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에 작용하는 위험요인 및 특성을 설명하시오(10점 배점).
1) 일차성 고혈압
2) 이차성 고혈압
2. '고혈압 전 단계'로 판정받은 환자에게 필요한 혈압 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20점 배점), 단,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은 반드시 포함하고 그 밖에 다양한 측면의 관리방안을 제시할 것.
1) 소금 섭취 제한
2) 체중감량
3) 절주
4) 운동
5) 금연
6) 건강한 식사 요법
3. 참고문헌
1.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에 작용하는 위험요인 및 특성을 설명하시오(10점 배점).
1) 일차성 고혈압
2) 이차성 고혈압
2. '고혈압 전 단계'로 판정받은 환자에게 필요한 혈압 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20점 배점), 단,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은 반드시 포함하고 그 밖에 다양한 측면의 관리방안을 제시할 것.
1) 소금 섭취 제한
2) 체중감량
3) 절주
4) 운동
5) 금연
6) 건강한 식사 요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취를 권장하며, 특히 고령자, 비만인, 당뇨병 환자, 그리고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게 더욱 효과적이다.(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대한고혈압학회)
2) 체중 감량
고혈압과 체중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복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 지질혈증 및 관상동맥질환과 연관성이 높다. 표준 체중을 기준으로 10% 이상 초과한 고혈압 환자가 5kg만 감량해도 혈압 감소 효과가 두드러진다. 특히 당뇨병, 이상 지질혈증, 좌심실 비대가 동반된 환자에게 체중 감량은 더욱 효과적이다. 2022년 대한고혈압학회 권고안에서는 체질량지수(BMI) 25kg/㎡ 이하를 목표로 하며, 허리둘레는 남성 90cm, 여성 85cm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장한다.(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대한고혈압학회)
3) 음주 제한
과도한 음주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고혈압 치료제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적절한 알코올 섭취량은 남성 하루 2030g, 여성 하루 1020g 미만이며, 이는 맥주 1병, 포도주 1잔, 정종 1잔, 위스키 2샷, 소주 2~3잔에 해당한다.
4) 규칙적인 운동
운동은 혈압 감소뿐만 아니라 심폐 기능 개선, 체중 감소, 이상 지질혈증 개선,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고혈압 환자에게 매우 유익하다. 특히 유산소 운동(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줄넘기, 속보 등)을 권장하며, 적절한 운동 강도는 최대 심박수 60~80% 또는 그 이하가 적절하며, 주 5~7회, 1회에 30~60분씩 규칙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금연
담배의 니코틴은 혈압과 맥박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키며, 낮 시간대 혈압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 흡연은 심 뇌혈관질환의 강력한 위험 인자로, 혈압을 조절하더라도 흡연을 지속하면 질환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 금연 보조제에 포함된 낮은 농도의 니코틴은 혈압을 상승시키지 않으므로 금연 행동 요법과 병행할 수 있다. 금연 후에는 체중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동 및 식이 요법을 함께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6) 건강한 식사 요법
채식 위주의 식단이 육식보다 혈압을 낮추는 경향이 있으며, 지방 섭취를 줄일 경우 혈압 감소 효과가 나타난다. 고혈압 환자는 특정 영양소보다 전체적인 식사 패턴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과일, 채소, 생선의 섭취를 늘리고 지방 섭취를 줄이면 혈압을 11/6mmHg까지 낮출 수 있고 칼슘, 마그네슘, 칼륨을 충분히 섭취하면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육류보다 생선을 섭취하는 것이 혈압 조절 및 지질 대사 개선에 좋으며, 두부, 콩, 과일, 채소, 생선 위주의 식단과 유제품이 포함된 식단은 고혈압 유병률 감소와 연관이 있다.
3. 참고문헌
2020_생활과건강_2강
2022년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본태성 고혈압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속발성 고혈압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2) 체중 감량
고혈압과 체중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복부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 지질혈증 및 관상동맥질환과 연관성이 높다. 표준 체중을 기준으로 10% 이상 초과한 고혈압 환자가 5kg만 감량해도 혈압 감소 효과가 두드러진다. 특히 당뇨병, 이상 지질혈증, 좌심실 비대가 동반된 환자에게 체중 감량은 더욱 효과적이다. 2022년 대한고혈압학회 권고안에서는 체질량지수(BMI) 25kg/㎡ 이하를 목표로 하며, 허리둘레는 남성 90cm, 여성 85cm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장한다.(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대한고혈압학회)
3) 음주 제한
과도한 음주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고혈압 치료제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적절한 알코올 섭취량은 남성 하루 2030g, 여성 하루 1020g 미만이며, 이는 맥주 1병, 포도주 1잔, 정종 1잔, 위스키 2샷, 소주 2~3잔에 해당한다.
4) 규칙적인 운동
운동은 혈압 감소뿐만 아니라 심폐 기능 개선, 체중 감소, 이상 지질혈증 개선,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고혈압 환자에게 매우 유익하다. 특히 유산소 운동(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줄넘기, 속보 등)을 권장하며, 적절한 운동 강도는 최대 심박수 60~80% 또는 그 이하가 적절하며, 주 5~7회, 1회에 30~60분씩 규칙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금연
담배의 니코틴은 혈압과 맥박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키며, 낮 시간대 혈압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 흡연은 심 뇌혈관질환의 강력한 위험 인자로, 혈압을 조절하더라도 흡연을 지속하면 질환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 금연 보조제에 포함된 낮은 농도의 니코틴은 혈압을 상승시키지 않으므로 금연 행동 요법과 병행할 수 있다. 금연 후에는 체중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동 및 식이 요법을 함께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6) 건강한 식사 요법
채식 위주의 식단이 육식보다 혈압을 낮추는 경향이 있으며, 지방 섭취를 줄일 경우 혈압 감소 효과가 나타난다. 고혈압 환자는 특정 영양소보다 전체적인 식사 패턴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과일, 채소, 생선의 섭취를 늘리고 지방 섭취를 줄이면 혈압을 11/6mmHg까지 낮출 수 있고 칼슘, 마그네슘, 칼륨을 충분히 섭취하면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육류보다 생선을 섭취하는 것이 혈압 조절 및 지질 대사 개선에 좋으며, 두부, 콩, 과일, 채소, 생선 위주의 식단과 유제품이 포함된 식단은 고혈압 유병률 감소와 연관이 있다.
3. 참고문헌
2020_생활과건강_2강
2022년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본태성 고혈압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속발성 고혈압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보건진료소의 현황과조직 역할과기능,간호사의 업무영역에 대해 조사하고 의료소비...
[생활과건강] 자신의 혈압을 2회 측정한 후 평균혈압을 구하고 고혈압진단기준에 따라 자신의...
고혈압은 성인 만성질환의 대표적 질환으로 다른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기 ...
[생활과 건강 공통] 당뇨는 가장 흔한 내분비계 질환으로 인슐린 결핍에 의해 지방 및 단백질...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3가지 이상) 구체적인 내용 건강한생활양식 효과(주관적 객관적...
간호이론C형-스트레스이론과 관련해 작성하시오- 남성 직장인 1인을 선정하여 스트레스이론을...
간호이론D형-스트레스이론과 관련해 작성하시오- 여성 직장인 1인을 선정하여 스트레스이론을...
생활과건강] 질병예방행위 1)현재 자신이 갖고 있는 건강문제 2가지 건강문제가 자신의 신체...
생활과건강 질병예방행위> 현재 자신이 갖고 있거나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건강문제(질병 혹은...
간호이론D형 2020 핸더슨의 간호의 기본원리 이론 중 14가지 기본간호행위 1) 제시된 이론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