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리어 서비스[체육관리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어리어 서비스[체육관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에어리어 서비스의 개념
1) 운동시설의 개념
2) 운동시설의 분류(과거부터 행하여졌던 분류)

2. 운동시설의 성격

3. (일반적·주체적 시설에 관한)운동시설의 유형
1) 인근(근린)운동시설
2) 자연적 운동시설

4. (특수적·종속적 시설에 관한)운동시설의 유형
1) 경기시설
2) 학교 체육시설

5. 운동시설의 형태-단독운동시설과 종합운동시설

본문내용

학교 체육시설로서의 유형의 차이로서 고려된다. 따라서 학교 체육시설의 경우에는 각 학교 수준별의 검토가 실질적으로는 다르다고 하는 유형론이 된다.
근린 운동시설
자연적 운동시설
개념
근린사회의 주민을 위해, 가까운 장소를 주로 하여 고안된 운동시설
자연 속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시설
유형
놀이터
근린운동장
지역운동장
운동공원
자연적 운동


개요 ·
대상
취학전의 유아
학령기의 아동·학생
지역(커뮤니티)의 청소년이나 성년
지역운동장을 더욱 충실하면서, 자연적인 조건은 많이 가미한 것.
여러 가지 희귀하고 아름다운 풍경이 있는 교외지역
자연을 가능한 한 그대로 살리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으로서 개발한 것
교외에 있는 광대한 토지
규모
·
위치
주택밀집 지역의 중심 유아가 걸어가서도 이용할 수 있는 곳
초등학교, 중학교 근처에 설치 교통이 복잡한 도로나 공장의 근처를 피한다.
지역 전체에서 보아 중심부에 설치
구조
간단하고 안전하게 어린이들이 놀 수 있는
놀이 기구
이웃의 유아가 이용하는 놀이
터가 병행하여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도 병행하여 설치되
어 있으면 좋다.
삼림지 등의 자연스런 모습으로 효과적으로 이용할 것
캠프, 피크닉 센터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광장(잔디밭)
고정 유희 시설
수영장
Picnic area
겨울 스포츠 시설의 설치
표 2. 일반적·주체적 시설에 관한 운동시설의 유형
경기시설
학교체육시설
유형
육상경기장의 1종에서 5종,
88올림픽 종합운동장 등
교과체육을 위해 종속된 시설(학교 체육관, 학교무용실, 학교운동장 등등)
특징
경기시설 그 자체에 대한 기본적인 견해와 관련하여 단지 경기 조건만이 아니라 훨씬 다각적인 검토가 요망된다.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의 학교 수준에 따른 차이가 그대로 학교 체육시설로서의 유형의 차이로서 고려된다. 따라서 학교 체육시설의 경우에는 각 학교 수준별의 검토가 실질적으로는 다르다고 하는 유형론이 된다.
표 . 특수적·종속적 시설에 관한 운동시설의 유형
5. 운동시설의 형태-단독운동시설과 종합운동시설
육상 경기장, 야구장, 테니스코트 등 각종 운동시설이 각각 단독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같은 장소에 그 시설들이 모여 전체로써 하나의 시설이 되도록 종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는 단독 운동시설, 후자를 종합운동 시설이라고 한다.
단독, 종합 등과 같이 설치 형태의 면에서 분류한 운동시설의 분류론은 스포츠 사업의 입장에서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지역에서의 일반적·주체적 시설을 생각한 경우 가족이나 그룹이 운동을 즐기려고 할 때 연령·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모여 하나의 시설을 이용하려면, 단독시설도 좋지만 각자 하고 싶은 종목이나 욕구 또는 운동능력이 다른 경우에는 오히려 일정한 장소에 여러 가지 운동시설이 한 군데에 설치되어 있는 쪽이 편리하므로 종합시설이 유리하다.
한편 특수적·종속적 시설의 경우에도 고도의 전문적인 경기대회는 단독시설로 정비되어 있는 것이 좋지만 전국체육대회와 같은 종합적인 경기대회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운동시설이 한 군데에 모여 있는 종합시설이 좋다.
또 학교는 대부분 여러 가지 운동시설이 학교 운동장내에 모여 있기 때문에 종합시설 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학년이나 종목에 따라 놀이 지역, 스포츠 지역을 구분하면서도 종합시설로서의 의미를 살리는 배려가 요망된다.
그러나 단독·종합의 개념은 몇 개의 시설이 모여야 종합이라고 할 수 있는가 또는 어떤 시설이든 두 가지 이상 합쳐지면 종합이라고 할 수 있는가 등 앞으로 더욱 연구를 요하는 문제이지만 시설의 목적 및 성질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파악 할 수 있다. 즉, 주로 일반 시민의 이용을 도모하고 종합시설은 경기대회용 종합시설과 그 구조나 종류·규격 등이 반드시 같지 않다는 데에서 같은 종합시설이라고 해도 일반적·주체적 시설과 특수적·종속적 시설에는 구체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시설의 성질에서 보면 경기시설로서의 종합시설인 경우에는 탁구장이나 테니스 코트가 없어도 최소한 육상 경기장을 포함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처럼 각각의 필요성에서 절대조건이나 필요조건으로서의 시설을 고려해야한다.
참고문헌
김동선·정영근(1994). 스포츠경영관리학. 태근문화사
김병두(1994). 체육관리와 조직론. 형설출판사
김사엽(1997). 체육시설관리학. 태근문화사
이한규(2002). 한국스포츠사회학회 동계세미나. 한국스포츠학회
체육관리 수업교재.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1.05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