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게슈탈트 이론, 개념
2. 게슈탈트 이론
3. 게슈탈트 이론의 건축적 접근성
Ⅲ. 게슈탈트 표현이론에 의한 공간으로의 접근 방법
Ⅱ.본론
1. 게슈탈트 이론, 개념
2. 게슈탈트 이론
3. 게슈탈트 이론의 건축적 접근성
Ⅲ. 게슈탈트 표현이론에 의한 공간으로의 접근 방법
본문내용
는 한 장의 양탄자 같은 단순한 것마저도 수평면의 2차원성을 구애하지 않으면서, 공간의 농축도와 점성(粘性)의 변화를 가져온다. 더욱 현저한 것은 기둥, 벽, 탑, 또는 건물같은 수직 돌출물이며, 평면 물체가 수직적 공간 요소를 만나게 되면서 생기는 충돌 현상으로서 평면 물체의 곁, 위, 아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특징지우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완전히 내포된 공간으로서 부분적 내포된 공간을 특징 지우는 공간 지각의 감응이라 할 수 있다.
알도 반아이크(Aldo van Eyck)의 반 실외적 손스베크 파빌리온은 최소의 수단을 가지고 운동과 휴식의 병존을 살림으로서, 공간의 생명력을 향상 시켰다. 균일하게 평행된 배치 벽들이 그 평탄한 넓어짐에 따라 공간의 흐름을 강력히 유발하고 한정한다. 또 한면에는 벽이 가끔 부풀었다, 열렸다, 또는 사라졌다 함으로서 공간이 잠시 멈추고 모이게 되며, 팽창하는가 하면 수축하고 혹은 옆으로 넘쳐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건축이 기능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또 기본 형태를 가능한 간단히
한다는 규칙에 따르는 한, 또 건축이 추상적(抽象的)인 것을 떠나서 대상물화 하는 경향이라면, 나는 그것을 포스트 모던이라 하겠다."라고 한 클로츠Heinrich Klotz에 의하면, 형태를 관찰하다 보면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까지 포섭시킬수 있다. 건축의 도구와 수단을 행함에 있어서 보편성의 결과는 다양한 재료와 색상의 혼합으로 마치 무질서를 위한 공간처럼 인식되어 진다. 대상 공간의 보편성은 전체성의 추구를 유보한 채 일반적 현상으로 인식되기 쉽다.
물리적인 구조와 조합을 통하여 상징적 기능이 리듬과 전체와의 관계 속에서 장식적 구조로서 작용함으로 비기능적인 수단으로 사용된 다른 요소들과 같이 여러 기준에서 양자 공존의 현상을 나타낸다.
Le Corbusier의 'Shodan House'는 닫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려 있다. 즉 그것의 모서리 부분은 고정되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면의 다른 부분은 제 멋대로 개구부가 있는 입방체라 할 수 있다. 'Villa Savoye'는 외부는 단순하지만 내부는 복잡하다. 이는 양자 공존의 중요한 예가 될 수 있다. 양자 공존의 현상이 이중의 의미라 하는데는 대립성과 더불어 변형 작용(Metamorphosis)도 포함된다. 다양한 구성에는 고정된 관계란 생각될 수 없다.
'이중의 기능을 갖는 요소'와 양자 공존'과는 유사한 점과 차이가 공존한다. A. Alto의 'Bremen Apartment'에서 기본적으로 고층 아파트의 단위 주거에 기본을 두고 있으면서 일광과 조명을 위해 경사진 선을 이루고 있다. 북측의 계단, 통로 부분은 단형이고 변형된 주호는 본질적인 직교선과 규칙성이 보존되어 있다. 포스트 모던 건축가들은 건물이 어떤 것을 의미하도록 디자인 하는 것인지, 단순히 기능과 구조의 논리적 해결이나 추상적인 오브제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더니스트들은 표현적 내용을 높이고자 복수적이며 동시적인 의미의 다양한 형태를 추구한다. 공간의 중첩은 입면의 문화적, 예술적 참조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Ⅲ. 결론
건축은 인간의 삶의 공간을 창조하는 역동적인 문화의 형식으로서 다른 예술과의 관계에서 형태로 표현되는 조형 예술이다.
오늘날 다극화하여 더욱 복잡해가는 사회 현실 가운데, 건축 환경은 기능, 구조, 표형, 자연환경과 조화 등에 있어 창조적의미를 넓히고 있다. 인간과 자연의 조화에 관한 물리적 사실로서 형태에 관한 시점에서 모든 요소를 파악한다는 것은 굉장히 작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다만 외부환경과 건축(공간)의 조화를 이루는데 있어 가장 적합하고 종합적인 형태를 갖게 하는데 있어 시각의 본질적 문제에 대해 집고 넘어 가야 할것이기에 게슈탈트 이론에 입각한 시각적 특성을 공간의 부피와 형태의 연속성, 전체성을 통한 시지각적 일체성을 체험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형태가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함에 따른 유기체로서 주위환경에 자연스럽게 동화되도록 함이 목적이라 하겠다.
