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서동물의 채집
2. 저서동물의 구분
3. 저서동물의 종류
4. 먹이 섭취
5. 유생
6. 분포와 환경
7. 유생의 해저정찰과 저서동물의 분포
8. 기질에 따른 섭식유형과 저서동물의 분포
9. 저서동물이 퇴적물화경에 미치는 영향:생물교란
10. 생물교란의 규모와 주위환경에 미치는 영향
2. 저서동물의 구분
3. 저서동물의 종류
4. 먹이 섭취
5. 유생
6. 분포와 환경
7. 유생의 해저정찰과 저서동물의 분포
8. 기질에 따른 섭식유형과 저서동물의 분포
9. 저서동물이 퇴적물화경에 미치는 영향:생물교란
10. 생물교란의 규모와 주위환경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는 경우.
Ⅲ.난태생
--> 유생기의 전발생과정이 어미의 몸 안에서 이미 진행된후 해저에 직접 유
지체로 부착하는 경우.
※유생의 발생유형과 생존전략
-->해양 저서생물의 유생의 발육형과 영양형은 감모, 가입, 분산 등 유생생태학의 문제의 깊은 관계를 가진다.
(해산동물의 발육형)
①알에서 부화하여 유생이 일시플랑크톤이 되고 그 후에 착저 변태하는 부유발육형
②해저에서 산출되어 난낭속에서 발육하여 직접 저생의 포복 생활을 하는 직접발육
형
③어미의 체내에서 발육하여 밖으로 산출되어 저생생활로 들어가는 태생형
분포와 환경
암반 -부착할수 있는 동물서식
모래, 뻘-파고 들어가는 동물서식
모래-부유물식자
뻘-퇴적물식자
분포-->기질-->서식-->형태
유생의 해저정찰과 저서동물의 분포
모래질, 사니질,펄에 거의 국한하여 서식
토슨-유생발육의 진행에 따라서 중광성의 역전이 성체의 서식 심도의 차이에 따라 빨리 일어나거나 또는 조금 늦게 일어나는 것이 서식깊이가 서로 다른 종들에게는 자기에게 알맞는 서식처를 구별하는데 중요하다는 사실발견
수심이 얕은 바다에 사는 종-유생기의 최후의 순간까지 종의 주광성을 가지고 바다표면 가까이 떠다니며 자신에게 알맞는 서식지에 겨우 도착
수심이 깊은 바다에 사는 종-도중에 부의 주광성으로 바뀌는 빛이 적은 해저 부근을 표류하여 호적한 장소에 도착
영국의 윌슨, 동료연구자들-어떤 종류의 연체동물이나 갯지렁이의 유생이 해저의 저질을 식별해서 선택적으로 정착한다는 연구결과 입증
저질식별의 중요한 요인-모래알갱이의 조립성의 정도
굴, 따개비등-서식층 부근에 오면 암반포면에서 탐색활동
같은개체는 화학물질인 페로몬(pheromone)으로 유인하여 알아봄
다른개체는 밀착하지 않도록 장소를 선택한다
기질에 따른 섭식유형과 저서동물의 분포
저서동물 분포 결정 요인-지질의 입도조성이 극히 중요
퇴적물의 입도가 큰크기---->작은크기로 갈수록
공극크기는 감소-->수분의 칩투와 저질내의 산소공급 적어짐-->입자의 총표면적이 커짐-->세균부착 면적커짐-->부착세균수 증가-->퇴적물내 유기물 함량 증가
==>이로 퇴적물 속은 대부분 환원환경
저질의 입도가 물리화학적 환경의 차이를 가져옴
샌더스(sanders)-모래질 바닥은 유속이 빨라 퇴적하지 못하고 평행하게 운반되므로 부유물은 섭취하기 적합한 먹이 섭취자들이 선택한 결과라 하였다
이와같은원리로 뻘바닥은 유속이 느려 퇴적하기 쉬워 퇴적물식자가 선택한 결과라 하였다
==>지질의 입도 조성과 저서동물이 이용가능한 우기물의 존재양식을 지배한 요인은 저층의 수력학적 조건이라 주장
편해작용-상대방을 배척하고 동일한 섭식형태 동물들만 우점
영양군 편해작용(trophic group amensalism)
==>퇴적물식자가 부유물식자가 살지 못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한 가설
로드와 영(rhoads and young)
