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종교신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몽골의 종교신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샤만신앙

2. 불교 (라마교)

3. 기타종교

본문내용

1.샤만신앙
몽골족을 비롯한 동북아시아계 민족은 전통적으로 하늘과 땅을 가장 큰 숭배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 다음은 하늘과 땅 사이에 펼쳐져 있는 삼라만상 즉 자연을 경배하는 습관이 있다. 학자들은 동북아시아계 민족의 원시신앙을 여타 지구의 신앙과 구분하여 샤머니즘(Shamanism)이라 부르고 있다.
역사상 최초의 유목제국을 성립시킨 흉노도 하늘을 최고의 숭배대상으로 삼고 있었고 흉노이래 몽골에 이르기까지 동북아시아계 민족들이 하늘을 최고의 숭배대상으로 삼고 있었다는 기록은 옛 사서들에서 수없이 찾을 수 있다.
샤머니즘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하늘의 뜻을 인간에게 전해주는 샤만(Shaman)의 존재이다. 샤만이란 단어는 무당을 뜻하는 만주어에서 유래되었는데 몽골인들은 남자샤만을 버(бөө) 로 여자샤만을 오드강(удган) 이라 부르고 있다.
샤만중 최고의 샤만은 지상과 하늘을 자유자재로 오가면서 하늘의 뜻을 인간에게 전해주고 또 복을 불러오는 자들이다.
보통의 샤만들은 영적인 교감을 통하여 부정이나 사악의 제거 및 길흉에 대한 예언이나 병의 치료 등을 주관하고 있다.
몽골의 샤만들은 점을 칠 때 양의 견갑골을 불태워 그 갈라진 문양을 보고 길흉을 판단한다. 영험이 높은 샤만들은 견갑골을 태우지 않고도 점을 칠 수 있다. 몽골의 샤만들은 굿을 통해 신령을 받아들인다. 샤만들은 굿을 시작할 때 먼저 법의를 입고 머리를 산발한다. 그리고 주문을 외우면서 북을 치거나 요령을 흔들기 시작한다. 요령은 때때로 허리춤에 매달아 사용하기도 하며 가슴 앞에는 한 면만이 있는 동경(銅鏡)을 패용하고 있다. 굿이 진행될수록 샤만의 춤동작이나 북소리는 아주 빨라지고 경쾌해 진다. 굿은 샤만이 신과 합치되어 실신할 때까지 계속된다. 신과 합치된 샤만은 신탁을 전하게 된다. 샤만들은 굿으로 병든 사람을 치료하기도 하는데 때때로 탁월한 치료능력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불교가 보급된 후 샤만들의 굿은 모두 사악으로 간주되어 금지되었다.
  • 가격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2.1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39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