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필로티의 개념
2.필로티 도입에 관한 르 꼬르뷔제의 근대건축 5 원칙
3.우리 건축 속에 나타난 필로티
1)양동 관가정
2)하회 양진당
3)상주 양진당
4)보성 이용욱가옥
5)강릉 선교장
4.현대주택에 있어서의 필로티의 의미
5.결론
2.필로티 도입에 관한 르 꼬르뷔제의 근대건축 5 원칙
3.우리 건축 속에 나타난 필로티
1)양동 관가정
2)하회 양진당
3)상주 양진당
4)보성 이용욱가옥
5)강릉 선교장
4.현대주택에 있어서의 필로티의 의미
5.결론
본문내용
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조망, 시계의 확장 - 거주공간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개방적인 시계를 얻으려고 할 경우에 유효한 방법이다.
6)거주성 - 공동주택의 경우 1층 거주부분은 토지와의 연속성은 보장되지만, 일반적으로 거주성은 질적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프라이버시를 높이기 위하여 필로티를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일산 마두동 주택
단독주택에 있어서의 개방과 폐쇄라는 이중성의 대립을 조화로 이끌기 위한 해결방안의 하나로써 목재와 노출 콘크리트, 정원의 나무 널과 필로티 하부의 모일 수 있는 장치 등이 시도되었다.
열려 있는 정원과 필로티 하부의 반 개방적 공간, 거실을 개방케 하고, 식당을 독립시키며 침실등을 폐쇄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정서에 맞도록 구상하였는 바, 이것은 이러한 이중적 장치들을 제안하여 우리에게 맞는 주거정서와 서구화를 병치시킴으로서 대립성을 완화하고 서로의 충돌을 완충시키려 한 시도였다.
■결론
1922년 르 꼬르뷔제에 의해서 필로티의 개념이 알려지게 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보다 더 이른 약 500년전에 이미 민가에서 쓰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건축에 르 꼬르뷔제의 필로티 이론이 들어온 것이 아닌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내용도 르 꼬르뷔제가 썼던 그것과 거의 흡사하여 전혀 뒤지지 않는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서양의 이론과 요소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필로티 뿐만 아니라 어떤 이론과 요소들도 서양과 동양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필로티의 단 하나의 요소가 아닌 다른 것들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5)조망, 시계의 확장 - 거주공간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개방적인 시계를 얻으려고 할 경우에 유효한 방법이다.
6)거주성 - 공동주택의 경우 1층 거주부분은 토지와의 연속성은 보장되지만, 일반적으로 거주성은 질적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프라이버시를 높이기 위하여 필로티를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일산 마두동 주택
단독주택에 있어서의 개방과 폐쇄라는 이중성의 대립을 조화로 이끌기 위한 해결방안의 하나로써 목재와 노출 콘크리트, 정원의 나무 널과 필로티 하부의 모일 수 있는 장치 등이 시도되었다.
열려 있는 정원과 필로티 하부의 반 개방적 공간, 거실을 개방케 하고, 식당을 독립시키며 침실등을 폐쇄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정서에 맞도록 구상하였는 바, 이것은 이러한 이중적 장치들을 제안하여 우리에게 맞는 주거정서와 서구화를 병치시킴으로서 대립성을 완화하고 서로의 충돌을 완충시키려 한 시도였다.
■결론
1922년 르 꼬르뷔제에 의해서 필로티의 개념이 알려지게 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보다 더 이른 약 500년전에 이미 민가에서 쓰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건축에 르 꼬르뷔제의 필로티 이론이 들어온 것이 아닌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내용도 르 꼬르뷔제가 썼던 그것과 거의 흡사하여 전혀 뒤지지 않는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서양의 이론과 요소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필로티 뿐만 아니라 어떤 이론과 요소들도 서양과 동양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필로티의 단 하나의 요소가 아닌 다른 것들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건축] 프랑스 건축
궁궐과 사찰 건축을 중심으로 본 한국 전통 건축
[건축가] 내가 좋아하는 건축가 베스트4
[건축]건축가 우경국과 작품 관수정에 관한 PPT
[건축환경공학] 자연환경이 건축물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세계의도시와건축]인간의 생활을 담는 그릇, 건축 바로 알기 서평
(건축)고대그리스 건축과 조각의 연대별 보고서(사진파일 포함)
빛과 건축조명(건축과의 관계)
[프랑스문화] 프랑스 시대별 건축물 - 그 시대의 역사와 건축과정에 담긴 특징
[건축]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생태건축
[건축] 환경 친화적 건축 환경과 한옥
현대사회와 건축과의 관계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벽의 해체와 현대건축이 가지...
수업모형(건축일반계획,건축의 계획,주택계획)
아름다운 건축사례(자연친화적건축물, 볏집생태주책, 황토주택, 나무주택, 친환경주택) PP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