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 릿 말
Ⅱ. 중소제조기업의 현황
Ⅲ. 중소제조기업의 수출전망
Ⅳ. 중소제조기업의 수출 활성화 방안
Ⅴ. 맺 는 말
Ⅱ. 중소제조기업의 현황
Ⅲ. 중소제조기업의 수출전망
Ⅳ. 중소제조기업의 수출 활성화 방안
Ⅴ. 맺 는 말
본문내용
하며 장기적인 수출증대를 위해 바이어와의 신뢰를 확보해야 하고 많은 수의 수출품목보다는 전략적인 소수의 품목에 집중하며 소수의 선진국 위주의 덤핑출혈수출을 지양하고 시장국을 다변화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상품은 소비재보다는 가공단계가 낮은 중간재에 전문화하고 대기업과의 수출협력방안을 모색하며 외국의 대리상이나 지점을 통한 직접수출보다는 외국의 수입상이나 중간상을 통한 간접수출경로를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개별 중소제조기업들에 대한 정부의 수출지원방식도 각종 수출 유관단체들과의 협력시스템을 통한 수출지원 network를 구축하여 해외시장 정보나 수출상담 등 각종 해외마케팅활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경색된 금융애로를 타개하여 기업신용위험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연구개발과 교육기술훈련 지원을 증대하며 대.중소기업의 협력관계를 개선토록 적극 장려하고 수출활동에 불필요한 각종 규제를 철폐하여 물류비 등 수출부대비용을 낯춰 주어야 한다.
아울러 수출증가에 따른 교역상대국과의 통상마찰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적극적인 통상외교활동을 수행하며 특히 정부내 중소기업청의 기능과 역활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에게 실질적이고 능률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많은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위와같은 중소제조기업의 수출진흥을 위한 여러 방안들도 세계무역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각종 수출지원 정책들도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의지가 없으면 실현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지용희, "한국 중소기업의 경쟁우위와 수출활성화 방안",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무역 학회, 1999, pp.3-14.
최동규(1999), "대.중소기업 수출 협력방안",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무역학회, 1999, pp.37-49.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년도
한국무역협회, 『수출부대비용현황』,1998.
한국무역협회, 『98주요무역동향지표』, 1998.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감』, 각년도
Anderson, Erin, "The Salesperson as Outside Agent or Employee : A Transaction Cost Analysis", Marketing Science, vol.4, Summer 1985, pp.234-254.
Bilkey, Warren J. & George Tesar, "Export Behavior of SmallerSized Wisconsin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8, 1977,
pp.93-98
Bonaccorsi, Andre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Export Intensity",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23, 1985, pp.605-636.
Burton, F. N. & Bodo B. Schlegelmilch, "Profile Analysis of Non-Exports Versus Exporters Grouped by Export Involvement", Mangement International Review, vol.27, 1987, pp.38-49.
Cavusgil, S. Tamer & Jhon R. Nevin, "Internal Determinants of Export Marketing Behavior :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3, 1981, pp.114-119.
Calof, Jonathan L. ,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Export Behavior Revisited",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Second Quarter, 1994, pp.255-387.
Dennis, J. E. and D. Depelteau, "Market Knowledge, Diversfication and Export Expan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Fall 1985, pp.77-89.
Graham, J. L. , "Cross-Cultural Sales Negotiation : A Multilevel Analysi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80, p.270.
Hill, C. W. and L. P. Hwang and W. C. Kim, "An Ecletic Theory of the Choice of International Entry Mod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990, pp.117-128.
Mugler, Joseph & Jurt Miesenbock, "Determinants of Increasing Export Involvement of Small Firm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uncil of Small Business, World Conference, 1986, pp.189205.
Porter, Michael E. , Competition Strategy, New York : Free Press, 1980.
Rubin, Jeffrey Z. and Bert R. Brown, The Social Psychology of Bargaining and Negotiation, Academic Press, 1975.
Simon, Hermann, Hidden Champ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6.
Williamson, Oliver E. , "The Mordern Corporation : Origins, Evolution, Attribute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14, 1981, p.1546.
그리고 수출상품은 소비재보다는 가공단계가 낮은 중간재에 전문화하고 대기업과의 수출협력방안을 모색하며 외국의 대리상이나 지점을 통한 직접수출보다는 외국의 수입상이나 중간상을 통한 간접수출경로를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개별 중소제조기업들에 대한 정부의 수출지원방식도 각종 수출 유관단체들과의 협력시스템을 통한 수출지원 network를 구축하여 해외시장 정보나 수출상담 등 각종 해외마케팅활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경색된 금융애로를 타개하여 기업신용위험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연구개발과 교육기술훈련 지원을 증대하며 대.중소기업의 협력관계를 개선토록 적극 장려하고 수출활동에 불필요한 각종 규제를 철폐하여 물류비 등 수출부대비용을 낯춰 주어야 한다.
