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감성경영
1) 감성경영 도입 이유
2) 감성경영 도입 사례
- 현대 그룹
3) 감성경영 도입 효과
Ⅱ 품질경영
1) 품질경영 도입 이유
2) 품질경영 도입 사례
- 포스코 광양 제철소
3) 품질경영 도입 효과
Ⅲ 환경경영
1) 환경경영 도입 이유
2) 환경경영 도입 사례 및 세부효과
- 도시바
1) 감성경영 도입 이유
2) 감성경영 도입 사례
- 현대 그룹
3) 감성경영 도입 효과
Ⅱ 품질경영
1) 품질경영 도입 이유
2) 품질경영 도입 사례
- 포스코 광양 제철소
3) 품질경영 도입 효과
Ⅲ 환경경영
1) 환경경영 도입 이유
2) 환경경영 도입 사례 및 세부효과
- 도시바
본문내용
해선 환경효율을 2배 늘이고, 여기서 1.5배 인구증가에 따른 환경부하 억제를 위해 환경효율을 1.5배 늘이고, 2050년 1인당 GDP 세계 평균 성장률 3.4 증가에 맞춰 환경효율을3.4배 늘일 필요가 있는데 이를 모두 곱하면 종합환경효율은 적어도 10배가 돼야 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환경비전2050’실현을 위해서는 2가지 어프로치와 2가지 액션을 필요로 한다. 2가지 어프로치는 ‘에너지’와 ‘에코제품’이다. 먼저 에너지는 에너지의 베스트 믹스 (Best Mix) 를 통해 안정공급과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가치와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팩터로 에코제품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또 2가지 액션은 ‘에코 프로세스’와 ‘에코 프로그램’인데 에코 프로세스는 사업 생산에 따른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고, 에코 프로그램은 커뮤니케이션과 솔루션을 축으로 활동을 전개한다는 것이다.
도시바의 에너지 믹스는 원자력이나 화력 같은 ‘기간 에너지’와 분산전원이나 재생가능에너지 등의 ‘신에너지’ 쌍방으로 이노베이션을 추구하는 것이다. 기간에너지로는 ‘안전 안심하고 효율적인 원자력발전’, ‘이산화탄소의 고정 회수를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제로의 화력발전’, 신에너지에서는 ‘지열이나 풍력 등 재생가능에너지’ ‘가정용 연료전지의 보급’ 등을 테마로 하고, 전력유통 분야에서도 ‘송전선에서의 손실 제로’ 등에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에너지 접근을 통해 2006년 도시바 그룹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효과는 연간 420만 톤으로 계산됐으며, 이를 2010년에는 1400만톤, 2025년에는 연간 8200만 톤으로 확대할 방침이라는 것이다.
에코제품 어프로치로 환경성과 경제성의 양립을 지향하는 것은 도시바그룹의 방침인데 ‘제품의 가치’와 ‘제품의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독자 지표로 ‘팩터T’를 도입했다. 에코 프로세스에선 90년 대비 에너지 기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생산고 원단위로 2010년까지 25%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 추진해왔다. 2007년에는 42% 감축을 달성했기에 2010년 목표를 45%로 상향 수정함과 동시에 2012년 목표도 47% 감축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도시바는 자원의 투입부터 산출까지 에너지 흐름과 환경부하량을 모두 체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머티리얼 플로(Material Flow)’ 라고 하는데 에너지, 물, 화학물질의 사용이라는 자원의 인풋 데이터(Input Data)와 물, 대기에 배출된 환경부하량과 폐기물 등의 아웃풋 데이터(Output Data)에 대해 자재 원재료의 투입량이나 대표적인 제품의 출하량의 데이터를 기재하는 것이다. 도시바는 2007년부터는 550개 전 계열사로 데이터 집계범위를 확대했다고 한다.
도시바 그룹은 또 지난 2006년부터 창립 150주년이 되는 오는 2025년까지 세계에 ‘150만 그루의 숲 만들기’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선 도쿄
도, 시즈오카현 등을 중심으로 50만 그루를 심고, 아시아, 북미 등 해외에 100만
그루의 나무심기를 할 계획이라고 한다.
