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교에서 만2세까지의 안전교육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안전교육의 개념

2. 안전교육의 중요성

3. 안전교육의 목표

4. 안전교육의 내용

5. 안전교육의 방법

6. 발달의 특성과 안전교육
(1) 태교에서의 안전교육
(2) 영아(0~1세)의 발달적 특성과 안전
1) 질식사고
2) 위험물질 흡입사고
3) 추락 및 충돌사고
4)영아 돌연사 증후군
5) 일반 주의사항
a 젖을 먹일 때
b 잠재울 때
c 씻길 때
d 기저귀 갈아줄 때
e 안아줄 때
f 아기가 울 때
g 아기와의 대화
(3) 걸음마기(1~3세) 영아의 발달적 특성과 안전
1) 놀이 안전
2) 놀이시설 안전
3) 가정에서의 안전
4) 가정에서의
5) 안전한 유아용품 구입 및 사용시 주의사항
6) 가정에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각종 안전용품

7. 통합프로그램

8. 학위 논문 자료

9.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며 인원과 재정이 확충되고 전문적으로 화재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을 만들어 실질적인 안전교육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각 학교에서는 화재 및 각종 사고 예방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실시하 여 아동들이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정기적으로 대피를 중심으로 한 소방교육을 실시하여 화재 발생 시 평 소의 훈련대로 대피할 수 있도옥 하며 화재 예방을 위한 철저한 안전 의식을 심어주는 이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화재가 발생한 후에 후회할 것이 아니라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 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넷째, 어릴 때의 습관은 성인이 되어서 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화재로부터 아 동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어릴때부터 불에 대 한 이로움과 불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어 부주의로 인한 화재사고를 예방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아동들을 위한 소방 안전 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수준에 맞도록 쉽 게 접근할 수 있고 인지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단디적이 아닌 장기적인 교육으로 계획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의 효과는 단기적으로는 화재 발생 시 적절한 대처능력 을 키워주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그들이 성장하려 성인이 되었을 때 안전에 대한 바른 의식을 심어줄 수 있고 우리 사회 에 자리 잡고 있는 안전불감증을 사라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제 목 : << 유아교사의 아동안전 지시. 지각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연 도 : 1999. 12
저 자 명 : 윤선화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주 제 명 : 유아교사들의 안전교육 경험의 전반적인 실태와 교사의 안전지식, 지각 그리 고 실천에 대한 실태를 분석, 평가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를 돌보는 교 사들의 안전지식과 안전실천 육성을 위해서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함.
연구 문제: 1) 유아교사 들이 받은 전반적인 안전교육 경혐을 어떠한가?
2) 유아교사들의 안전에 대한 지식은 어떠한가?
(1) 유아교사들의 전반적인 안전 지식 정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들의 배경변인 (교육경력, 지역, 학력, 자격증, 안전교육경 험유무)에 따라 안전 지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들의 안전에 대한 지각은 어떠한가?
(1) 위험요인별 상해가능성에 대한 지각은 어떠한가?
(2) 위험대상별 상해가능성에 대한 지각은 어떠한가?
4) 유아교사들의 안전에 대한 실천은 어떠한가?
(1) 안전관리 측면에서의 전반적인 실천 실태는 어떠하며, 이것은 유아교 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안전교육 측면에서의 전반적인 실천 실태는 어떠하며, 이것은 유 아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결 과 : 첫째, 유아교사들 중에서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잇는 교사 보다 없는 교사가 더많은 것으로 보고 되었다.
둘째, 유아교사들 중에서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안전관리 분 야에서는 '화재 및 화상예방과 관리’ 에 관한 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보고 했고, 그 다음이 ‘ 유아교육기관의 시설과 설비의 위험과 안전 ’교통과 아동 수송 및 이동 안전’‘유아교육기관의 실내의 안전한 환경구성 순으로 교육경험이 많은 것으로 보고했다.
셋째, 안전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은 평균 안전관리 교육은 6시간 14분, 안전 교육 과정 교육은 3시간 09분 으로 총 9시간 23분이다.
넷째,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안전지식의 실태는 비교적 보통수준으로 보인다.
다섯째, 유아교사의 안전지식은 유아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육 경력과 근무지역등 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지각은 위험요인별로는 ‘타박상’과 ‘다른 아 동에게 물리거나 꼬집힘’을 높게 지각한 반면에‘동상과 교살(목졸 림) '중독’을 낮게 지각했다.
일곱째, 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실천은 안전관리분야에서는 ‘교사가 안전 행동 을 모델링 한다’는 항목이 가장 높았고, 유아에게 교육하는 안전 교육분 야에서는 ‘안전한 놀이’가 가장 자주 실천하는 내용이었다.
여덟째, 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실천은 안전관리분야에서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반해, 안전교육뷴야는 교사의 배경변 인데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홉째, 교사들의 안전지식과 안전실천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분
9. 참고문헌
유아 안전 교육. 창지사. 김성희. 2000
아이들의 안전 사고를 막아라. 김재은. 샘터. 1993
영유아 보육론. 창지사. 최미현 외 6. 1996
강희숙(1993), 어린이 우발사고 요인 및 행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 학위 청구논문.
김대현(1991), 소아사고의 실태에 관한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미예 외(1999), 아동 간호학 총론. 수문사
한국산업안전공단(1996), 안전교육지도서 - 유아교사용
한국교육개발원(1995), 안전보건교육지도안 - 국민학교 교사용
한국교육개발원(1996), 안전교육지도서 - 유아교사용
홍창의(1997),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Miller, D.F.(1995), Safety : Principles and Issues. Madison : Brown & Benchmark.
Papalia, D.E. & Olds, S. W.(1991), 영유아발달, 이영?조연순(역), 서울 : 양서원.
U. S. Department of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al Welfare(1971). Health Services :
A Guide for Project Directors and Health Personnel. Washington D. C.
나이토 주시치로(1999), 육아의 원리, 한립토이북
http://www.safesuwon.or.kr
http://ccoma.redcross.co.kr
http://africa.co.kr
http://childsafe.or.kr
http://similac.co.kr
http://namyangi.com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4.01.0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