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씨름의 어원
2. 씨름의 역사
1) 근대화 이전
2) 스포츠로서의 근대화
2-1. 우리 나라 씨름의 종류
1) 왼씨름
2) 오른(바른) 씨름
3) 띠씨름
4) 그 밖의 씨름
3. 세계의 씨름
1) 중국의 씨름
2) 일본의 씨름
3) 몽고의 씨름
4) 러시아의 씨름
5) 터키의 씨름
6) 아이슬란드의 씨름
7) 스위스의 씨름
8) 스페인의 씨름
4. 씨름 경기 용어
1) 경기장
2) 심판
3) 반칙
4) 씨름 선수
5) 씨름판
6) 체급
7) 한판(단판) 씨름
8) 삼판 양승
9) 오판 삼승
10) 징계(懲戒)
11) 항의(抗議)
12) 오통 씨름
13) 상씨름
14) 판막음
15) 개판
16) 샅바
5. 씨름의 기술
1) 들 기술
2) 다리 기술
3) 손 기술
4) 되치기 기술
5) 종합 기술
2. 씨름의 역사
1) 근대화 이전
2) 스포츠로서의 근대화
2-1. 우리 나라 씨름의 종류
1) 왼씨름
2) 오른(바른) 씨름
3) 띠씨름
4) 그 밖의 씨름
3. 세계의 씨름
1) 중국의 씨름
2) 일본의 씨름
3) 몽고의 씨름
4) 러시아의 씨름
5) 터키의 씨름
6) 아이슬란드의 씨름
7) 스위스의 씨름
8) 스페인의 씨름
4. 씨름 경기 용어
1) 경기장
2) 심판
3) 반칙
4) 씨름 선수
5) 씨름판
6) 체급
7) 한판(단판) 씨름
8) 삼판 양승
9) 오판 삼승
10) 징계(懲戒)
11) 항의(抗議)
12) 오통 씨름
13) 상씨름
14) 판막음
15) 개판
16) 샅바
5. 씨름의 기술
1) 들 기술
2) 다리 기술
3) 손 기술
4) 되치기 기술
5) 종합 기술
본문내용
본부에 제출하는데, 제출된 항의에 대해서는 본부 소청 위원회에서 판결, 결정함을 원칙으로 하고 집행부를 통하여 발표하게 된다.
12) 오통 씨름
씨름 경기의 한 방법을 개인전에서 다섯 사람을 이겨야 승자전에 진출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되는것.
13) 상씨름
씨름 경기의 결승전.
14) 판막음
씨름 경기에서 계속해서 이긴 사람에 대항할 사람이 없을 때 경기를 끝내는 것.
15) 개판
양선수가 승패가 없이 같이 넘어지는 것.
16)샅바
씨름에서만 볼 수 있는 특유의 용구로 중등부 이상의 샅바는 광목 전폭으로 하되 길이는 3.2m 이내로 하고, 초등학생 샅바는 광목 반폭에 길이 2.5m 이내로 한다. 샅바의 종류에는 청*홍 2가지가 있다.
5. 씨름의 기술
씨름경기의 기술에는 크게 나누어 공격기술인 메치기 기술과 방어 기술, 그리고 공격기술에 대한 되치기 기술 등이 있다. 특히 공격 기술은 들 기술 ·다리 기술 ·손 기술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허리 기술과 연속적 동작인 종합기술로 나누기도 한다.
1) 들 기술
상대방을 자기 앞으로 끌어당겨 위로 들어올리면서 자기의 무릎으로 상대방의 무릎이나 허벅다리를 밀쳐내고 업어치기를 하든지 또 상대방을 좌우로 돌리거나 젖히면서 뒤로 또는 옆으로 넘어뜨리는 것이다.
2) 다리 기술
상대방을 앞으로 끌어당겨 자기의 다리와 발로써 상대방을 걸고 뒤로 밀거나 옆으로 후리거나 앞으로 당겨서 넘어뜨리거나 하며, 또 상대방이 자기를 들려고 할 때 그 힘을 이용하여 다리를 걸어서 뒤로 넘어뜨리는 것이다.
3)손 기술
자기의 손으로 상대방의 다리를 앞으로 당기거나 밀고, 또 다리를 잡아 위로 들고 앞으로 잡아채면서 넘어뜨리는 기술인데, 특히 상대방의 몸 중심에 대한 허점을 이용하여 공격을 하면서 넘어뜨린다. 이 때 자기의 어깨와 몸 전체의 중심을 이용하여야 하고, 또 순간적으로 빠른 동작이어야 한다.
4)되치기 기술
상대방이 자기에게 기술을 걸어 올 때 재치 있게 방어동작을 하면서 상대방의 중심에 대한 허점을 이용하여 되치기로 넘어뜨린다. 이 기술은 씨름기술에 대한 것을 잘 알아서 유효 적절한 기회에 응용하고 활용할 때 씨름의 묘기와 묘미가 돋보인다.
