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 임상관련 용어를 정의하시오.
2. 다음질환 및 현상의 병생리 기전을 설명하시오.
3. 레닌-엔지오텐신 기전에 대해 설명하시오.
4. 심장과 신장이 혈압의 조절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설명하시오.
5. 자율신경계와 연수가 어떻게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지 설명하시오.
2. 다음질환 및 현상의 병생리 기전을 설명하시오.
3. 레닌-엔지오텐신 기전에 대해 설명하시오.
4. 심장과 신장이 혈압의 조절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설명하시오.
5. 자율신경계와 연수가 어떻게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지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있는데 이는 혈관수축부와 혈관이완부를 포함한다. 혈관이완부는 혈관수축부를 자극하여 혈관이완을 일으키고, 혈압을 하강시킨다. 혈관수축부는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에 의해 좀 더 강한 혈관수축을 일으킨다. 교감신경계의 혈관수축 신경섬유는 모든 동맥과 정맥의 평활근에 퍼져 있고, 이들 신경섬유를 따라 매 초당 여러 개의 자극이 전달되면 정상적인 혈관 수축을 유지하게 한다. 초 당 더 많은 자극들은 더욱 강한 혈관수축을 야기하고, 초당 생성되는 자극의 수가 감소하면 혈관이완을 일으킨다. 연수는 경동맥동과 대동맥동의 압력 수용체로부터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정보를 받는다. 정상 혈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은 순환성 쇽의 한 양상이다.
5. 자율신경계와 연수가 어떻게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지 설명하시오.
신경 조절기전 extrinsic mechanisms 연수와 자율신경계는 직접적으로 혈압조절에 작용한다.
첫 번째 신경기전은 심장에서 일어난다.
신경계는 필수적으로 심장의 수축력 뿐 아니라 심박동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뇌의 연수 medulla는 촉진중추 accelerator center와 억제중추 inhibitory center 두 개의 심장중추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추는 자율신경계와 함께 심장에 자극을 보낸다.자율신경계는 두 가지 영역을 갖는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촉진중추로부터 교감신경의 자극은 심박동수의 증가와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억제중추로부터 부교감신경의 자극은 미주신경을 따라서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
연수에 의해 받아들여진 어떤 정보가 변화를 초래하는가 왜냐하면 심장은 혈액을 방출하고 그것은 정상 혈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혈액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모든 조직은 끊임없이 그 산소를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혈압과 혈액내의 산소 수준은 심박출량에 변화를 가져오는 자극원이 된다.
경동맥동과 대동맥동에 있는 압수용체 pressoreceptors는 혈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경동맥체와 대동맥체에 있는 화학수용체 chemoreceptors는 혈액의 산소농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경동맥 수용체에 대한 감각신경은 설인신경(제 9 뇌신경)이며 대동맥궁 수용체의 감각신경은 미주신경(제 10 뇌신경)이다.
누워있던 자세에서 갑자기 일어선 사람은 잠시동안 현기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뇌의 혈압이 급작스럽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혈압의 하강은 경동맥동의 압수용체에 의해 감지되는데, 이곳은 대뇌로 가는 길일 뿐, 사령부는 대뇌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자극은 설인신경을 따라 연수로 전해져, 감소된 자극의 빈도수는 촉진중추를 자극한다. 촉진중추는 교감신경에 의해 자극을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에 전달한다. 심장박동과 수축력은 증가하며 뇌의 혈압이 정상화되면 현기증은 사라진다. 대뇌의 혈압이 정상으로 회복되면, 억제중추로부터 미주신경을 따라 동방결절과 방실결절로 부교감신경 자극이 전달된다. 이러한 부교감신경의 자극은 심장박동을 느리게하여 휴식시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심장은 또한 혈액의 산소농도의 감소에 의한 반사자극에도 반응한다. 대동맥 수용체의 위치는 심장에서 곧바로 나온 혈액의 중요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전략적인 위치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반사는 다음과 같다.
