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문화와 반유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위문화와 반유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하위문화

B. 반유행

C. 스트리트 패션(street fashion)

본문내용

가 난관적이고 평화적인 특성을 가진데 비해 스킨헤드는 전통적인 노동자 계급 출신으로 비관적이고 난폭한 성향을 보임
·스타일 - 바버부츠(바닥에는 징을 박고 앞 끝에는 쇠장식을 댄 구두), 짧거나 탈색한 청바지, 칼라 없는 셔츠, 머리를 짧게 자르거나 아예 밀어버림. 장식을 벗어던진 스타일로 노동자 계급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표현
8. 글램(glam)
·영국에서 시도되었던 실험적 장르의 음악인 글램록에서 나온 명칭. T. Rex, Make Bollan, David Bowie 등의 양성애적인 옷차림과 현란한 화장.
9. 라스타파리안(rastafarians)
·미국과 영구의 서인도 출신의 청소년들 사이에서 이디오피아 황제 라스타파리를 추종하면서 이디오피아와 같은 아프리카 고대 도시문명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 자연과의 조화를 재발견.
·스타일 - 이디오피아 국기 색상(적색, 황금색, 녹색)을 이용한 옷과 배지. 아프리카 문양의 긴 스커트, 샌들. 전통적인 아프리카식 머리 치장 드레드록(전제를 가닥가닥 땋아준 머리)
10. 펑크(punk)
·1970년대 후반 백인 청소년들의 저항적 하위문화. 풍요에 대한 약속과 실업이 만연한 현실의 절망적 상황 사이의 갈등
·스타일 - 검정 가죽 자켓, 찢어진 청바지, 요란한 머리 모양과 색깔 뿐만 아니라 속박과 구속을 상징하는 체인과 안전핀을 신체에 꽂는 등 충격적이고 의도적으로 추한 표현을 통해 미래 없음을 상징. 핀, 플라스틱, 빨래집게, 면도날, 상스러운 디자인, 불쾌한 색상의 의상, 핑크, 오렌지 그린과 같은 현란한 색으로 머리 염색, 모히칸 헤어 스타일과 바디 페인팅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2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