5)종합 기술
들 기술 ·다리 기술 ·손 기술 ·되치기 기술 및 허리 기술 등이 연속적인 동작으로 이어질 때의 기술을 말한다. 즉, 씨름경기를 할 때 공격 기술에 대한 연속적인 연결동작으로 들어서 넘어뜨리려고 하다가 상대방이 들리지 않으려고 밑으로 중심을 줄 때 반대적인 공격을 가하여 넘어뜨리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격적인 기술을 가할 때 상대방이 방어 기술로 동작을 취하면 재빨리 그 동작의 중심에 대한 허점에다 다시 공격 기술을 가하여 넘어뜨리는 것이다.
▶참고문헌
신명수. 씨름
문교부. 체육자료총서 씨름
최상수. 한국의 씨름과 그네의 연구. 1974
두산세계대백과
한국 씨름 연구소http://ynucc.yeungnam.ac.kr/~ssi/
씨름 뱅크 http://members.tripod.co.kr/freecity0/
12) 오통 씨름
씨름 경기의 한 방법을 개인전에서 다섯 사람을 이겨야 승자전에 진출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되는것.
13) 상씨름
씨름 경기의 결승전.
14) 판막음
씨름 경기에서 계속해서 이긴 사람에 대항할 사람이 없을 때 경기를 끝내는 것.
15) 개판
양선수가 승패가 없이 같이 넘어지는 것.
16)샅바
씨름에서만 볼 수 있는 특유의 용구로 중등부 이상의 샅바는 광목 전폭으로 하되 길이는 3.2m 이내로 하고, 초등학생 샅바는 광목 반폭에 길이 2.5m 이내로 한다. 샅바의 종류에는 청*홍 2가지가 있다.
5. 씨름의 기술
씨름경기의 기술에는 크게 나누어 공격기술인 메치기 기술과 방어 기술, 그리고 공격기술에 대한 되치기 기술 등이 있다. 특히 공격 기술은 들 기술 ·다리 기술 ·손 기술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허리 기술과 연속적 동작인 종합기술로 나누기도 한다.
1) 들 기술
상대방을 자기 앞으로 끌어당겨 위로 들어올리면서 자기의 무릎으로 상대방의 무릎이나 허벅다리를 밀쳐내고 업어치기를 하든지 또 상대방을 좌우로 돌리거나 젖히면서 뒤로 또는 옆으로 넘어뜨리는 것이다.
2) 다리 기술
상대방을 앞으로 끌어당겨 자기의 다리와 발로써 상대방을 걸고 뒤로 밀거나 옆으로 후리거나 앞으로 당겨서 넘어뜨리거나 하며, 또 상대방이 자기를 들려고 할 때 그 힘을 이용하여 다리를 걸어서 뒤로 넘어뜨리는 것이다.
3)손 기술
자기의 손으로 상대방의 다리를 앞으로 당기거나 밀고, 또 다리를 잡아 위로 들고 앞으로 잡아채면서 넘어뜨리는 기술인데, 특히 상대방의 몸 중심에 대한 허점을 이용하여 공격을 하면서 넘어뜨린다. 이 때 자기의 어깨와 몸 전체의 중심을 이용하여야 하고, 또 순간적으로 빠른 동작이어야 한다.
4)되치기 기술
상대방이 자기에게 기술을 걸어 올 때 재치 있게 방어동작을 하면서 상대방의 중심에 대한 허점을 이용하여 되치기로 넘어뜨린다. 이 기술은 씨름기술에 대한 것을 잘 알아서 유효 적절한 기회에 응용하고 활용할 때 씨름의 묘기와 묘미가 돋보인다.
5)종합 기술
들 기술 ·다리 기술 ·손 기술 ·되치기 기술 및 허리 기술 등이 연속적인 동작으로 이어질 때의 기술을 말한다. 즉, 씨름경기를 할 때 공격 기술에 대한 연속적인 연결동작으로 들어서 넘어뜨리려고 하다가 상대방이 들리지 않으려고 밑으로 중심을 줄 때 반대적인 공격을 가하여 넘어뜨리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격적인 기술을 가할 때 상대방이 방어 기술로 동작을 취하면 재빨리 그 동작의 중심에 대한 허점에다 다시 공격 기술을 가하여 넘어뜨리는 것이다.
▶참고문헌
신명수. 씨름
문교부. 체육자료총서 씨름
최상수. 한국의 씨름과 그네의 연구. 1974
두산세계대백과
한국 씨름 연구소http://ynucc.yeungnam.ac.kr/~ssi/
씨름 뱅크 http://members.tripod.co.kr/freecity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