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교육학의 재정립
1. 교육학의 성립
제2절 교육의 어원적 개념
1. 한자어로서의 교육개념
2. 서양어로서의 교육개념
3. 한글로서의 교육개념
4. 교육의 어원적 개념에 나타난 교육의 3요소
참고문헌
1. 교육학의 성립
제2절 교육의 어원적 개념
1. 한자어로서의 교육개념
2. 서양어로서의 교육개념
3. 한글로서의 교육개념
4. 교육의 어원적 개념에 나타난 교육의 3요소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르다
①어원
·가르치다 = 가르다(구별하다, 분별하다..) + 치다(때리다, 남의 단점을 공격하다..)
교육자가 옳고 그른 것과 착하고 나쁜 것을 골라 판단하여(가르다) 학습자의 나쁘고 거친 것을 다듬어 착하고 아름답게 하는 것(치다)
·기르다 = 기루다, 길다(자라나게 하는 일) / 길이 난다(진리의 길로 들게함, 길들임)
교육자가 학습자를 올바른 길로 성장시키는 것
②개념: 교육자가 올고 그른 것과 선하고 악한 것을 판단하여 학습자의 미성숙한 점을 다듬어 올바른 사람의 길을 걷도록 성장시킴
4. 교육의 어원적 개념에 나타난 교육의 3요소
아동(성장가능성), 교사(교사훈련성), 매개성(상호작용)
*참고문헌
-교육학개론/ 김정환, 강선보 / 박영사
-박성현 mapping 교육학 / 박성현 / 박문각
①어원
·가르치다 = 가르다(구별하다, 분별하다..) + 치다(때리다, 남의 단점을 공격하다..)
교육자가 옳고 그른 것과 착하고 나쁜 것을 골라 판단하여(가르다) 학습자의 나쁘고 거친 것을 다듬어 착하고 아름답게 하는 것(치다)
·기르다 = 기루다, 길다(자라나게 하는 일) / 길이 난다(진리의 길로 들게함, 길들임)
교육자가 학습자를 올바른 길로 성장시키는 것
②개념: 교육자가 올고 그른 것과 선하고 악한 것을 판단하여 학습자의 미성숙한 점을 다듬어 올바른 사람의 길을 걷도록 성장시킴
4. 교육의 어원적 개념에 나타난 교육의 3요소
아동(성장가능성), 교사(교사훈련성), 매개성(상호작용)
*참고문헌
-교육학개론/ 김정환, 강선보 / 박영사
-박성현 mapping 교육학 / 박성현 / 박문각
추천자료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을 읽고
[교육학개론] 학교 교육에서의 ‘체벌’에 대한 심층 고찰
[교육학개론] 창의력 교육 -꿈을키우는 아이들-
[교육학개론] 자신의 인생에 영향을 미친 교육과 관련된 사건 혹은 경험
[교육학개론] 조기 교육 영어
'기독교교육학개론' - 기독교 학교교육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의 4가지 대표적 사조에 관해서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
기독교 교회론 [기독교교육학개론] - 주일학교와 교회교육에 대해서...
[교육학개론]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 전제(인간에 대한 신념(信念) , 변화에 대한 신...
[교육학개론] 교육평가의 실제 - 인지적 영역의 행동평가(논문형 검사, 객관형 검사)와 정의...
[교육학개론] 교육평가의 유형 - 최대 수행능력과 대표적 행동의 측정,배치,형성,진단,총합평...
[독후감] 플루언트: 영어 유창성의 비밀 (조승연 저) (제목 : 당신의 영어공부는 안녕하십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