-영양군 편해작용이 저서동물의 군집 어느지역의 종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주장
저서동물이 퇴적물화경에 미치는 영향:생물교란
동물의 활동에 의해 퇴적물의 수직단면 구조가 바뀐다
생물교란(bioturbation)
-연성기질에 서식하는 동물은 굴을 파헤치고 퇴적물포면을 돌아다니기도 하여 또 먹이를 취하기 위해 파헤치기도 한다. 이러한 수직구조를 변화시킴. 배설물을 배출하여 퇴적환경을 바뀌기도 한다
전체 퇴적과정에서 생물에 의한 퇴적물교란의 중요
상부의 얇은 층-균질층(homogeneous layer)
규조류, 유공충의 껍데기등 생물기원물질 많이 함유. 생물 활동에 의해 끊임없이 파 뒤집혀진다
균질층 아래-교란이나 재현탁 되지 않은 안정된 퇴적층(역사층,여구퇴적층(permanent sediment))
*생물의 활동=>수직구조 자체교란, 퇴적물의 화학적 특정변화
펜첼(fenchel)
=>환원환경의 퇴적물 속에서만 특별하게 서식하는 소위'sulfide biome'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퇴적물의 화학적 수직구조를 설명
생물교란의 규모와 주위환경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란
=>표층의 퇴적물을 먹이로 삼켜 다시 배출함으로써 퇴적물을 재순환 시키는 작용
=>깊은곳의 퇴적물을 먹이로 삼키거나 굴을 파는 행동에 의해 재순환 시키는 작용
<표층퇴적물의 재순환>
-미국 북서부의 재순환-
이지역에 이매패류인 yolda limatula와 nucula proxima가 고밀도로 서식한다
* yolda limatula와 nucula proxima
=>퇴적물 속에 파고 들어가 진판(labial palp)을 뻗어서 표층의 퇴적물을 먹고 사는 퇴적물식자이다. 소화관을 통과한 퇴적물 찌꺼기는 표층에 재분출 된다
재분출 되는 퇴적물의 양은 yoldia의 경우 1년에 개체 당 평균 약 250ml라고 한다. 퇴적물이 해저에서 여러번 생물의 소화기관을 통해 재순환 됨을 의미한다.
nucula 역시 비슷한 양을 재순환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해역의 퇴적물이 침수율이 높고 따라서 쉽게 재부유 되어 해저의 탁도가 매우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아기반투명조개가 진해안에서 평당 최고 3천개체까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퇴적물 끌어올리기>
빗갯지렁이과에 속하는 갯지렁이 종류들로 머리를 쳐박고 퇴적물 속에서 흙을 삼키는 현상이다.(cistenides gouldii, pectinaria californiensis)
우리나라-빗갯지렁이과에 속하는 종류로서 3종이 기록
잎빗갯지렁이(lagis bocki)
긴빗갯지렁이(amphicen japonica)
대나무갯지렁이과(maldanidae)-->띠갯지렁이
이외 갑각류, 해삼류 등이 파거나 먹이를 취함으로써 깊은 곳의 퇴적물 표층으로 운반시키는 활동을 한다
<생물활동과 퇴적물의안정화>
모래나 뻘을 모아 자기가 살 집인 관을 만드는 동물
!점액분비하여 부유하여 부유입자들을 결속시킬뿐 아니라 이렇게 만들어진 관이 촘촘히 해저에 막혀 원만한 물 흐름에 견딜수 있다.(갯지렁이,대나무갯지렁이)
!관을 만들지 않더라도 점액질 분비로 서로 엉킹어 입자가 굵어져 물에 쉽게 흘러가지 않는다(lanice, lygdamis, spiochaetopterus)
!생물의 무게나 무리를 이루는 행동(이매패류인 털담치,종밋)
Ⅲ.난태생
--> 유생기의 전발생과정이 어미의 몸 안에서 이미 진행된후 해저에 직접 유
지체로 부착하는 경우.
