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디즈니의 독주현상과 이에 대항하는 드림웍스.
A.연구의 동기와 주제
B.연구의 목적
C.연구의 한계
Ⅱ. 두 애니메이션사의 시작과 지금.
A.<월트 디즈니>사
B.<드림웍스 픽쳐스>사
Ⅲ. 디즈니 독주현상
A.<디즈니> 애니메이션 독주의 근거
B.<디즈니> 애니메이션 독주 비판
1.디즈니 사 비판
2.디즈니 애니메이션 비판
Ⅳ. 드림웍스, 디즈니에 대항한 해결책
A.<드림웍스>사 등장의 의의
B.<드림웍스>애니메이션이 갖는 의의
C.<드림웍스>애니메이션의 한계점
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A. 요약 및 방향제시
A.연구의 동기와 주제
B.연구의 목적
C.연구의 한계
Ⅱ. 두 애니메이션사의 시작과 지금.
A.<월트 디즈니>사
B.<드림웍스 픽쳐스>사
Ⅲ. 디즈니 독주현상
A.<디즈니> 애니메이션 독주의 근거
B.<디즈니> 애니메이션 독주 비판
1.디즈니 사 비판
2.디즈니 애니메이션 비판
Ⅳ. 드림웍스, 디즈니에 대항한 해결책
A.<드림웍스>사 등장의 의의
B.<드림웍스>애니메이션이 갖는 의의
C.<드림웍스>애니메이션의 한계점
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A. 요약 및 방향제시
본문내용
애니메이션 주인공들을 패러디하다 못해 비틀고, 게다가 파과드 영주의 성 둘락은 바로 노골적으로 디즈니 랜드를 나타낸다. 아무리 카젠버그가 디즈니와 좋지 않은 결별을 한 것은 알지만 패러디의 요소들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캐릭터들의 깊은 의미는 느껴지지 않는다. 자칫 목적이 디즈니를 이기는 것에만 있는 것 같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남을 넘어뜨리게 하기 위한 패러디 보다는, 내 것을 세우기 위한 전초적 단계로서의 패러디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이분법적 사고구조 탈피 한계
이 영화는 동화적 방식의 근본적인 한계를 뛰어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우리와 그들을 이분법적으로 가르는 틀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 영화의 악당인 파콰드 영주에게서 볼 수 있듯이 여전히 차별의 구조를 벗어나지 못한다. 이 파콰드야 말로 머리가 엄청 크고 숏다리인 콤플렉스 덩어리인데, 그도 상처가 있을 터인데 이는 아무런 배려 없이 그냥 용에게 낼름 먹히는 걸로 최후를 맞는다. 콤플렉스가 있어도 마음을 잘 써야 한다는 뜻인가? 그것은
) 「슈렉」(http://members.tripod.lycos.co.kr/candler/movie20.htm)
차이의 미학이 그들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와 그들을 뚜렷이 나누고 우리에게만 차이의 미학을 적용하고 그들에게는 여전히 차별의 미학을 적용하는 영화의 이중성. 그것은 이 영화의 한계이자 곧 우리의 한계인 것이다.
Ⅴ. 애니메이션 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A. 요약 및 방향제시.
