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 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 국
1)네오위즈, 다음, 엠파스- 고객 수요 파악이 호황 비결
2)누드교과서

2. 미국
1)AT&T -자동화로 인건비 절감
2)파슬- 효율적인 재고관리 비결
3)UPS- 비행기 운항간격 줄였다
4)호멜- 다양한 가공육 개발

3. 일 본
1)캐논-`셀(cell)` 생산방식으로 소니 제치다
2)아사히 맥주·가네보- 현장 경영으로 불황 타개

본문내용

다. 세토 회장은 맥주에 붙는 세금이 지나치게 높아 불항에서는 맞지 않다는 점을 간파하고 발포주를 주목했다. 보리 함량을 줄인 발포주는 맛은 맥주와 거의 같으면서 맥주세유을 적용받지 않아 맥주보다 30%정도 가격이 저렴하다. 경쟁사인 기린이 비싼 맥주를 고집할 때 발포주 시장에 혼나마 돌풍을 일으키며 시장 1위에 올랐다. 지난해 맥주 소비는 10%줄어든 반면 발포주는 9%이상 증가했다. 세토 회장은 또 맥주를 병이나 캔에 채워서 상점에 진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2주에서 10일로 다시 1주일로 단축시키는 '프레쉬 로테이션(Fresh Fotation)' 작전을 펼쳐나갔다. 92년 세토 회장이 사장에 취임할 당시 아사히 맥주 사내에는 부문간 이기주의가 팽배했고 제조와 판매, 재무부서간에 알력도 심했다. 세토 히장은 여러 부서가 공동으로 프레쉬 로테이션 작전을 수행하면서 사내 결속을 다져나갔다.
화장품 업체 가네보도 현장주의와 부문간 협력을 통해 잇달아 히트상품 개발에 성공했다. 가네보는 여자 연구원이 개발한 라즈베리 케톤을 상품화시켜 당초 목표치인 60억 엔을 3개월 만에 달성했다. 라즈베리 케톤은 다이어트에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마케팅과 개발을 유기적인 상호협력을 통해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제품 개발에 잇달아 성공했다.
사무기기 제조업체 리코는 '전원 참가형 경영'이라는 기업문화를 최대한 활용했다. 그 결과 리코는 2002년에는 8분기 연속 과거 최고 이익을 갱신했다. 리코는 또 93년부터 고객만족도(CS) 향상을 목표로 CS경영회의를 설치해 고객의 목소리를 최대한 자세히 듣고 신제품 개발을 선보였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22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