공간은 인간과 물체를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개체의 존재성을 인정하면서 서로 관계를 맺게하여 역동적인 場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데카르트의 견해에서 인간의 공간성에 대한 포괄적 견해가 인간과 환경간에 조화로운 관계로, 단순히 물리적 접근이 아닌 심리적, 사회적 현상과 더불어 보다 다면적인 접근의 해결을 요구 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H. klotz , 양동양 역 , 현대 건축론 , 서울 , 기문당
이해성 , 현대 건축의 흐름 , 서울 , 세진사
차재호 감수 , 환경심리학 , 서울 , 학지사
C. 험프리 , K. 버틀 , 환경사회학 , 서울 , 학지사
이경회 , 건축환경계획 , 서울 , 문운당
임승빈 , 환경심리행태론 , 서울 , 보성문화사
루돌프 아른하임 , 미술과 시지각 , 서울 , 미진사
<논문>
자아경계 개념으로 본 건축공간 , 박시환 , 김영철 , 건축학회 논문집 , 1993.12
건축적 생산을 위한 방법론적 모형으로 구축된 르 꼬르뷔지에의 '프뤼제스'주거단지
정진국 , 건축학회 논문집 ,1995.5
집합주택 외부공간의 영역성에 관한 연구 -환경지각과 장소성을 중심으로-
이호정 , 이문섭 , 건축학회 논문집 , 1986.4
건축공간의 운동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영철 , 한국과학재단 , 1989.3
불레의 건축형태에 관한 연구 , 정만연 , 건축학회 논문집 , 1989.4
이태리 근대 건축에 미친 쥬제페 테라니의 영향에 관한연구
문오주 , 김성국 , 건축학회 논문집 , 1995.4
안토니오 산텔리아 건축사상과 작품 특성에 관한연구
이용재 , 김성국 , 건축학회 논문집 ,1997. 4
현대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 이일행 , 건축학회 논문집 , 1995.1
인간의 공간 행태에 있어서 환경심리에 관한 연구 , 임만택 , 건축학회 논문집 , 1990.12
정서적으로 충전된 개인공간과 그 건축적 의미 , 김영철 , 건축학회 논문집 , 1995.8
유스호스텔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 박경애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5
알도 반아이크(Aldo van Eyck)의 반 실외적 손스베크 파빌리온은 최소의 수단을 가지고 운동과 휴식의 병존을 살림으로서, 공간의 생명력을 향상 시켰다. 균일하게 평행된 배치 벽들이 그 평탄한 넓어짐에 따라 공간의 흐름을 강력히 유발하고 한정한다. 또 한면에는 벽이 가끔 부풀었다, 열렸다, 또는 사라졌다 함으로서 공간이 잠시 멈추고 모이게 되며, 팽창하는가 하면 수축하고 혹은 옆으로 넘쳐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건축이 기능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또 기본 형태를 가능한 간단히
한다는 규칙에 따르는 한, 또 건축이 추상적(抽象的)인 것을 떠나서 대상물화 하는 경향이라면, 나는 그것을 포스트 모던이라 하겠다."라고 한 클로츠Heinrich Klotz에 의하면, 형태를 관찰하다 보면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까지 포섭시킬수 있다. 건축의 도구와 수단을 행함에 있어서 보편성의 결과는 다양한 재료와 색상의 혼합으로 마치 무질서를 위한 공간처럼 인식되어 진다. 대상 공간의 보편성은 전체성의 추구를 유보한 채 일반적 현상으로 인식되기 쉽다.
물리적인 구조와 조합을 통하여 상징적 기능이 리듬과 전체와의 관계 속에서 장식적 구조로서 작용함으로 비기능적인 수단으로 사용된 다른 요소들과 같이 여러 기준에서 양자 공존의 현상을 나타낸다.
Le Corbusier의 'Shodan House'는 닫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려 있다. 즉 그것의 모서리 부분은 고정되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면의 다른 부분은 제 멋대로 개구부가 있는 입방체라 할 수 있다. 'Villa Savoye'는 외부는 단순하지만 내부는 복잡하다. 이는 양자 공존의 중요한 예가 될 수 있다. 양자 공존의 현상이 이중의 의미라 하는데는 대립성과 더불어 변형 작용(Metamorphosis)도 포함된다. 다양한 구성에는 고정된 관계란 생각될 수 없다.
