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교육의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린교육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열린교육(open education)의 철학적 기초와 유래

2. 열린교육(open education)의 개념정의
○ 학자들의 열린교육개념정의 (▶표로 제시)

3. 열린교육의 모형과 구성 조건
가. 열린교육의 모형
<이용숙의 열린교육의 개념 모형도>
나. 열린학교의 구성조건(▶표로 제시)

4. 열린교육의 의미

본문내용

정되는 두 개의 원리가 있다(Petrie, 1975). 그 하나는 지식은 개인적인 구성물로서 결코 전수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라는 지식의 개인적 구성관(personal construct view of knowledge)이요, 또 하나는 열린교육의 상황에서 아동의 역할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는 아동 존중의 원리(principle of respect for student integrity)이다. 이와 같이 열린교육은 아동과 학습, 지식에 대하여 아주 상이한 가정을 기초로 한다.
열린교육 모형을 지지하는 교육자들은 지식은 각 개인에게 독특한 것이기 때문에 아동은 자신의 환경과 직접적이고도 개인적인 탐구를 통해서만 획득된다는 신념을 갖는다. 이 모형에서 학습은 아동(CH)과 실세계(RW)와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여겨지며 교사(T)의 위치는 다소 학습과정의 중심밖에 존재하지만 아동의 실세계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적절한 학습환경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리하여 열린교육에서의 아동의 과정은 "자료의 선택과 구성이 교사에 의하여 안내되고 자료에 대한 개별적 반응을 통하여 아동에 의하여 결정되는 공동의 책임으로 간주된다"(Barth, 1972). 이리하여 열린교육에서의 교사는 지식전수를 위한 최적의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들이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의 범위를 확대해 주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열린교육에 관한 정의와 열린교육 모형의 고찰을 통하여 볼 때 열린교육자들이 갖는 아동과 학습, 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사상은 아동은 존중과 신뢰를 받을만한 가치가 있는 존재로서, 풍부하고 다양한 실세계를 적극적으로 탐구함으로써 학습하며 지식은 개인적인 구성물로 결코 전달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라는 신념을 갖는다. 또한 탐구, 선택, 자유, 과정, 존중, 책임, 개인, 자율, 욕구, 호기심, 흥미와 같은 개념들이 바로 열린교육자들의 학습관, 지식관, 아동관을 구성하는 기본개념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열린교육의 의미를 열린교육의 목적과 부합하여 이야기하면 아동에 대한 신뢰감과 존중심의 기초하에 통제보다는, 보다 많은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교육에 참여하게 하여 전인적인 학생의 발달을 도모하자는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즉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과정이 간과하고 있던 학습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중요내용을 지적하고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 큰 의미가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참고서적
1. 김은산(1993). 열린교육의 세계적 동향. 열린교육이 이념과 실제.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 한국열린교육연구회, 한국초등학회 편(1994). 열린교육의 이해. 서울 : 양서원
3. 권낙원 편역(1995). 열린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현대교육
4. 김현재 편역(1995). 창의적 과학 활동의 실제. 참글사
5. 김현재(1996). 열린교육·인성교육 시범학교를 위한 교육 공동체 연수자료. 전국
열린교육 응용 학회
6. 유덕인(1996). 어린이 개성을 살리는 열린교육. 서울 : 교학사. pp.138-155
7. 이중석(1996). "열린 교육과 전망".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제12권 제1호. p.33
8. 은용기·길형석(1996). 열린 학교와 열린교육.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p.
41-45
9. 이용숙(1997). 열린교육의 개념의 재정립과 수업의 개선. 열린교육연구. pp.
109-142
10. 김영천(1998). 과연 어떤 학교가 열린 학교인가: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서의 구 성요건들. 열린교육학회지 제6집 제2호. pp.203-238
11. 유광찬(2000) 통합교육의 탐구. 서울 : 교육과학사. pp.117-120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1.21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