애니메이션은 animate 의 파생어로 무생물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애니메이션은 인간이 아닌 것에 인간의 생명을 불어넣어 인간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하게 하고, 인간이 가지 못하는 곳에 닿게 한다. 과거에는 기술의 부족으로 단순히 몇 장의 그림에 우리의 움직임 정도만을 표현 할 수 있었지만 현대는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애니메이션의 발달도 함께 했다. 그리하여 인간은 진정으로 애니메이션을 통해 인간의 꿈의 세계를 상상하고 지각 할 수 있게 된다. 이 애니메이션의 발전은 월트디즈니와 함께 이어져 온다. 디즈니는 인간이 가진 상상력의 최대한의 발현으로 엄청난 캐릭터들을 양산해 내고, 새로운 기술, 표현 기법의 도입으로 인간의 욕구를 충족 시켜 왔다. 자신이 창조해낸 그 캐릭터들에 각자의 역할을 부여하고 우리에게 제시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은 우리에게 다가왔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으로 하여금 환상의 세계를 체험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디즈니가 100주년을 맞게 된 지금. 인간을 환상의 세계로 이끌어 준 디즈니에 문제를 제기한다. 그 환상적 체험은 인간의 지각을 확장 시켜준 것이 아닌, 그들의 체계로, 이데올로기로 울타리를 쳐 놓았던 것이라고….. 수많은 어린이들이 본 것은 환상적 미래가 아닌, 디즈니의 가공된 가치관 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난 동안 인간은 그것의 실체에 대하여는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여전히 디즈니의 친구가 되었다. 아마도 그것은 그에 맞설 대안이 없었기 때문에 수용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10년 전부터 디즈니 제국 앞에 배수진을 치기 시작한 사람들이 생겼다. 폭스, 위너, 드림웍스…… 이들은 디즈니 제국을 무너뜨리기 위한 약소 국가 였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디즈니에 맞설 드디어 덩치가 맞는 존재가 나타났다. 바로 드림웍스다. 그 규모로만 따진다면 드림웍스는 디즈니에 비할 바 되지 않지만, 그 안에 내재된 디즈니의 아성을 무너뜨릴 해결책이 무엇보다 확실하다. 그리고 2001년 그들은 충돌하였다. 드림웍스의 승리였다. 디즈니가 가진 모순들이 쏟아져 드러났다. 하지만 그것이 완전한 승리는 아니었다. 디즈니 제국은 아직도 명실 상부하게 애니메이션 계의 독보적인 선두 주자다. 하지만 이제 그 제국에 맞설 상대가 나타났다. 그 모순을 들어낼 수 있는 대상자가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2003년 또 다른 충돌을 예비하고 있다. 그 때는 또 다른 모습으로 충돌을 할 것이고, 지금 과는 달리 디즈니도 새로운 방책을 찾을 것이다. 디즈니가 기존의 디즈니식 방식을 버릴 것인지, 그대로 유지하며 나타날 것인지도 비밀스러운 관심사에 부쳐져 있다. 2003년에는 드림웍스, 그리고 제 3의 애니메이션사들이 디즈니 제국에 대응할 만한 비책을 내게 될 것이다. 그들을 그로써 사람들에게 다양한 관점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은 현실을 반영함으로써 미래를 선취해야 할 의무가 있다. 사람들이 지금 사는 세상의 이해와 모순점의 파악이 필요하고, 앞으로 살 미래를 예측하고 상상해 보는 것 또한 필요하다. 애니메이션은 실사영화보다 담을 수 있는 범위가 넓다. 지각의 확장이 더 많이 가능한 공간이다. 앞으로의 애니메이션은 이를 다양한 관점으로 고민해보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있을 2003년의 새로운 충돌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1.『씨네21』295, 2002.03.27
2.『씨네21』310, 2001.07.12
3.『씨네21』312, 2001.07.27
4.『씨네21』381, 2002.12.09
5.『씨네21』(2001.07.03.)
6.『씨네21』( 2001.07.10.)
7.『씨네21』(2002.06.21.)
8.『중앙일보』(2002.09.13)
9.『디지털 조선일보』(2000.03.22)
10.황수진,「디즈니의<토이스토리2>가가진매력」(http://jabo.co.kr/28th/mov02_28.htm)
11.「슈렉」,(http://members.tripod.lycos.co.kr/candler/movie20.htm)
12.한창완,「디즈니메이션의 표현특징과 개념-디즈니의 문화제국주의 담론」,『디지털 조선일보』(2000.3.22)
13.「슈렉」,(http://my.netian.com/~prozoac/works/movie/shrek.htm)
14.Giroux, Henry A.(2001), 『디즈니의순수함과 거짓말』, 성기완(역), 아침이슬, 2001.
