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신베버주의 도시론
1) 신베버주의 도시론이란
2) 신베버주의 이론이 나타나게된 배경
3) 신베버주의 도시이론의 대표 학자
Ⅰ. 존 렉스(John Rex)와 로버트 무어(Robert Moor)
1. 렉스와 무어의 도시사회체제론: 도시체계, 주택접근과 투쟁
1-1. 생태주의 시각에서 베버주의 시각으로
1-2 일원적 신분
1-3. 도시사회과정의 본질로서 주택의 배분과 갈등
Ⅱ. 팔(Pahl)
2-1. `보상분배체계`로서 도시와 도시사회학의 쟁점
2-2. 도시관리주의의 쟁점과 확대
○ 도시사회학의 쟁점
○ 도시관리자의 정체성 문제: 조합주의국가와 도시관리주의
-조합주의 국가론과 도시관리자
2-3. 주거배분과 계급투쟁: 도시사회문제의 본질
Ⅲ. 손더스(Saunders)
3-1. 비공간적 도시사회학
3-2. 소비의 사회학 제창
3-3. 이중국가론과 소비주의 도시이론
1) 신베버주의 도시론이란
2) 신베버주의 이론이 나타나게된 배경
3) 신베버주의 도시이론의 대표 학자
Ⅰ. 존 렉스(John Rex)와 로버트 무어(Robert Moor)
1. 렉스와 무어의 도시사회체제론: 도시체계, 주택접근과 투쟁
1-1. 생태주의 시각에서 베버주의 시각으로
1-2 일원적 신분
1-3. 도시사회과정의 본질로서 주택의 배분과 갈등
Ⅱ. 팔(Pahl)
2-1. `보상분배체계`로서 도시와 도시사회학의 쟁점
2-2. 도시관리주의의 쟁점과 확대
○ 도시사회학의 쟁점
○ 도시관리자의 정체성 문제: 조합주의국가와 도시관리주의
-조합주의 국가론과 도시관리자
2-3. 주거배분과 계급투쟁: 도시사회문제의 본질
Ⅲ. 손더스(Saunders)
3-1. 비공간적 도시사회학
3-2. 소비의 사회학 제창
3-3. 이중국가론과 소비주의 도시이론
본문내용
서 도시공간을 규정하는 궁극적인 기제는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에 바탕을 둔 계급관계로 설명된다. 이에 대응하여, 손더스는 소비활동을 중심으로 계층적 관계가 도시사회를 보다 의미 있게 특성화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나아가 도시사회의 정치는, 중앙정부 수준에서 나타나는 '생산의 정치(politics of production)'와 달리, 지방정부가 통제하는 소비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 즉 '소비의 정치(politics of consumption)'를 핵심으로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이런 주장은 후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정치의 분업론인 '이중국가체제'로 발전되었다.
3-3. 이중국가론과 소비주의 도시이론
도시를 바라보는 손더스의 관점은 '소비(consumption)'이다. 즉 도시는 소비영역을 중심으로 그 사회화과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그 결과로 도시갈등과 정치가 특성화된다고 보는 것이 그의 소비주의 도시사회학의 요체이다.
이중국가론은 자본주의 국가가 수행하고 있는 두 가지 역할, 즉 '자본축적 활동의 지원'의 개념과 소비활동과 관련된 '정당성 확보'의 서로 상충되는 역할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수준으로 각각 나누어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중앙정부는 사회적 투자와 관련된 국가적 수준의 거시경제를 조절하고 통제하는 반면, 지방정부는 사회적 소비와 관련된 지방적 수준의 재생산과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가운데 정치양식이 공간적으로 분화된다. 즉 사회적 투자와 관련해서는 다원주의적 정치양식이 공간적으로 분화된다는 것이다. 이때 지방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기능과 그 정치양식이 바로 도시사회학의 연구 대상이 된다고 한다.
3-3. 이중국가론과 소비주의 도시이론
도시를 바라보는 손더스의 관점은 '소비(consumption)'이다. 즉 도시는 소비영역을 중심으로 그 사회화과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그 결과로 도시갈등과 정치가 특성화된다고 보는 것이 그의 소비주의 도시사회학의 요체이다.
이중국가론은 자본주의 국가가 수행하고 있는 두 가지 역할, 즉 '자본축적 활동의 지원'의 개념과 소비활동과 관련된 '정당성 확보'의 서로 상충되는 역할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수준으로 각각 나누어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중앙정부는 사회적 투자와 관련된 국가적 수준의 거시경제를 조절하고 통제하는 반면, 지방정부는 사회적 소비와 관련된 지방적 수준의 재생산과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가운데 정치양식이 공간적으로 분화된다. 즉 사회적 투자와 관련해서는 다원주의적 정치양식이 공간적으로 분화된다는 것이다. 이때 지방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기능과 그 정치양식이 바로 도시사회학의 연구 대상이 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