‘환경비전2050’실현을 위해서는 2가지 어프로치와 2가지 액션을 필요로 한다. 2가지 어프로치는 ‘에너지’와 ‘에코제품’이다. 먼저 에너지는 에너지의 베스트 믹스 (Best Mix) 를 통해 안정공급과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가치와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팩터로 에코제품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또 2가지 액션은 ‘에코 프로세스’와 ‘에코 프로그램’인데 에코 프로세스는 사업 생산에 따른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고, 에코 프로그램은 커뮤니케이션과 솔루션을 축으로 활동을 전개한다는 것이다.
도시바의 에너지 믹스는 원자력이나 화력 같은 ‘기간 에너지’와 분산전원이나 재생가능에너지 등의 ‘신에너지’ 쌍방으로 이노베이션을 추구하는 것이다. 기간에너지로는 ‘안전 안심하고 효율적인 원자력발전’, ‘이산화탄소의 고정 회수를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제로의 화력발전’, 신에너지에서는 ‘지열이나 풍력 등 재생가능에너지’ ‘가정용 연료전지의 보급’ 등을 테마로 하고, 전력유통 분야에서도 ‘송전선에서의 손실 제로’ 등에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에너지 접근을 통해 2006년 도시바 그룹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효과는 연간 420만 톤으로 계산됐으며, 이를 2010년에는 1400만톤, 2025년에는 연간 8200만 톤으로 확대할 방침이라는 것이다.
에코제품 어프로치로 환경성과 경제성의 양립을 지향하는 것은 도시바그룹의 방침인데 ‘제품의 가치’와 ‘제품의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독자 지표로 ‘팩터T’를 도입했다. 에코 프로세스에선 90년 대비 에너지 기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생산고 원단위로 2010년까지 25%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 추진해왔다. 2007년에는 42% 감축을 달성했기에 2010년 목표를 45%로 상향 수정함과 동시에 2012년 목표도 47% 감축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도시바는 자원의 투입부터 산출까지 에너지 흐름과 환경부하량을 모두 체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머티리얼 플로(Material Flow)’ 라고 하는데 에너지, 물, 화학물질의 사용이라는 자원의 인풋 데이터(Input Data)와 물, 대기에 배출된 환경부하량과 폐기물 등의 아웃풋 데이터(Output Data)에 대해 자재 원재료의 투입량이나 대표적인 제품의 출하량의 데이터를 기재하는 것이다. 도시바는 2007년부터는 550개 전 계열사로 데이터 집계범위를 확대했다고 한다.
도시바 그룹은 또 지난 2006년부터 창립 150주년이 되는 오는 2025년까지 세계에 ‘150만 그루의 숲 만들기’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선 도쿄
도, 시즈오카현 등을 중심으로 50만 그루를 심고, 아시아, 북미 등 해외에 100만
그루의 나무심기를 할 계획이라고 한다.
추천자료
캐릭터 비즈니스, 감성체험을 팔아라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을 읽고..
스타벅스 감성마케팅을 읽고
브랜드 커뮤니티를 통한 감성 마케팅 전략
21세기 미래의 마케팅 트랜드(싱글, 엔터테인먼트, 감성, 문화, 웰빙 마케팅)
드림 소사이어티와 감성 마케팅
[인간][인간공학][인간공학의 발전과정][인간공학의 주 연구 분야][인간공학의 정보처리 원동...
- 감성 마케팅 - 스타벅스
BT(생명공학, 바이오기술)의 배경과 융합기술, BT(생명공학, 바이오기술) 발명특허, BT(생명...
[공학][교육공학][전자공학][기계공학][소프트웨어공학][환경공학][금융공학][인간공학][생명...
[소프트웨어공학][소프트웨어공학 개발공정][테스트]소프트웨어공학의 개념, 소프트웨어공학...
[미래기술, 미래기술과 사회변화, 미래기술과 생물공학, 열공학, 신소재공업, 건설기술]미래...
Leadership 리더십,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리더쉽, 러디십의 종류, 강자형 리더십, 감성형 ...
생명공학기업(바이오테크놀러지기업)의 시장진입, 생명공학기업(바이오테크놀러지기업)의 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