(1) 대동맥 화학수용체
(2) 미주신경(감각)
(3) 연수의 촉진중추
(4) 교감신경
(5) 심장 등이 저산소증을 교정하기 위하여 심박동과 수축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에피네프린 호르몬은 스트레스 상황하에서 부신수질에서 분비된다. 에피네프린의 많은 기능 중의 하나가 심장박동과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산소가 필요한 조직에 더 많은 혈액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신경기전은 말초저항으로 동맥과 세동맥의 수축 정도와 이보다는 약한 정맥의 수축이 포함된다. 연수에는 혈관운동 중추 vasomotor center가 있는데 이는 혈관수축부와 혈관이완부를 포함한다. 혈관이완부는 혈관수축부를 자극하여 혈관이완을 일으키고, 혈압을 하강시킨다. 혈관수축부는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에 의해 좀 더 강한 혈관수축을 일으킨다. 교감신경계의 혈관수축 신경섬유는 모든 동맥과 정맥의 평활근에 퍼져 있고, 이들 신경섬유를 따라 매 초당 여러 개의 자극이 전달되면 정상적인 혈관 수축을 유지하게 한다. 초 당 더 많은 자극들은 더욱 강한 혈관수축을 야기하고, 초당 생성되는 자극의 수가 감소하면 혈관이완을 일으킨다. 연수는 경동맥동과 대동맥동의 압력 수용체로부터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정보를 받는다. 정상 혈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은 순환성 쇽의 한 양상이다.
참고문헌
김조자외2(1992) 기초간호과학. 수문사 P. 247-264
김조자외3(2000)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P. 1364-1443
최정신외1(1998) 최신 병리학. 정담 P. 91-97
정영태(1994) 인체 생리학 청구문화사 P. 220-222
www.nurscape.net(간호사가 만들어가는 세상)
자료제공: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해 부 생 리>산화작용>혈관
자료제공 : 아주대학교 간호학부 유문숙 교수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부 중환자 간 호팀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중환자간호>중환자실 간호관리>중 환자실 약물관리
자료제공 : 신촌 세브란스 병원 내과계 과장, 전 응급간호사회 회장 이 상미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응 급 환 자>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심폐응급상황
자료제공 : 신촌 세브란스 병원 내과계 과장, 전 응급간호사회 회장 이 상미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응 급 환 자>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쇽
자료제공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해 부 생 리>산화작용>순환
자료제공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신경계간호>신경계 구조와 기능>자 율신경계
자료제공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감 각 장 애>감각계의 기본 이해 > 감각의 이해
www.ksh.to(대한고혈압학회)
자료제공 : 한양의대 이 방 헌 교수(2001.6.26)
5. 자율신경계와 연수가 어떻게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지 설명하시오.
신경 조절기전 extrinsic mechanisms 연수와 자율신경계는 직접적으로 혈압조절에 작용한다.
첫 번째 신경기전은 심장에서 일어난다.
신경계는 필수적으로 심장의 수축력 뿐 아니라 심박동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뇌의 연수 medulla는 촉진중추 accelerator center와 억제중추 inhibitory center 두 개의 심장중추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추는 자율신경계와 함께 심장에 자극을 보낸다.자율신경계는 두 가지 영역을 갖는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촉진중추로부터 교감신경의 자극은 심박동수의 증가와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억제중추로부터 부교감신경의 자극은 미주신경을 따라서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
연수에 의해 받아들여진 어떤 정보가 변화를 초래하는가 왜냐하면 심장은 혈액을 방출하고 그것은 정상 혈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혈액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모든 조직은 끊임없이 그 산소를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혈압과 혈액내의 산소 수준은 심박출량에 변화를 가져오는 자극원이 된다.
경동맥동과 대동맥동에 있는 압수용체 pressoreceptors는 혈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경동맥체와 대동맥체에 있는 화학수용체 chemoreceptors는 혈액의 산소농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경동맥 수용체에 대한 감각신경은 설인신경(제 9 뇌신경)이며 대동맥궁 수용체의 감각신경은 미주신경(제 10 뇌신경)이다.
