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치
2. 인구
3. 면적
4. 경제구조
5 일산구 Form 모습
6. 일산구 Structure 의 모습
7 일산구 Pattem 의 모습
8 일산구 과거의 모습
9 공간구조 이론
10 일산구 미래의 모습
2. 인구
3. 면적
4. 경제구조
5 일산구 Form 모습
6. 일산구 Structure 의 모습
7 일산구 Pattem 의 모습
8 일산구 과거의 모습
9 공간구조 이론
10 일산구 미래의 모습
본문내용
으로 덕은동에서 구산동 일대에 걸쳐 범람원성 충적지(汎濫原性 沖積地)를 이루어 토지가 매우 비옥하여 여기서 생산되는 쌀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2. 인구
현재 고양시 인구는 위 그림과 보는 것과 같이 80만297명이다. 일산구는 42만791명이고 덕양구는 37만506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① 인구추이
조선 세종때 당시 고양군에는 1,314명이 살고 있었으며 고양군지가 최초로 발간된 1755년에는 1만3,878명, 한일합방된 1910년에는 2만9,043명, 1949년에는 16만8,691명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전쟁 이후 급격히 인구가 감소 하다가 1999년에는 수도권 위성도시 및 택지개발로 인하여 77만4,783명이 거주하고 있다.
자료 : 고양군지,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각년도 통계연보
최근 10년간 인구추이를 보면 80년대 수도권 위성도시로서 완만한 인구증가를 보이다가 92년부터 일산신시가지를 비롯하여 택지개발지구의 아파트 입주로 인하여 급격한 인구 증가를 보여 '94년과 '95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하향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또한 성별로 보았을 때남자의 10년간 연평균 증가율 23.20%보다 여자가 0.58% 많은 23.78%의 증가율을 보여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이 증가했으며 인구비중도 남자보다는 여자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 인구구조 변화
인구구조 추이를 보면 과거에는 고출생 고사망형의 피라미드형의 형태를 띠었으나 이제는 저출생 저사망의 항아리형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3. 면적
고양시의 면적은 267.29㎢로 우리나라 국토(99,408㎢)의 0.3%이고 경기도 면적(10,190㎢) 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구별로 볼 때 덕양구 면적이 165.63㎢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62.0%를 차지하고 일산구 면적이 101.66㎢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38.0%로 나타났다.동별로 보면 덕양구 효자동 관할 면적이 25.98㎢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9.7%로 가장 넓고 다음으로 고봉동, 고양동, 송산동 순이며, 반면 가장 면적이 좁은 동은 일산구 마두2동으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0.3%이며, 다음으로 덕양구 성사2동, 주엽1동 순이다.
① 지목별 면적 분포
지목별 면적추이에서는 답, 전, 임야, 과수원, 목장용지 등의 지목이 '89년에 시 전체면적의 79.5%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9년이 지난 '98년 말에는 66.4%로 13.1%가 줄었고 반면 택지개발 외 기타 등으로 인하여 대지, 공장용지, 공공용지, 기타면적은 '89년의 18.9%에서 9년 동안 14.7%가 증가하여 '98년 말에는 전체면적의 3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경제구조
1997년 고양시의 지역내총생산은 3조306억31백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건설업"이6,870억27백만원으로 전체의 22.67%를 차지하였고 "부동산 임대 및 사업서비스업"이6,282억2백만원으로20.73%,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수리업"이3,140억84백만원으로10.36%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일산구 Form 모습
6. 일산구 Structure 의 모습
7 일산구 Pattem 의 모습
8 일산구 과거의 모습
9 공간구조 이론
중심지 이론 다핵 이론
10 일산구 미래의 모습
위의 공간구조이론을 두 번째 모습을 반영하여 일산구의 미래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일산은 1980년대 말 수도권의 인구 집중으로 인하여 자족도시를 목표를 새로 개발된 신도시인데 자족도시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베드타운의 도시로 변모해 나아갔다 그로인해 고양시 일산구를 자족성 있게 도시를 만들기 위해 위 그림과 보는것과 같이 상업,업무지역을 만들고 생산지역 생산지역은 일산만이 가지고 꽃박람회를 통해 꽃을 특화산업을 유치하는 것이다.
2. 인구
현재 고양시 인구는 위 그림과 보는 것과 같이 80만297명이다. 일산구는 42만791명이고 덕양구는 37만506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① 인구추이
조선 세종때 당시 고양군에는 1,314명이 살고 있었으며 고양군지가 최초로 발간된 1755년에는 1만3,878명, 한일합방된 1910년에는 2만9,043명, 1949년에는 16만8,691명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전쟁 이후 급격히 인구가 감소 하다가 1999년에는 수도권 위성도시 및 택지개발로 인하여 77만4,783명이 거주하고 있다.
자료 : 고양군지,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각년도 통계연보
최근 10년간 인구추이를 보면 80년대 수도권 위성도시로서 완만한 인구증가를 보이다가 92년부터 일산신시가지를 비롯하여 택지개발지구의 아파트 입주로 인하여 급격한 인구 증가를 보여 '94년과 '95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하향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또한 성별로 보았을 때남자의 10년간 연평균 증가율 23.20%보다 여자가 0.58% 많은 23.78%의 증가율을 보여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이 증가했으며 인구비중도 남자보다는 여자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 인구구조 변화
인구구조 추이를 보면 과거에는 고출생 고사망형의 피라미드형의 형태를 띠었으나 이제는 저출생 저사망의 항아리형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3. 면적
고양시의 면적은 267.29㎢로 우리나라 국토(99,408㎢)의 0.3%이고 경기도 면적(10,190㎢) 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구별로 볼 때 덕양구 면적이 165.63㎢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62.0%를 차지하고 일산구 면적이 101.66㎢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38.0%로 나타났다.동별로 보면 덕양구 효자동 관할 면적이 25.98㎢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9.7%로 가장 넓고 다음으로 고봉동, 고양동, 송산동 순이며, 반면 가장 면적이 좁은 동은 일산구 마두2동으로 고양시 전체 면적의 0.3%이며, 다음으로 덕양구 성사2동, 주엽1동 순이다.
① 지목별 면적 분포
지목별 면적추이에서는 답, 전, 임야, 과수원, 목장용지 등의 지목이 '89년에 시 전체면적의 79.5%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9년이 지난 '98년 말에는 66.4%로 13.1%가 줄었고 반면 택지개발 외 기타 등으로 인하여 대지, 공장용지, 공공용지, 기타면적은 '89년의 18.9%에서 9년 동안 14.7%가 증가하여 '98년 말에는 전체면적의 3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경제구조
1997년 고양시의 지역내총생산은 3조306억31백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건설업"이6,870억27백만원으로 전체의 22.67%를 차지하였고 "부동산 임대 및 사업서비스업"이6,282억2백만원으로20.73%,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수리업"이3,140억84백만원으로10.36%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일산구 Form 모습
6. 일산구 Structure 의 모습
7 일산구 Pattem 의 모습
8 일산구 과거의 모습
9 공간구조 이론
중심지 이론 다핵 이론
10 일산구 미래의 모습
위의 공간구조이론을 두 번째 모습을 반영하여 일산구의 미래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일산은 1980년대 말 수도권의 인구 집중으로 인하여 자족도시를 목표를 새로 개발된 신도시인데 자족도시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베드타운의 도시로 변모해 나아갔다 그로인해 고양시 일산구를 자족성 있게 도시를 만들기 위해 위 그림과 보는것과 같이 상업,업무지역을 만들고 생산지역 생산지역은 일산만이 가지고 꽃박람회를 통해 꽃을 특화산업을 유치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