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탈린 정권 시대
2. 흐루시쵸프 정권 시대
3. 브레즈네프 정권 시대
4. 1980년대(안드로포프, 체르네노, 고르바쵸프 정권 시대)
5. 러연방의 대북한 군사 관계
6. 종합평가
2. 흐루시쵸프 정권 시대
3. 브레즈네프 정권 시대
4. 1980년대(안드로포프, 체르네노, 고르바쵸프 정권 시대)
5. 러연방의 대북한 군사 관계
6. 종합평가
본문내용
주의 정책의 자체 생존능력이 크게 제고되자, 혁명주의적 마르크시즘에 대한 수정 운동이 자기 진영 내부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이후 정통적 마르크스주의 입장에서 마르크스주의에 수정을 가하려는 사상적 입장이나 운동이 일어나는 데 이것을 수정주의라 한다.
평화공존⇒ 사회체제(자본주의, 사회주의)를 달리하는 국가 사이에서 서로 무력에 호소 하는 일 없이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상태나 정책, 운동.
조·소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 조약
⇒북한이 1961년 7월 6일 모스크바에서 체결한 '조·소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조약'은 양국이 전쟁상태에 놓일 때 자동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말하며 한쪽이 해약 희망을
표시하면 유효기간이 5년 이내로 단축되도록 되어있다. 북한은 이 조약을 통해서
소련으로부터 평시와 전시의 대(對)북한군사지원체제를 보장받았고 특히 노후화 된
군사장비의 현대화를 이룩하면서 군사력을 증강시켜 왔다. 1995년 9월 7일 러시아
측에서 조약을 연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북한측에 통보하였으며 이로써 1996년 9월 10일 이후 효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인터넷(야후, 엠파스, 네이버등)
한국과 러시아 관계(서대숙 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서대숙 저)
평화공존⇒ 사회체제(자본주의, 사회주의)를 달리하는 국가 사이에서 서로 무력에 호소 하는 일 없이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상태나 정책, 운동.
조·소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 조약
⇒북한이 1961년 7월 6일 모스크바에서 체결한 '조·소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조약'은 양국이 전쟁상태에 놓일 때 자동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말하며 한쪽이 해약 희망을
표시하면 유효기간이 5년 이내로 단축되도록 되어있다. 북한은 이 조약을 통해서
소련으로부터 평시와 전시의 대(對)북한군사지원체제를 보장받았고 특히 노후화 된
군사장비의 현대화를 이룩하면서 군사력을 증강시켜 왔다. 1995년 9월 7일 러시아
측에서 조약을 연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북한측에 통보하였으며 이로써 1996년 9월 10일 이후 효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인터넷(야후, 엠파스, 네이버등)
한국과 러시아 관계(서대숙 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서대숙 저)
추천자료
금강산 관광에 대한 남한과 북한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
일본외교의 특징, 일본외교의 사상적 패러다임, 동북아시대의 지역협력체제, 동북아안보와 일...
[국제경제통상환경][동북아통상협력][통상관계][통상정책]국제경제통상환경의 변화, 동북아통...
북한의 급변사태와 한국군의 군사적 대응방안 - 한반도 소규모 전쟁 가능성, 통일대비 외교조...
북미 제네바합의의 타결, 북미 제네바합의의 위기, 북미 제네바합의와 북미 미사일협상, 북미...
남북경제관계 및 경제교류협력의 전개 과정
북한의 지휘체계와 군사조직의 대한 조사분석과 나의 생각
북한의 체육, 경제, 건축, 정치, 외교, 군사, 보건, 의료, 주거, 의복, 언론, 출판, 산림, 시...
러시아와 슬라브 민족 관계, 제 1차세계대전으로 얽힌 민족관계, 티토와 스탈린의 관계, 후르...
러시아 군사와 군대
북한의 급변사태에 따른 한국의 군사적 대응
미일방위협력(미국 일본의 방위협력), 미일군사동맹체제, 미일합동훈련(미국 일본의 합동훈련...
[러시아정교회, 러시아정교회 유입, 러시아정교회 협력, 러시아정교회 발전, 러시아정교회 분...
(세상읽기와 논술 A형) 아래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된 주제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