누워있던 자세에서 갑자기 일어선 사람은 잠시동안 현기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뇌의 혈압이 급작스럽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혈압의 하강은 경동맥동의 압수용체에 의해 감지되는데, 이곳은 대뇌로 가는 길일 뿐, 사령부는 대뇌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자극은 설인신경을 따라 연수로 전해져, 감소된 자극의 빈도수는 촉진중추를 자극한다. 촉진중추는 교감신경에 의해 자극을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에 전달한다. 심장박동과 수축력은 증가하며 뇌의 혈압이 정상화되면 현기증은 사라진다. 대뇌의 혈압이 정상으로 회복되면, 억제중추로부터 미주신경을 따라 동방결절과 방실결절로 부교감신경 자극이 전달된다. 이러한 부교감신경의 자극은 심장박동을 느리게하여 휴식시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심장은 또한 혈액의 산소농도의 감소에 의한 반사자극에도 반응한다. 대동맥 수용체의 위치는 심장에서 곧바로 나온 혈액의 중요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전략적인 위치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반사는 다음과 같다.
(1) 대동맥 화학수용체
(2) 미주신경(감각)
(3) 연수의 촉진중추
(4) 교감신경
(5) 심장 등이 저산소증을 교정하기 위하여 심박동과 수축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에피네프린 호르몬은 스트레스 상황하에서 부신수질에서 분비된다. 에피네프린의 많은 기능 중의 하나가 심장박동과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산소가 필요한 조직에 더 많은 혈액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신경기전은 말초저항으로 동맥과 세동맥의 수축 정도와 이보다는 약한 정맥의 수축이 포함된다. 연수에는 혈관운동 중추 vasomotor center가 있는데 이는 혈관수축부와 혈관이완부를 포함한다. 혈관이완부는 혈관수축부를 자극하여 혈관이완을 일으키고, 혈압을 하강시킨다. 혈관수축부는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에 의해 좀 더 강한 혈관수축을 일으킨다. 교감신경계의 혈관수축 신경섬유는 모든 동맥과 정맥의 평활근에 퍼져 있고, 이들 신경섬유를 따라 매 초당 여러 개의 자극이 전달되면 정상적인 혈관 수축을 유지하게 한다. 초 당 더 많은 자극들은 더욱 강한 혈관수축을 야기하고, 초당 생성되는 자극의 수가 감소하면 혈관이완을 일으킨다. 연수는 경동맥동과 대동맥동의 압력 수용체로부터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정보를 받는다. 정상 혈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은 순환성 쇽의 한 양상이다.
참고문헌
김조자외2(1992) 기초간호과학. 수문사 P. 247-264
김조자외3(2000)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P. 1364-1443
최정신외1(1998) 최신 병리학. 정담 P. 91-97
정영태(1994) 인체 생리학 청구문화사 P. 220-222
www.nurscape.net(간호사가 만들어가는 세상)
자료제공: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해 부 생 리>산화작용>혈관
자료제공 : 아주대학교 간호학부 유문숙 교수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부 중환자 간 호팀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중환자간호>중환자실 간호관리>중 환자실 약물관리
자료제공 : 신촌 세브란스 병원 내과계 과장, 전 응급간호사회 회장 이 상미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응 급 환 자>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심폐응급상황
자료제공 : 신촌 세브란스 병원 내과계 과장, 전 응급간호사회 회장 이 상미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응 급 환 자>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쇽
자료제공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해 부 생 리>산화작용>순환
자료제공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신경계간호>신경계 구조와 기능>자 율신경계
자료제공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Home>간호 도서관>간호학정보>감 각 장 애>감각계의 기본 이해 > 감각의 이해
www.ksh.to(대한고혈압학회)
자료제공 : 한양의대 이 방 헌 교수(200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