아울러 수출증가에 따른 교역상대국과의 통상마찰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적극적인 통상외교활동을 수행하며 특히 정부내 중소기업청의 기능과 역활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에게 실질적이고 능률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많은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위와같은 중소제조기업의 수출진흥을 위한 여러 방안들도 세계무역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각종 수출지원 정책들도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의지가 없으면 실현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지용희, "한국 중소기업의 경쟁우위와 수출활성화 방안",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무역 학회, 1999, pp.3-14.
최동규(1999), "대.중소기업 수출 협력방안",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무역학회, 1999, pp.37-49.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년도
한국무역협회, 『수출부대비용현황』,1998.
한국무역협회, 『98주요무역동향지표』, 1998.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감』, 각년도
Anderson, Erin, "The Salesperson as Outside Agent or Employee : A Transaction Cost Analysis", Marketing Science, vol.4, Summer 1985, pp.234-254.
Bilkey, Warren J. & George Tesar, "Export Behavior of SmallerSized Wisconsin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8, 1977,
pp.93-98
Bonaccorsi, Andre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Export Intensity",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23, 1985, pp.605-636.
Burton, F. N. & Bodo B. Schlegelmilch, "Profile Analysis of Non-Exports Versus Exporters Grouped by Export Involvement", Mangement International Review, vol.27, 1987, pp.38-49.
Cavusgil, S. Tamer & Jhon R. Nevin, "Internal Determinants of Export Marketing Behavior :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3, 1981, pp.114-119.
Calof, Jonathan L. ,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Export Behavior Revisited",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Second Quarter, 1994, pp.255-387.
Dennis, J. E. and D. Depelteau, "Market Knowledge, Diversfication and Export Expan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Fall 1985, pp.77-89.
Graham, J. L. , "Cross-Cultural Sales Negotiation : A Multilevel Analysi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80, p.270.
Hill, C. W. and L. P. Hwang and W. C. Kim, "An Ecletic Theory of the Choice of International Entry Mod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990, pp.117-128.
Mugler, Joseph & Jurt Miesenbock, "Determinants of Increasing Export Involvement of Small Firm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uncil of Small Business, World Conference, 1986, pp.189205.
Porter, Michael E. , Competition Strategy, New York : Free Press, 1980.
Rubin, Jeffrey Z. and Bert R. Brown, The Social Psychology of Bargaining and Negotiation, Academic Press, 1975.
Simon, Hermann, Hidden Champ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6.
Williamson, Oliver E. , "The Mordern Corporation : Origins, Evolution, Attribute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14, 1981, p.1546.
추천자료
중소기업창업(창업중소기업)의 개념, 중소기업창업(창업중소기업)의 지역별 구분, 중소기업창...
중소기업 정보화(중소기업 IT화)의 필요성, 저해요인, 중소기업 정보화(중소기업 IT화)의 정...
중소기업 IT화(중소기업 정보화)의 특징, 요소, 중소기업 IT화(중소기업 정보화)의 지원, 인...
중소기업 제조물책임법(PL법) 제정과 시행, 중소기업 제조물책임법(PL법) 주요내용, 영향, 중...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대상,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법인세,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
중소기업 환리스크(환위험)의 의의, 동향, 중소기업 환리스크(환위험)의 환변동보험, 중소기...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의 의미, 요건,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 목표, 환경변화, 중소기업 ...
지방중소기업(지역중소기업)의 법률, 지방중소기업(지역중소기업)의 세금, 지방중소기업(지역...
중소제조기업(중소제조업) 분류, 생산유연성, 중소제조기업(중소제조업) 기업경영애로, 경기...
중소하도급기업(하청형 중소기업)의 성격, 거래, 중소하도급기업(하청형 중소기업)의 중간조...
중소기업분석의 필요성, 중소기업분석의 요소, 중소기업분석의 변수, 중소기업분석의 도구활...
중소기업 정보화(중소기업 IT화)의 성격, 기준모델, 중소기업 정보화(중소기업 IT화)의 교육,...
중소기업ERP(전사적 자원관리)의 정의, 특성, 중소기업ERP(전사적 자원관리) 기능, 도입현황,...
중소기업 제조물책임법(PL법) 의미, 도입배경, 중소기업 제조물책임법(PL법) 원칙, 지원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