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의의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혼의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혼인의 정의

Ⅱ. 혼인 형태의 변화와 역사

Ⅲ. 혼인의 유형

본문내용

그 후 서구의 문화 가 들어오면서부터 거의 모두가 신식에 의한 혼례를 행하게 되었고, 혹 전통적인 옛날의 의식을 답습하는 혼례라 하더라도 많이 간소화되었다≫
1 고대 삼국
고구려 - 남자가 여자집에 장가를 들어 처가가살이를 장기간 하다가 아이를 낳아 그 들이 큰 후에 처를 데리고 자기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시기에는 처가 살이하는 풍습으로 자녀와 외가와의 사이가 각별했다고 한다.
옥저 - 돈을 받고 혼인하는 매매 결혼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부여 - 일부 일처제였다.
2 조선초기 - 친영론 등장 (남귀여가혼속과 친영론의 대립)
친영론이란 : 결혼 후 곧 여자가 남자집으로 옮겨와 남자집에서 사는것을 말한다.
고려사에 의하면 태종은『조선의 혼인은 남자가 여자집으로 장가드는데 이것은 큰 웃음거리로 된다. 우리나라의 관문물이 오로지 중국의 제도에 따르고 있는데 오직 혼례만이 아직도 옛 풍습을 좇고있으니 대단히 부자연 스러운 것이다.』라 하여 자신이 세자로 하여금 김한로의 딸을 친영례로 장이하였으나 친영론의 등장으로 남귀여가 혼속은 중종에 이르기까지 약 백여년간 대립되었다.
3 명종 - 반친영론 등장 (남귀여가혼속과 친영론의 절충)
반친영론이란 : 예식은 여가에서 치루되 체류기간을 단축해서 이튿날 또는 삼일만에 친영(親迎)의례를 거행하는 것을 말한다.
고문헌에는 『우리나라 혼인 풍습에 삼일 후에 시부모와 상견하는 예를 거행하는 데 이것을 삼일 대반이라한다. 문정공 조식이 주자가례 그대로 친영례를 실행하기 어려운데서 적당히 가감하여 만들었다 』라고 전해져 반친영이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16C 후반 - 당일친영 (시집살이 등장)
당일친영이란 : 지금의 혼례방식과 흡사하게 혼례를 치루던 당일에 친영의례를 가지 던 것을 말한다.
16C 후반에 서울을 비롯해 지방에 이르기까지 급속히 번진 반친영이 수천년의 남귀 여가 혼속에 종지부를 찍는 당일친영으로 바뀌어갔고 따라서 여자의 항구한 시집살 이가 시작되었다.
※ 친영(親迎)의례 : 신랑이 신부를 맞아 데려오는 육례(六禮)의 마직막 예식
◎ 참고문헌
1. 결혼문화(結婚文化)와 예절(禮節) 2. 결혼의 풍속사
저자 : 裵泳基 외1인 共著 저자 : 야스다 도쿠다로
출판산 : 도서출판 학문사 출판사 : 도서출판 깊은사랑
3. http://www.teukhwa.com
4. http://myhome.shinbiro.com/ 한학기동안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1.04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