※유생의 발생유형과 생존전략
-->해양 저서생물의 유생의 발육형과 영양형은 감모, 가입, 분산 등 유생생태학의 문제의 깊은 관계를 가진다.
(해산동물의 발육형)
①알에서 부화하여 유생이 일시플랑크톤이 되고 그 후에 착저 변태하는 부유발육형
②해저에서 산출되어 난낭속에서 발육하여 직접 저생의 포복 생활을 하는 직접발육
형
③어미의 체내에서 발육하여 밖으로 산출되어 저생생활로 들어가는 태생형
분포와 환경
암반 -부착할수 있는 동물서식
모래, 뻘-파고 들어가는 동물서식
모래-부유물식자
뻘-퇴적물식자
분포-->기질-->서식-->형태
유생의 해저정찰과 저서동물의 분포
모래질, 사니질,펄에 거의 국한하여 서식
토슨-유생발육의 진행에 따라서 중광성의 역전이 성체의 서식 심도의 차이에 따라 빨리 일어나거나 또는 조금 늦게 일어나는 것이 서식깊이가 서로 다른 종들에게는 자기에게 알맞는 서식처를 구별하는데 중요하다는 사실발견
수심이 얕은 바다에 사는 종-유생기의 최후의 순간까지 종의 주광성을 가지고 바다표면 가까이 떠다니며 자신에게 알맞는 서식지에 겨우 도착
수심이 깊은 바다에 사는 종-도중에 부의 주광성으로 바뀌는 빛이 적은 해저 부근을 표류하여 호적한 장소에 도착
영국의 윌슨, 동료연구자들-어떤 종류의 연체동물이나 갯지렁이의 유생이 해저의 저질을 식별해서 선택적으로 정착한다는 연구결과 입증
저질식별의 중요한 요인-모래알갱이의 조립성의 정도
굴, 따개비등-서식층 부근에 오면 암반포면에서 탐색활동
같은개체는 화학물질인 페로몬(pheromone)으로 유인하여 알아봄
다른개체는 밀착하지 않도록 장소를 선택한다
기질에 따른 섭식유형과 저서동물의 분포
저서동물 분포 결정 요인-지질의 입도조성이 극히 중요
퇴적물의 입도가 큰크기---->작은크기로 갈수록
공극크기는 감소-->수분의 칩투와 저질내의 산소공급 적어짐-->입자의 총표면적이 커짐-->세균부착 면적커짐-->부착세균수 증가-->퇴적물내 유기물 함량 증가
==>이로 퇴적물 속은 대부분 환원환경
저질의 입도가 물리화학적 환경의 차이를 가져옴
샌더스(sanders)-모래질 바닥은 유속이 빨라 퇴적하지 못하고 평행하게 운반되므로 부유물은 섭취하기 적합한 먹이 섭취자들이 선택한 결과라 하였다
이와같은원리로 뻘바닥은 유속이 느려 퇴적하기 쉬워 퇴적물식자가 선택한 결과라 하였다
==>지질의 입도 조성과 저서동물이 이용가능한 우기물의 존재양식을 지배한 요인은 저층의 수력학적 조건이라 주장
편해작용-상대방을 배척하고 동일한 섭식형태 동물들만 우점
영양군 편해작용(trophic group amensalism)
==>퇴적물식자가 부유물식자가 살지 못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한 가설
로드와 영(rhoads and young)
-영양군 편해작용이 저서동물의 군집 어느지역의 종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주장
저서동물이 퇴적물화경에 미치는 영향:생물교란
동물의 활동에 의해 퇴적물의 수직단면 구조가 바뀐다
생물교란(bioturbation)
-연성기질에 서식하는 동물은 굴을 파헤치고 퇴적물포면을 돌아다니기도 하여 또 먹이를 취하기 위해 파헤치기도 한다. 이러한 수직구조를 변화시킴. 배설물을 배출하여 퇴적환경을 바뀌기도 한다
전체 퇴적과정에서 생물에 의한 퇴적물교란의 중요
상부의 얇은 층-균질층(homogeneous layer)
규조류, 유공충의 껍데기등 생물기원물질 많이 함유. 생물 활동에 의해 끊임없이 파 뒤집혀진다
균질층 아래-교란이나 재현탁 되지 않은 안정된 퇴적층(역사층,여구퇴적층(permanent sediment))
*생물의 활동=>수직구조 자체교란, 퇴적물의 화학적 특정변화
펜첼(fenchel)
