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열린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열린교육의 내용면에서의 문제
1) 백만장자미로게임
2) 돌려라∼오! 예!
3) 창의성교육
4) 성적계약제
5) 사랑과 삶이 없는 학습내용
2. 열린교육의 형식면에서의 문제
1) 실천주체의 문제
2) 시범학교의 문제
3) 장학행정의 문제
4) 학교운영체제의 문제
5) 환경의 열악함
3. 당면과제에 대한 대책

[3] 결론

본문내용

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거대학교, 과밀학급에서 열린교육이란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조건이 못된다. 다인수 학급에서 교사의 업무 가중은 교사들이 열린교육을 실천할 의지를 상실하게 한다.
3. 당면과제에 대한 대책
열린교육은 우리 교육에서 인간주의 교육, 아동중심, 개별화, 자기학습력 등의 문제를 광범위하게 제기하고 방법상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앞에서 지적한 여러 문제로 우리나라 현실의 열린교육은 제모습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물론 아직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초기단계를 벗어나지 못한 수준이라서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열린교육은 그 철학적 배경 자체에도 한국문화에서의 열린교육이라는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는데다가 초기에 이런 문제 극복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면 열린교육은 일시적인 유행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열린교육이 당면한 과제에 대한 대책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겠다.
첫째,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하는 수업방법이나 기능적인 접근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라고 하는 내용의 열림으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실천 주체 형성 내용과 방법의 미약함을 교사들 각자의 창의적이고 개인적인 노력으로 극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단위학교 운영 체제에 자율성을 확보해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의 근무 여건과 교육환경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결 론
이상 열린교육의 내용 및 형식면에서 문제점과 그에 따른 대책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과 대책을 바탕으로 올바른 열린교육을 실현할 의무가 있다. 열린교육의 의미는 단순히 정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열린교육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열린교육은 궁극적으로 교사에 의해서 실천된다. 교사의 투철한 사명의식을 바탕으로 실천하지 않으면 연구나 현지연수, 시설·설비, 그리고 행정적·재정적 지원도 무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의 노력이다. 교사는 자기개발을 통해서 열린교육에 합당한 자질과 능력을 키우고 단순한 열린 교육이 아닌 학습자의 자아실현을 도울 수 있는 교육을 실현하여야 할 것이다.
參 考 文 獻
신태진 (1995). "열린 교육의 원리와 그 교육적 가치",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이혜진 (1999). "열린교육이 아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성용구 (1994). "한국 열린교육의 효과성 평가". 열린교실연구. 피아제 열린교실 연구응용학회 제2집 제1호
신화섭 (1996). "초등학교 열린교육체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손병기 (1993). "열린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사회과 학대학원
윤종건 (1996).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오세분 (1992). "초등학교에성의 열린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충청북도 교육청 (1997). 「충북의 선진 열린교육」, 장학자료 '97-7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2.2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