'이중의 기능을 갖는 요소'와 양자 공존'과는 유사한 점과 차이가 공존한다. A. Alto의 'Bremen Apartment'에서 기본적으로 고층 아파트의 단위 주거에 기본을 두고 있으면서 일광과 조명을 위해 경사진 선을 이루고 있다. 북측의 계단, 통로 부분은 단형이고 변형된 주호는 본질적인 직교선과 규칙성이 보존되어 있다. 포스트 모던 건축가들은 건물이 어떤 것을 의미하도록 디자인 하는 것인지, 단순히 기능과 구조의 논리적 해결이나 추상적인 오브제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더니스트들은 표현적 내용을 높이고자 복수적이며 동시적인 의미의 다양한 형태를 추구한다. 공간의 중첩은 입면의 문화적, 예술적 참조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Ⅲ. 결론
건축은 인간의 삶의 공간을 창조하는 역동적인 문화의 형식으로서 다른 예술과의 관계에서 형태로 표현되는 조형 예술이다.
오늘날 다극화하여 더욱 복잡해가는 사회 현실 가운데, 건축 환경은 기능, 구조, 표형, 자연환경과 조화 등에 있어 창조적의미를 넓히고 있다. 인간과 자연의 조화에 관한 물리적 사실로서 형태에 관한 시점에서 모든 요소를 파악한다는 것은 굉장히 작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다만 외부환경과 건축(공간)의 조화를 이루는데 있어 가장 적합하고 종합적인 형태를 갖게 하는데 있어 시각의 본질적 문제에 대해 집고 넘어 가야 할것이기에 게슈탈트 이론에 입각한 시각적 특성을 공간의 부피와 형태의 연속성, 전체성을 통한 시지각적 일체성을 체험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형태가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함에 따른 유기체로서 주위환경에 자연스럽게 동화되도록 함이 목적이라 하겠다.
공간은 인간과 물체를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개체의 존재성을 인정하면서 서로 관계를 맺게하여 역동적인 場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데카르트의 견해에서 인간의 공간성에 대한 포괄적 견해가 인간과 환경간에 조화로운 관계로, 단순히 물리적 접근이 아닌 심리적, 사회적 현상과 더불어 보다 다면적인 접근의 해결을 요구 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H. klotz , 양동양 역 , 현대 건축론 , 서울 , 기문당
이해성 , 현대 건축의 흐름 , 서울 , 세진사
차재호 감수 , 환경심리학 , 서울 , 학지사
C. 험프리 , K. 버틀 , 환경사회학 , 서울 , 학지사
이경회 , 건축환경계획 , 서울 , 문운당
임승빈 , 환경심리행태론 , 서울 , 보성문화사
루돌프 아른하임 , 미술과 시지각 , 서울 , 미진사
<논문>
자아경계 개념으로 본 건축공간 , 박시환 , 김영철 , 건축학회 논문집 , 1993.12
건축적 생산을 위한 방법론적 모형으로 구축된 르 꼬르뷔지에의 '프뤼제스'주거단지
정진국 , 건축학회 논문집 ,1995.5
집합주택 외부공간의 영역성에 관한 연구 -환경지각과 장소성을 중심으로-
이호정 , 이문섭 , 건축학회 논문집 , 1986.4
건축공간의 운동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영철 , 한국과학재단 , 1989.3
불레의 건축형태에 관한 연구 , 정만연 , 건축학회 논문집 , 1989.4
이태리 근대 건축에 미친 쥬제페 테라니의 영향에 관한연구
문오주 , 김성국 , 건축학회 논문집 , 1995.4
안토니오 산텔리아 건축사상과 작품 특성에 관한연구
이용재 , 김성국 , 건축학회 논문집 ,1997. 4
현대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 이일행 , 건축학회 논문집 , 1995.1
인간의 공간 행태에 있어서 환경심리에 관한 연구 , 임만택 , 건축학회 논문집 , 1990.12
정서적으로 충전된 개인공간과 그 건축적 의미 , 김영철 , 건축학회 논문집 , 1995.8
유스호스텔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 박경애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5
추천자료
교육심리학(교육심리) 분류, 교육심리학(교육심리) 성장발달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 발달...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발달과정이론과 성취동기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소거이론과 ...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 배경,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 성격,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의 자아정체감 개념과 자아정체감 발달,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대표적 경향,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인지발달이론과 창의력발달이...
긍정 심리학 - 긍정 심리학의 정의와 행복과의 관계 - 긍정 심리학의 창시자, 긍정 심리학의 ...
[건강심리학]건강의 의미, 건강심리학 역사, 건강 개입방법, 건강 예방법, 건강심리 전문가 ...
[기독교교육심리 基督敎敎育心理] 자아(Self)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기능주의의 시각, 상호...
미술심리상담의 진행과정 및 진단평가(HTP) - 미술심리상담 프로그램 계획, 미술심리상담 진...
아동발달이론 중 정신분석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 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 ...
발달심리_발달심리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발달심리학은 어떤 대상을 어떻게 연구하고 있는가 ...
사람들이 어떤 성격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은 그 사람이 일을 처리하거나 대인 관계에서 나타나...
심리학과 인접학문과의 관계(심리학과 철학, 심리학과 인식론, 심리학과 자연과학)
심리학의 분야(이론심리학과 응용심리학, 지각심리학, 인지심리학, 학습심리학, 발달심리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