=>환원환경의 퇴적물 속에서만 특별하게 서식하는 소위'sulfide biome'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퇴적물의 화학적 수직구조를 설명
생물교란의 규모와 주위환경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란
=>표층의 퇴적물을 먹이로 삼켜 다시 배출함으로써 퇴적물을 재순환 시키는 작용
=>깊은곳의 퇴적물을 먹이로 삼키거나 굴을 파는 행동에 의해 재순환 시키는 작용
<표층퇴적물의 재순환>
-미국 북서부의 재순환-
이지역에 이매패류인 yolda limatula와 nucula proxima가 고밀도로 서식한다
* yolda limatula와 nucula proxima
=>퇴적물 속에 파고 들어가 진판(labial palp)을 뻗어서 표층의 퇴적물을 먹고 사는 퇴적물식자이다. 소화관을 통과한 퇴적물 찌꺼기는 표층에 재분출 된다
재분출 되는 퇴적물의 양은 yoldia의 경우 1년에 개체 당 평균 약 250ml라고 한다. 퇴적물이 해저에서 여러번 생물의 소화기관을 통해 재순환 됨을 의미한다.
nucula 역시 비슷한 양을 재순환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해역의 퇴적물이 침수율이 높고 따라서 쉽게 재부유 되어 해저의 탁도가 매우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아기반투명조개가 진해안에서 평당 최고 3천개체까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퇴적물 끌어올리기>
빗갯지렁이과에 속하는 갯지렁이 종류들로 머리를 쳐박고 퇴적물 속에서 흙을 삼키는 현상이다.(cistenides gouldii, pectinaria californiensis)
우리나라-빗갯지렁이과에 속하는 종류로서 3종이 기록
잎빗갯지렁이(lagis bocki)
긴빗갯지렁이(amphicen japonica)
대나무갯지렁이과(maldanidae)-->띠갯지렁이
이외 갑각류, 해삼류 등이 파거나 먹이를 취함으로써 깊은 곳의 퇴적물 표층으로 운반시키는 활동을 한다
<생물활동과 퇴적물의안정화>
모래나 뻘을 모아 자기가 살 집인 관을 만드는 동물
!점액분비하여 부유하여 부유입자들을 결속시킬뿐 아니라 이렇게 만들어진 관이 촘촘히 해저에 막혀 원만한 물 흐름에 견딜수 있다.(갯지렁이,대나무갯지렁이)
!관을 만들지 않더라도 점액질 분비로 서로 엉킹어 입자가 굵어져 물에 쉽게 흘러가지 않는다(lanice, lygdamis, spiochaetopterus)
!생물의 무게나 무리를 이루는 행동(이매패류인 털담치,종밋)
추천자료
성의 생물학 :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
기초 생물학 시험 요점정리
정신간호의 생물학적 기초
사람의 성호르몬 (A+ 추천레포트) 성의 생물학 - 남성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에 대하여
[생물학실험] 세포의 관찰
로렌츠의 행동 생물학적 이론 개요
[성의 생물학] 여성과 남성의 성호르몬에 대하여
[일반생물학] 진화론의 영향에 관해서
진화론과 사회생물학
[생물학]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에 관해서
[노인복지론] 생물학적 노화의 주요이론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노화 이론]
[성의 생물학] 여성 호르몬과 남성 호르몬
생태체계적 접근방법으로 생물학적 관점, 심리학적 관점, 사회학적 관점에 대한 주요 개념...
소개글