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중간 사진의이해 사회적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한 사진(예 광고사진, 다큐멘터리사진, 환경사진, 인권사진 등)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분석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중간 사진의이해 사회적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한 사진(예 광고사진, 다큐멘터리사진, 환경사진, 인권사진 등)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분석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진 분석
2) 사진의 배경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이 아닌 택일의 상황에 놓인 것이다. 보도 윤리의 문제는 개인과 집단을 넘어 세계적인 수준의 여론과 삶의 영위에 영향을 주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어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
3. 결론
케빈 카터는 사진 부문 퓰리처상을 수상한지 3개월 뒤인 1994년 7월에 자살로 삶을 마감하였다. 그의 죽음에 대해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를 추측한다. 퓰리처상 수상 이후에 전 세계에서 그 한 사람에게 보인 비난이 이유라고 하기도 하고, 혹자는 본래 케빈 카터의 생계가 어려웠기 때문에 그를 감당하지 못해 생을 마감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케빈 카터의 유서에는 퓰리처상 수상 이후의 비난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당시의 언론은 한 사람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였으며, 그가 사망할 당시 발견된 유서에는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었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기 때문이다. 본인은 그러한 이유뿐만 아니라, 포토저널리스트로서 세계의 다양한 어두운 면을 마주했던 그가 안온한 일상을 살아가기 힘들어 생을 마감했다는 이유도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앞서 말한 뱅뱅클럽의 친구 중 켄 오스터브록은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거주지역에서 취재 중 총격으로 사망하였으며, 또다른 동료인 마리노비치는 중상을 입었다. 이러한 소식을 케빈 카터가 이들과 같은 취재를 하던 도중 혼자 시내로 돌아왔을 때 접하게 되었다. 포토저널리스트로서의 사명감으로 이러한 충격에도 불구하고 케빈 카터는 그다음 날 한층 더 격해진 폭력 사태 현장에 뛰어들었다. 이렇게 직업정신이 투철하던 그였기에 더더욱 포토저널리스트로서의 딜레마를 깊이 겪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보도하기 위해 철저히 관찰자로 행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정의를 위한다고 그 과정이 비윤리적이어도 괜찮은 것인가. 케빈 카터의 유서에는 사진을 찍고 곧바로 소녀 뒤의 독수리를 쫓아 구조했지만, 그 순간 카메라를 들고 있었던 자신이 미웠다고 적혀 있다. 위험한 현장에서 잔혹한 모습을 찾아다닐 뿐만 아니라, 그는 포토저널리스트로서 사실을 사진으로써 대중에게 알려야 하므로 사진에 찍을 구도, 요소, 색감 등을 고려해야 한다. 참혹한 광경을 목격하는 것을 넘어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 고려하는 일은 사람이 쉽게 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이러한 그의 상황과 더불어 뉴욕 타임스지에 게재한 \'수단의 굶주린 소녀\' 사진의 캡션 \"지금도 1분마다 전쟁과 가난으로 아이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 사진 한 장으로 경종을 울리고 싶었습니다.\"는 보도 윤리에 대한 딜레마를 더욱 깊이 고찰하게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사진의 이해) 교안
2) 다시 케빈 카터를 위한 변명, 곽윤섭, 한겨례, 2007.12.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223135?sid=135
3) 고명진. (2008). 디지털미디어시대의 사진저널리즘의 보도윤리. 관훈저널,(108), 118-125.
4) 오건환. (2009). 사실보도가 저널리즘의 기본이다. 관훈저널,(112), 3-8.
  • 가격4,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5.03.14
  • 저작시기202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3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