지막 날이었기 때문에, 그동안 배운 것들에 대해 많은 성찰을 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상담이라는 분야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막막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실습을 통해 상담의 여러 기법을 배우고, 상담의 과정을 실제로 경험하면서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오늘 진행한 상담 기법 실습에서는 인지행동치료와 수용 및 전념 치료를 종합적으로 적용하는 훈련을 했는데, 여러 기법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법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각 기법은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배우면서, 맞춤형 상담 전략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롤플레잉을 진행하면서 실제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상을 해보았고, 다양한 기법들이 실제 상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더욱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상담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깊이 배운 시간이었습니다. 상담을 진행하면서 기록을 정확하게 남기고, 그 기록을 바탕으로 상담 전략을 재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담 기록의 가치를 실감했습니다. 상담을 진행하면서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추적하고, 상담의 흐름을 관리하는 데 있어 기록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깨달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실습을 마친 후 스스로의 발전을 되돌아보면서 자신감을 얻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두려움과 걱정이 많았지만, 실습을 통해 점차 상담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확신을 갖게 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실습을 통해 자신의 상담 스타일과 강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상담 경력을 쌓아 나가며 더 좋은 상담자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3) 실습지도자 소견란
- 실습생은 이번 실습을 통해 상담자로서의 중요한 기초와 심화 지식을 충분히 습득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상담 기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상담 중에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실습을 통해 터득하였습니다. 상담에 있어 상담 기록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객관적인 기록 작성과 자기 반성을 통해 자신의 상담을 평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길렀습니다.
- 실습생은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논의와 자기 점검을 통해 상담자의 윤리적 책임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실습 전반에 걸쳐 적극적이고 성실한 태도로 임하였습니다. 앞으로 실제 현장에서 이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와의 신뢰를 구축하며,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실습생은 전반적으로 상담에 대한 이해와 기술이 많이 향상되었으며, 상담자로서의 자신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실습을 마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학습과 자기 개발을 이어나가며, 더 나은 상담자로 성장할 것을 기대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