15.Koenig, David(1999), 『애니메이션의 천재 디즈니의 비밀』, 서민수(역), 현대미디어, 1999.
2.이분법적 사고구조 탈피 한계
이 영화는 동화적 방식의 근본적인 한계를 뛰어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우리와 그들을 이분법적으로 가르는 틀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 영화의 악당인 파콰드 영주에게서 볼 수 있듯이 여전히 차별의 구조를 벗어나지 못한다. 이 파콰드야 말로 머리가 엄청 크고 숏다리인 콤플렉스 덩어리인데, 그도 상처가 있을 터인데 이는 아무런 배려 없이 그냥 용에게 낼름 먹히는 걸로 최후를 맞는다. 콤플렉스가 있어도 마음을 잘 써야 한다는 뜻인가? 그것은
) 「슈렉」(http://members.tripod.lycos.co.kr/candler/movie20.htm)
차이의 미학이 그들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와 그들을 뚜렷이 나누고 우리에게만 차이의 미학을 적용하고 그들에게는 여전히 차별의 미학을 적용하는 영화의 이중성. 그것은 이 영화의 한계이자 곧 우리의 한계인 것이다.
Ⅴ. 애니메이션 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A. 요약 및 방향제시.
애니메이션은 animate 의 파생어로 무생물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애니메이션은 인간이 아닌 것에 인간의 생명을 불어넣어 인간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하게 하고, 인간이 가지 못하는 곳에 닿게 한다. 과거에는 기술의 부족으로 단순히 몇 장의 그림에 우리의 움직임 정도만을 표현 할 수 있었지만 현대는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애니메이션의 발달도 함께 했다. 그리하여 인간은 진정으로 애니메이션을 통해 인간의 꿈의 세계를 상상하고 지각 할 수 있게 된다. 이 애니메이션의 발전은 월트디즈니와 함께 이어져 온다. 디즈니는 인간이 가진 상상력의 최대한의 발현으로 엄청난 캐릭터들을 양산해 내고, 새로운 기술, 표현 기법의 도입으로 인간의 욕구를 충족 시켜 왔다. 자신이 창조해낸 그 캐릭터들에 각자의 역할을 부여하고 우리에게 제시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은 우리에게 다가왔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으로 하여금 환상의 세계를 체험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디즈니가 100주년을 맞게 된 지금. 인간을 환상의 세계로 이끌어 준 디즈니에 문제를 제기한다. 그 환상적 체험은 인간의 지각을 확장 시켜준 것이 아닌, 그들의 체계로, 이데올로기로 울타리를 쳐 놓았던 것이라고….. 수많은 어린이들이 본 것은 환상적 미래가 아닌, 디즈니의 가공된 가치관 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난 동안 인간은 그것의 실체에 대하여는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여전히 디즈니의 친구가 되었다. 아마도 그것은 그에 맞설 대안이 없었기 때문에 수용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10년 전부터 디즈니 제국 앞에 배수진을 치기 시작한 사람들이 생겼다. 폭스, 위너, 드림웍스…… 이들은 디즈니 제국을 무너뜨리기 위한 약소 국가 였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디즈니에 맞설 드디어 덩치가 맞는 존재가 나타났다. 바로 드림웍스다. 그 규모로만 따진다면 드림웍스는 디즈니에 비할 바 되지 않지만, 그 안에 내재된 디즈니의 아성을 무너뜨릴 해결책이 무엇보다 확실하다. 그리고 2001년 그들은 충돌하였다. 드림웍스의 승리였다. 디즈니가 가진 모순들이 쏟아져 드러났다. 하지만 그것이 완전한 승리는 아니었다. 