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센서` 용어의 역사
2. `센서`란?
3. 센서 인터페이스
4. 자동화용 센서
5. 센서의 요구성능
6. 센서의 선정
(1) 안정성
(2) 내구성(신뢰성)
(3) 내식성․내마모성
(4) 내후성
(5) 내노이즈성
(6) 외상방지책
(7) 보조동력
(8) 신호의 통일
(9) 필요 최소한의 개수
(10) 간단하고 취급하기 쉬운 구조
(11) 내구성의 향상
(12) 취부법의 검토
7. 센서의 대표적 종류
(1) 온도센서
(2) 광 센서
(3) 직선 위치 센서의 개요
(4) 회전 위치 센서
(5) 초음파 센서
(6) 타코제네레이터
2. `센서`란?
3. 센서 인터페이스
4. 자동화용 센서
5. 센서의 요구성능
6. 센서의 선정
(1) 안정성
(2) 내구성(신뢰성)
(3) 내식성․내마모성
(4) 내후성
(5) 내노이즈성
(6) 외상방지책
(7) 보조동력
(8) 신호의 통일
(9) 필요 최소한의 개수
(10) 간단하고 취급하기 쉬운 구조
(11) 내구성의 향상
(12) 취부법의 검토
7. 센서의 대표적 종류
(1) 온도센서
(2) 광 센서
(3) 직선 위치 센서의 개요
(4) 회전 위치 센서
(5) 초음파 센서
(6) 타코제네레이터
본문내용
소자와 광을 사용하여 다른 물리량을 측정하는 광복합센서로 분류된다.
(3) 직선 위치 센서의 개요
직선 위치 센서에는 단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센서와 그 좌표를 읽을 수 있는 좌표 위치센서로 나눌수 있다.
▶ 위치센서는 검출 신호가 ON/OFF형으로 출력되는것이 일반적이다.
이들의 검출정도는 고정도(μm단위)에서 저정도(mm)단위까지 이고, 검출방식도 접촉식의 리밋 스위치, 터치 스위치와 비접촉식의 근접 스위치, 광전 스위치 등의 종류가 있다.
▶ 좌표 위치 센서는 직선형과 회전형 위치 검출로 대별되며, 출력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형과 디지털형으로 나누어지는데 디지털형이 검출신호의 처리와 표시가 용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형은 검출 범위(거리)가 좁고, 데이터를 디지털화해야 할 필요있기 때문에 사용이 한정된다.
(4) 회전 위치 센서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아날로그적인 방법과 디지털적인 방법이 있다.
아날로그적으로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로는 포텐쇼미터, 리졸버, 싱크로, 인덕트신등이
있다.
디지털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로타리 인코더가 있다. 로타리 인코더는 횐전량을 펄스수로 변환하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로타리 인코더는 기계적인 아날로그 변화량을 디지털량으로 변환하는것인데 그 변환방식으로 광전식, 브러시식, 자기식 등이 있다.
(5) 초음파 센서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측정 대상물을 향해 발사하여 그 음파가 대상물에 반가 되어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센서와 대상물의 거리를 측정한다.
(6) 타코제네레이터
속도는 단위 시간당 이동거리이므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길이를 먼저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실행하는 센서를 \'길이 센서\'라 하며 변위센서와 같은 부류이다.
그러나 여가서 말하는 길이 센서는 힘이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센서와는 주기 구조를 가지고 그 주기의 수를 계수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센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측정 대상물이 갖는 형태나 주위의 환경 및 가격 등에 의해서 많은 센서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측정량이 속도라도 직접 센서에서 속도를 검출하는 경우와 다른 센서의 측정값(예를 들면 변위나 가속도)에서 하드웨어나 계산 등에 의해서 속도를 측정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IC나 LSI 기술에 의하여 이전보다 훨씬 빠르고 쉽게 이러한 변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3) 직선 위치 센서의 개요
직선 위치 센서에는 단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센서와 그 좌표를 읽을 수 있는 좌표 위치센서로 나눌수 있다.
▶ 위치센서는 검출 신호가 ON/OFF형으로 출력되는것이 일반적이다.
이들의 검출정도는 고정도(μm단위)에서 저정도(mm)단위까지 이고, 검출방식도 접촉식의 리밋 스위치, 터치 스위치와 비접촉식의 근접 스위치, 광전 스위치 등의 종류가 있다.
▶ 좌표 위치 센서는 직선형과 회전형 위치 검출로 대별되며, 출력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형과 디지털형으로 나누어지는데 디지털형이 검출신호의 처리와 표시가 용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형은 검출 범위(거리)가 좁고, 데이터를 디지털화해야 할 필요있기 때문에 사용이 한정된다.
(4) 회전 위치 센서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아날로그적인 방법과 디지털적인 방법이 있다.
아날로그적으로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로는 포텐쇼미터, 리졸버, 싱크로, 인덕트신등이
있다.
디지털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로타리 인코더가 있다. 로타리 인코더는 횐전량을 펄스수로 변환하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로타리 인코더는 기계적인 아날로그 변화량을 디지털량으로 변환하는것인데 그 변환방식으로 광전식, 브러시식, 자기식 등이 있다.
(5) 초음파 센서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측정 대상물을 향해 발사하여 그 음파가 대상물에 반가 되어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센서와 대상물의 거리를 측정한다.
(6) 타코제네레이터
속도는 단위 시간당 이동거리이므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길이를 먼저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실행하는 센서를 \'길이 센서\'라 하며 변위센서와 같은 부류이다.
그러나 여가서 말하는 길이 센서는 힘이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센서와는 주기 구조를 가지고 그 주기의 수를 계수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센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측정 대상물이 갖는 형태나 주위의 환경 및 가격 등에 의해서 많은 센서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측정량이 속도라도 직접 센서에서 속도를 검출하는 경우와 다른 센서의 측정값(예를 들면 변위나 가속도)에서 하드웨어나 계산 등에 의해서 속도를 측정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IC나 LSI 기술에 의하여 이전보다 훨씬 빠르고 쉽게 이러한 변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