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계획서_초등학생 스마트폰 사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구계획서_초등학생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예상되는 연구결과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돌아가며 관찰한 내용을 말하되, 이전에 누군가가 말한 것은 말할 수 없다.)
-숲 속 패션쇼(종이봉투를 잘라 옷 모양을 만들어두고 목공풀을 이용해 자연물을 종이봉투에 붙여 꾸민 뒤 패션쇼를 한다.)
-학교 옆 숲 속 공터
3)연구절차 및 자료분석
본 연구는 통제집단 6학급(3학년 3학급, 6학년 3학급)과 실험집단 5학급(3학년 3학급, 6학년 2학급)으로 진행하려한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 검사 실시 및 또래 상호작용 프로그램 실행은 모두 각 학급 담임 교사의 협조로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 시작 시기인 학기 초에 두 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측정한 뒤 한 학기동안 실험집단에 또래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실시할 것이다. 한 학기 동안 실험집단에 또래 상호작용 프로그램 실시 후, 연구가 마무리 되는 학기 말에 두 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다시 한 번 측정하여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비교 분석할 것이다. 검사지는 각 학급 담임교사를 통하여 아동들에게 배부 및 회수케 할 예정이다.
3. 예상되는 연구결과
1)또래 상호작용이 스마트폰 중독 학생의 중독 현상 저하에 미치는 영향
또래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학생들보다 중독 현상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한다. 실험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학생들은 학급 친구와 다양한 유형의 집단별 활동을 하며 친구와 함께하는 즐거움을 맛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또래 상호작용을 많이 경험한 학생일수록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성이 증가할 것이고 그로인해 스마트폰과 보내는 시간보다 또래와 보내는 시간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2)또래 상호작용이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미치는 영향
또래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학생들 중 사전검사에서 스마트폰 중독으로 진단 받지 않았더라도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점수가 높게 나왔던 아동들은 사후검사에서 낮은 중독 점수를 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스마트기기 없이는 또래와 함께 노는 방법을 몰라서라도 친구와 신체활동을 하며 놀 수 없었던 아이들이 많다. 하지만 또래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 방법을 알게 된 아이들은 스마트폰이 없어도 충분히 재미있는 활동을 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4. 참고문헌
문종미, 최진오(2015). 스마트폰중독 경향성이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ADHD성향성의 매개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7(1), 263-292
최진오(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매개효과.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4), 391-410
오강락, 이제은(2012). 스마트 라이프 혁명의 실제와 스마트폰 중독.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3(4), 21-43
신은수(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중독: 정신과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제철(2014).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오선화, 하은혜(2014).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1), 17-35
최진오(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실태가 ADHD증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10(6), 169-178.
변희숙, 권순용(2014). 초등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4), 303-317
장여옥, 조남억(2014).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1(2), 137-156
박유미, 최인숙, 김은아(2010). 또래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과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2, 33-54
박희숙, 이숙자, 정명자, 심정희(2010). 생태보육활동이 영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2, 231-259
류미향(2014).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 인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6, 307-329
허승환(2009). 두근두근 놀이수업. (주)시공미디어
황경택(2011). 주제별 생태놀이. 황소걸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5.03.18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6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