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효소의 특성과 그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한효소의 특성과 그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명명법

2. 제한효소의 특이성

3. 제한효소의 역할

4. 정제

5. 분석

6.제한효소의 이용
1)분석에의 이용
2)합성시의 응용

본문내용

을 이용한 것이다. 제한효소로 DNA분자를 가수분해하면 제한효소의 종류에 따라서 상보적 점성말단을 가지는 DNA절편이 생기기도 하고, 단면말단을 가지는 DNA절편이 생기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제한효소에 의한 DNA분자 내의 절단부위를 찾아내서 그림으로 표시해 놓은 것은 제한지도라고 한다. 제한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상 DNA와 원형DNA분자를 제한효소로 가수분해한 후 가수분해 산물을 전기영동 시켜 나타난 밴들의 양상을 비교 검토하여 작성한다. 원형DNA분자의 전기영동 밴드 중에는 선상DNA분자의 양끝에 해당하는 절편의 밴드는 없고, 선상의 양끝 절편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하나의 새로운 DNA절편의 전기영동 밴드 양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두 밴드를 이루는 것들이다. 그리고 선상 DNA분자내의 각 DNA절편의 서열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즉, 선산DNA재료를 둘로 나누어 하나는 특정 제한효소로 완전 가수분해시키고 다른 것은 부분적으로 가수분해시킨 다음, 각각 전시영동 시키면 밴드가 나타나는데, 이들 각 밴드내의 DNA절편의 분자량을 측정한다. 그런데 완전 가수분해 시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부분적 가수분해 시에는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서 더욱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밴드가 있다. 이때 뚜렷하게 나타나는 어느 한 DNA절편의 분자량은 같은 겔내의 희미하게 나타난 어느 두 DNA절편(완전가수분해시에는 뚜렷하게 나타남)의 분자량의 합과 반드시 같다.이와 같은 사실은, 희미하게 보이는 두 DNA절편은 DNA분자가 가수분해되기 전에는 DNA분자 내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음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만일 DNA분자 내에 제한효소의 작용을 받는 자리가 몇 개안될 때에는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가수분해된 DNA절편들이 가수분해되기 전의 DNA분자 내에 어떤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 밝혀낼 수 있다.
둘째, DNA분자 내의 특정 DNA절편의 위치는 결실돌연변이체들을 대상으로 실험해 봄으로써 밝혀질 수 있다. 만일 결실 부위에 어느 한 제한효소 자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야생형 DNA분자의 해당 절편보다 결실부위의 크기만큼 작은 새로운 DNA절편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결실부위에 제한효소 자리가 하나 포함되어 있다면, 그 밴드는 없어지고 하나의 새로운 밴드가 나타날 것이다. 이 겨우 새 밴드의 분자량은 사라진 절편들의 전체 분자량에서 결실 부위의 분자량을 뺀 것과 같을 것이다. 여러 가지 결실돌연변이체들에 대한 이와 같은 실험을 되풀이함으로써 제한지도를 그릴 수 있다.
셋째, 제한지도를 그리는데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서로 다른 두 제한효서를 이용하는 것이다. 먼저 특정 DNA재료를 셋으로 나눈다음, 셋 중 두 재료는 각각 다른 제한효소로, 그리고 나머지 한 재료는 두 제한효소로 동시에 가수분해시킨 다음, 이들을 전기영동시켜 나타난 각 DNA절편들을 비교 검토한다. 그러나 절편들의 길이가 같은 것들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한지도를 그린다는 것은 매우 복잡하다.

키워드

제한효소,   점돌연변이,   DNA,   RNA,   명명법,   정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1.17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