디즈니 제국은 아직도 명실 상부하게 애니메이션 계의 독보적인 선두 주자다. 하지만 이제 그 제국에 맞설 상대가 나타났다. 그 모순을 들어낼 수 있는 대상자가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2003년 또 다른 충돌을 예비하고 있다. 그 때는 또 다른 모습으로 충돌을 할 것이고, 지금 과는 달리 디즈니도 새로운 방책을 찾을 것이다. 디즈니가 기존의 디즈니식 방식을 버릴 것인지, 그대로 유지하며 나타날 것인지도 비밀스러운 관심사에 부쳐져 있다. 2003년에는 드림웍스, 그리고 제 3의 애니메이션사들이 디즈니 제국에 대응할 만한 비책을 내게 될 것이다. 그들을 그로써 사람들에게 다양한 관점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은 현실을 반영함으로써 미래를 선취해야 할 의무가 있다. 사람들이 지금 사는 세상의 이해와 모순점의 파악이 필요하고, 앞으로 살 미래를 예측하고 상상해 보는 것 또한 필요하다. 애니메이션은 실사영화보다 담을 수 있는 범위가 넓다. 지각의 확장이 더 많이 가능한 공간이다. 앞으로의 애니메이션은 이를 다양한 관점으로 고민해보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있을 2003년의 새로운 충돌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1.『씨네21』295, 2002.03.27
2.『씨네21』310, 2001.07.12
3.『씨네21』312, 2001.07.27
4.『씨네21』381, 2002.12.09
5.『씨네21』(2001.07.03.)
6.『씨네21』( 2001.07.10.)
7.『씨네21』(2002.06.21.)
8.『중앙일보』(2002.09.13)
9.『디지털 조선일보』(2000.03.22)
10.황수진,「디즈니의<토이스토리2>가가진매력」(http://jabo.co.kr/28th/mov02_28.htm)
11.「슈렉」,(http://members.tripod.lycos.co.kr/candler/movie20.htm)
12.한창완,「디즈니메이션의 표현특징과 개념-디즈니의 문화제국주의 담론」,『디지털 조선일보』(2000.3.22)
13.「슈렉」,(http://my.netian.com/~prozoac/works/movie/shrek.htm)
14.Giroux, Henry A.(2001), 『디즈니의순수함과 거짓말』, 성기완(역), 아침이슬, 2001.
15.Koenig, David(1999), 『애니메이션의 천재 디즈니의 비밀』, 서민수(역), 현대미디어, 1999.
추천자료
IT산업을 둘러싼 아시아의 경쟁과 협력
국내 보험산업의 환경변화와 국제 경쟁력
[캐릭터산업][캐릭터상품]국내외 캐릭터 산업의 현황과 전망 및 캐릭터상품의 향후 경쟁력 제...
[신문산업위기][신문][신문산업][신문시장]신문(신문산업)의 현황, 신문위기(신문산업위기)의...
호텔산업의 성장 전략, 여성고객과 젊은세대 증진에 따른 노력,호텔의 경쟁우위 전략, 호텔산...
카지노산업의 세계적 동향과 영업실태 및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허와 실
서비스 산업의 구조 및 국가경쟁력 향상
[토니모리(TONYMOLY) 마케팅전략]서론/화장품시장분석/화장품 산업분석/자사분석/경쟁사분석/...
[한일 전기전자 산업의 전망] 한국과 일본의 전기, 전자산업의 특징과 상품, 경쟁력 분석, 양...
[한일 전기전자 산업의 전망] 한국과 일본의 전기, 전자산업의 특징과 상품, 경쟁력 분석, 양...
[한일 전기전자 산업의 전망] 한국과 일본의 전기, 한일전자산업의 구조적 특징과 상품, 경쟁...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모형 (경쟁 강도, 대체재의 존재, 구매자 교섭력, 공급자 교섭력)
관광산업- 다이아몬드 분석,국가 경쟁력 결정모형,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국경쟁력이란,국경...
★ 경영전략론 - 포터의 산업구조분석기법 ( 포터의 산업구조분석기법에서 산업 내의 기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