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교육과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영어교육과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화의 정의

(2) 초등영어에서의 문화지도의 목표

(3) 초등영어교육에서의 문화지도 방법
1) 환상체험(fantasy experiences)
2) 비디오 테이프 시청(viewing the videotape)
3) 이야기 말하기(storytelling)
4) 교사의 강의(teacher presentations)
5) 원어민 초청(invitation of natives)

※ 김광수(1998:338-342)는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법으로는
① 언어와 문화 연결(Language and Culture Connection)
② 매체 단위(Media Units)
③ 상황적 문제 해결법
④ 질문 방법(lnquiry Method)
⑤ 지도 이용법
⑥ 문화 섬(Culture Island)

(4) 문화간 의사소통의 장애물

○ 언어(language)
○ Nonverbal Communic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

본문내용

① 언어의 곤란(language difficulties) --> language barrier(언어장벽)
② 비언어적인 오해 (nonverbal misunderstanding)
③ 고정관념의 존재 (the presence of stereotype)
④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종종 발생하는 평가하려는 경향 (tendency to evaluate)
⑤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종종 발생하는 높은 불안감
(high anxiety which occurs in cross-cultural talks)
이중에서 비언어적 요소와 관련된 언어의 곤란과 비언어적인 오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언어(language)
대부분의 문화간의 (의사소통)화자들은 언어장벽을 인식한다. 어휘, 통사, 숙어, 속어와 방언은 문제유발 원인이다. 하지만 제 2언어로 말하는 보통수준의 사람들은 대개 원어민과 같은 표현법을 모른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언어적)문제에 대해 조심성이 있다. 하지만 때로 잘 숙련된 제 2언어 화자도 원어민과 대화하는 중에 그가 언어를 구사하는 힘이 원어민과 같지는 않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일깨울(상기할)필요가 있다.
Nonverbal Communic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
너무나 많은 외국인들 이해의 유일한 장벽이 된다고 믿고 있는 '언어'를 배우는 것은 실제로는 시작에 불과하다. 서로 다른 문화 속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우리는 공간과 시간, 태도, 외양, 표정과 움직임에 의해 알려지는 특별한 의미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말하자면 우리는 의사소통의 비언어적 영역을 다루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서로 별개의 문화 속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지각의 세계에 살고 있다. 각각의 사람들은 그에게 의미있는 것만을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본다. 그는 그의 개인적인 세계와 조화하는 모두를 선택하고 자기 문화의 구조와 관계를 통해서 그것을 이해한다.
한 한국인은 미국인 친구가 전형적인 미국인 제스처를 써서 그에게 오라고 손짓했을 때 얼마나 화가 났었는지를 말한다. 그것은 손바닥을 위로한 자세에서 손으로 행해진 일이다. 검지 손가락으로 부름을 받는 사람에게 반복적으로 빠르게 겨냥했다가 곧 부르는 사람을 향해 구부렸다. 한국에서는 이런 제스처가 남에게 위협을 주거나 손아랫사람 혹은 어린이를 부르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한국인은 화가 나고 모욕을 당했다고 느꼈다. 누군가를 부르기 위한 한국인의 제스처는 부름 받는 사람을 향해 손바닥을 아래로 하고 손을 흔드는 것으로 되어 있다. 미국인들은 "Good bye"란 뜻을 가진 이 제스처를 혼동한다.
비언어적 신호와 상징 - 다른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제스처, 몸가짐, 발성 -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의사소통의 결렬의 원인이고 처리해야할 골치 아픈 일이다. 한 문화의 말로 하지 않는 신호를 배우는 것은 말로 된 신호를 배우는 것보다 훨씬 더 성취하기 어렵다.
"문화충격(culture shock)"은 불안의 좀더 심각함 형태이며 모든 익숙한 사교적 신호나 상징들을 잃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 신호나 단서들은 사람들이 일상 생활의 여러 상황들 - 즉 물건을 사는 법, 응답하는 때와 방법, 주문하는 법 - 에 스스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십 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말, 제스처, 표정, 기준 관습과 같은 이 단서들은 학습되며 말해지고 있는 언어만큼 문화의 많은 부분이다. 사람들은 마음의 평안과 효율성을 위해 이 단서들에 의존한다. 대부분의 단서들은 의식적으로 알게된 것이 아니다.
낯선 문화 속에서 이 단서들은 아마도 맞지 않거나 작용하지 않고 색다른 단서들의 전체의 배열을 배워야만 한다. 그것들을 배울 때까지 새로 온 사람은 의사소통을 유지하는 수단 없이 버둥거리는 물밖에 나온 고기와 같을 것이다. 좌절과 긴장은 그가 문화충격을 경험함으로써 증가된다. 그것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때까지 지속된다.
참고문헌
1.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 총론, 영어-
2. 김광수(1998). "초등영어 문화지도" . 초등영어 지도법. 서울 : 문진미디어
3. 김진철외 4인(1998). 초등영어 교재론. 서울 : 학문출판사
4. 이완기(1995). 초등영어교육론. 서울 : 문진미디어
5. 김혜련(1996). "초등영어교육에 있어 문화지도." 초등영어교육 NO 2. 210 - 228
6. 이현주(1995). "국민학교 영어교육에서 문화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7. 최윤희(1995). "영어교육과 문화이해."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1.20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1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