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학, 자연지리]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엘리뇨, 라니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후학, 자연지리]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엘리뇨, 라니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지구온난화
1. 지구온난화의 원인
1) 온실효과
2) 지구의 이산화탄소 배출
2. 지구온난화에 의한 영향
1) 생태계에 대한 영향
2) 식량부족

Ⅱ. 이상기후
1. 엘리뇨
1) 엘리뇨의 정의
2) 엘리뇨의 발생원인
3) 엘리뇨의 영향
4) 엘리뇨 피해사례
2. 라니냐
1) 라니냐의 정의
2) 라니냐의 발생원인
3) 라니냐의 영향
4) 라니냐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
5) 라니냐 피해사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라니냐가 발달한 67, 73년에 한반도의 겨울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낮았고, 강수량도 적어 춥고 건조했다는 것이다. 참고로 가장 최근에 발생한 라니냐는 95~96년에 걸친 것이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라니냐가 준 영향은 비가 내려야 할 때 내리지 않고, 오히려 오지 않을 때 많이 쏟아지는 등 홍수와 가뭄피해를 일으키곤 했다. 이처럼 속시원히 밝혀지지 않은 라니냐로 인해서 평소와는 다른 강수패턴과 가뭄 등이 나타나는 등 이상기상현상의 발생이 우려된다. 70년대 중반 이후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따뜻한 겨울이 지속돼서 올 겨울 라니냐로 인해서 한파가 닥치지 않길 바란다.
4) 라니냐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
기상전문가들 역시 “엘니뇨나 라니냐 등은 원래 자연스런 현상임에도 최근 지구 온난화 문제 등과 맞물려 기상재해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며 “이번처럼 연초에 라니냐 현상이 나타난 전례가 거의 없기 때문에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예측이 전무한 실정”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전지구적인 기후에 있어서 라니냐의 영향은 엘니뇨의 영향과는 정반대의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열대지역에서 해수온의 변화 역시 라니냐의 경우와 엘니뇨의 경우와 상반되는 경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고위도 지역에서는 상당히 많은 기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엘니뇨와 라니냐현상에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고위도의 겨울철에는 엘니뇨와 라니냐의 영향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엘니뇨가 일어난 해, 미대륙에서는 북부 중앙에 있는 주는 겨울철의 기온이 평년보다 온화하였고, 남동부나 남서부는 평년에 비해 한랭하였다. 라니냐 현상이 있었던 해에는 겨울의 기온이 남동부에는 평년보다 온화하였고, 북서부에서는 오히려 한랭하였다. 미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미국에서의 라니냐의 영향이나 플로리다 주립대학에서 제공하는 엘니뇨와 라니냐가 있는 해의 기온과 강수의 이상(anomalies)을 나타내는 표 를 참고하기 바란다. 이상(Anomaly)란 평년치에서 엘니뇨나 라니냐 현상이 있던 해의 관측값을 뺀 값이다.
라니냐 발생시 동남아시아 지역에는 홍수가 우려되며,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저온 경향이 있으나, 다른 기후 요인에 의하여 최근 겨울철 기후특성은 뚜렷하지 않다.
<라니냐 발생해의 우리 나라 겨울철 특성>
▷ 1988년 : 고온(+2.2℃), 다습(+122.9mm)
▷ 1967년 : 저온(-2.2℃), 건조(-65.7mm)
▷ 1973년 : 저온(-1.1℃), 건조(-40.3mm)
▷ 1964년, 1970년, 1974년 및 1984년 : 평년과 비슷
5) 라니냐 피해 사례
가장 최근의 라니냐는 1998년 가을부터 본격화됐다. 이무렵 유럽 전역에 이상한파가 몰아쳐 7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고, 방글라데시, 인도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강력한 폭풍우로 수십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특히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앨라배마 등 미국 곡창지대는 106년 만에 찾아온 최악의 가뭄에 허덕였고,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인 모잠비크는 이례적인 집중호우로 전체 인구의 5%인 약 100만 명이 이재민 신세가 됐고, 콜레라까지 창궐했다.우리나라 역시 1998년과 이듬해 여름 전국적인 집중호우로 452명이 사망, 또는 실종됐으며 16만여 명의 이재민과 함께 경기북부의 연천댐이 붕괴되는 등 재산피해가 잇따랐다.
Ⅲ. 참고문헌
모집 라티프, 『기후의 역습』, 서울 : 현암사, 2005
야마모토 료이치, 『지구온난화 충격 리포트』, 서울 : 미디어월, 2007
크리스티안-디트리히쇤비제, 『기후학』,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6
이승호, 『기후학』, 서울 : 푸른길, 2007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4.26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